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OT 4

검색결과 1,626건 처리시간 0.032초

아연도금 강판의 점용접재의 피로균형에 관한 연구 (Fatigue Behavior of the Single Spot Welded Joint of Zinc Galvanized Steel Sheets)

  • 서창민;강성수;오상표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1-34
    • /
    • 1992
  • The behavior of fatigue crack growth in the single spot welded joint of zinc galvanized steel sheets was studied experimentally and analytically based on fracture mechanics. Axial tension fatigue tests were carried out with the BSxGAB specimen that the bare plane(GAB) of monogalvanized steel sheet was spot welded to the double thickness bare steel sheet(BS), and with the GAxGAB specimen that the galvanized plane (GA) was spot welded to the equal thickness bare plane (GAB) 1. The relation between maximum stress intensity factor, K sub(max) and the number of cycles to failure, N sub(f) has shown a linear relation on log-log plot in the spot weld of the zinc galvanized steel sheet. 2. The fatigue strength of BSxGAB specimens is about 23% higher than that of GAxGAB specimens at the fatigue strength of $1\times10^6$ cycles. And the fatigue life of BSxGAB specimens at the same load range increases 6~9 times higher than that of GAxGAB specimens. 3. The general tendency at the angle of bending($\theta$) in an applied load has changed rapