• 제목/요약/키워드: SW education program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3초

초등 교원 SW 쌍방향 연수 프로그램의 교수 효능감 및 만족도 분석 (Analysis Teacher Efficacy and Satisfaction of SW Interactive Training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 이재호;이승훈;신태섭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7권3호
    • /
    • pp.145-15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SW 교육을 학교에 적용하는 교사들의 SW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초등 교원 SW 쌍방향 교육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교 연수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현재 진행되는 SW 교원연수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연수 개발 방향을 설정하고, 코로나-19 상황에서 비대면으로 연수를 진행할 수 있도록 쌍방향 연수 프로그램을 개설하였다. 개발된 연수 프로그램을 경기도 초등 교원 104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쌍방향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해 교수 효능감과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교수 효능감과 프로그램 만족도 부분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확인하였다. 앞으로 교원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SW·AI 교육 연수들이 쌍방향 연수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하는 만큼, SW·AI 교육 연수의 효과에 대한 분석 연구의 시행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로봇기반 교과연계 SW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Robot-based Subject-related SW Education Program)

  • 김봉섭;조미헌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87-98
    • /
    • 2020
  • 세계적으로 SW교육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고, 우리나라도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SW교육을 의무화하며 이에 대비하고 있다. 하지만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실과 영역에서 연간 17시간 이상의 교육만으로는 큰 효과를 거두기 어렵기에 본 연구에서는 다른 정규 교육과정과 연계한 로봇기반의 SW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SW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해 미래 역량을 신장할 수 있는지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을 핵심요소로 선정하였다.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사전평가와 사후평가 결과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로봇기반의 교과연계 SW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능력 신장에 효과가 있었다는 사실을 검증할 수 있었다. 또한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 실시한 자유 설문을 통하여 학생들이 SW교육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하게 되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컴퓨팅 사고 중심의 SW교육 콘텐츠의 연구 (A Study of SW Education Contents based on Computational Thinking)

  • 류미영;한선관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521-52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정보교육에서 컴퓨팅 사고를 신장시키기 위한 SW교육 콘텐츠를 설계하고 개발하는 것이다. SW교육 프로그램은 지식, 기능, 태도의 세 개 영역으로 나누었고, 컴퓨팅사고의 추상화, 자동화, 가치화로 연계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콘텐츠는 3개의 레벨로 나누고, 각각 16차시로 구성 하였다.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전문가 19인을 대상으로 내용 타당도를 실시한 결과 타당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가 SW교육을 실시하는데 있어 컴퓨팅 사고를 신장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초등 SW교육 핵심교원 양성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분석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Analysis of Training Program for Core Teachers of Elementary SW Education)

  • 박세영;전용주;서정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31-4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국가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SW교육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초등 SW교육 핵심교원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제 전국 단위 직무연수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개발 방향 설정, 파일럿 연수 진행, 연수 최종안 적용 및 추가보완의 과정을 거쳤으며, 개발된 연수 프로그램을 교육부 주관 2019년 동계 및 하계 직무연수에 적용 하였다.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을 위해 SW교육 교수효능감, 만족도 조사 등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 개발된 연수 프로그램의 긍정적인 효과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동기 향상을 위한 플립러닝 기반 SW 융합 교육 (The Flipped Learning-based SW-STEAM Education Program for Learning Motivation)

  • 송해남;류미영;한선관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325-333
    • /
    • 2018
  • 본 연구는 플립 러닝을 활용하여 SW 융합 교육을 적용하였을 때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의 주요내용은 SW 교육을 기존 교과와 융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방법적인 측면으로 플립 러닝을 활용하였다.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사전 사후 학습동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플립 러닝을 활용한 SW 융합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학습동기 요소에서 주의집중도, 관계향상도, 자신감이 향상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SW 융합 교육 프로그램과 연구 분석 결과가 SW 교육의 발전에 도움을 주고, 교육 현장에 안착하기 위한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되길 기대한다.

초등과학 수업에서 오조봇 코딩을 활용한 SW 융합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W-STEAM Program by Utilizing Ozobot Coding for Elementary Science Class)

  • 김혜란;최선영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2호
    • /
    • pp.234-243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W-STEAM program by utilizing ozobot coding for elementary science class. The developed SW-STEAM program was applied to $5^{th}$ grade students of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 city.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which is consisted of 22 students and a comparative group comprised 22 students. And they were engaged in differ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during 11 class hour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SW-STEAM program, the comparative group was taught by using a traditional instruct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like followings. The SW-STEAM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ic science process skill, science learning motive, science achievement. Therefore, the SW-STEAM program by utilizing ozobot coding could be meaningful works to encourage students' basic science process skill, science learning motive and science achievement, and more studies on developing SW-STEAM program are needed.

초·중학교 SW교육을 위한 프로그래밍 평가지표 개발 (Development of SW Program Assesment Indicator for SW Educatio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 안성훈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1-20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2016년부터 초 중학교에서 확대 강화되는 SW 교육에서 학생들이 개발한 SW 프로그램을 창의력, 논리력, 문제해결력 등과 같은 교육적 가치 측면과 효율성, 신뢰성, 완전성 등과 같은 SW 품질적 측면이 조화롭게 평가될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SW교육의 단계별로 교육적 가치 측면과 SW 품질적 측면에서의 15개의 SW 프로그램 평가요소를 설정하고 각 평가요소별 총 36개의 평가기준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15개 평가요소와 36개의 평가기준에 대하여 SW교육 및 프로그래밍 전문가 39명에게 평가요소와 평가기준의 타당성을 검토 받았으며, 그 결과, 15개 평가요소와 36개 평가기준 모두 타당성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 개발된 SW 프로그램 평가지표는 SW교육의 신뢰성을 높여주고 학생들에게 자신의 학습에 대한 자아성찰의 기회를 제공해 주며, 정보영재교육과 SW 프로그램 공모전 및 경시대회, SW 능력 인증 및 자격제도 등의 다양한 교육활동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비대면 온라인 SW 교육 프로그램이 소외계층 학생의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non-face-to-face online SW education program on the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of students from the underprivileged class)

  • 이재호;이승훈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7권4호
    • /
    • pp.207-215
    • /
    • 2021
  • 컴퓨팅 사고력이 세계적으로 중요한 역량으로 주목받으면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SW 교육이 도입되었으며, 2018년부터 교육과정에 SW 교육이 적용되었다. 하지만 열악한 교육 환경에 있는 교육 소외계층은 SW 교육의 사각지대에 있으며, 체계적인 SW 교육을 받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코로나-19 집단 감염병을 통해 비대면 온라인 교육이 진행되고 있는 시점에서, 267명의 교육 소외계층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비대면 SW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추상화, 문제분해, 알고리즘, 자동화, 데이터 처리의 요소로 구성된 컴퓨팅 사고력 검사를 교육 전과 후에 실시한 결과 컴퓨팅 사고력 전체 점수와 다섯가지 모든 요소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졌다(p<0.001). 다섯 가지 요소 중에서는 데이터 처리 점수에서 가장 높은 점수의 향상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비대면 SW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이 교육 소외계층 초등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해중심 SW기초교육 프로그램의 컴퓨팅사고 효과성 검증 연구 (A Study on the Verification of Computational Thinking Effectiveness of Understanding-Oriented SW Basic Education Program)

  • 오경선;권정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0호
    • /
    • pp.23-35
    • /
    • 2019
  • 많은 대학교가 4차 산업혁명이라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컴퓨팅사고로 문제해결력을 지닌 인재양성을 위해 SW교육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비전공대상의 컴퓨팅사고 향상을 위한 이해중심의 SW교육과정이 필요하다고 보았으며 이를 실현하는 구체적 개입으로 이해중심의 SW기초교육을 소개하고 그 효과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백워드설계모형을 적용한 활동중심 컴퓨팅사고 교육과 프로그래밍교육을 하나의 이해중심의 SW기초교육 프로세스로 설계하였다. 이후 15주 수업에 적용하고, 3차례에 걸쳐 검사를 실시하여 비전공자들에 대한 컴퓨팅사고의 정의적인 측면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활동중심의 SW기초교육의 컴퓨팅사고효능감과 컴퓨팅사고인식에 있어서 긍정적인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특정대학의 일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다소 무리가 있으나, 교육 현장에서 백워드설계모형을 적용한 이해중심의 SW기초교육이 컴퓨팅사고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의 하나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AD SW를 이용한 3D 프린팅 초등 교육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3D Printing Primary Education Program Using CAD SW)

  • 구덕회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557-564
    • /
    • 2018
  • 초등학교 교육 현장에서 3D 프린팅 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커져가고 있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 교사가 활용할 수 있는 3D 프린팅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CAD SW를 활용한 3D 모델링 교육에 대한 연구는 시급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 목적에 적합한 CAD SW를 살펴보고, 초등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에 적용된 동시따응발 교수학습모형은 동기 유발, 시연하기, 따라하기, 응용하기, 발표하기의 5단계로 구성하였다. 교수-학습 과정은 단계에 따라 과제나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본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초등 교육 현장에서 3D 모델링 수업이 원활해 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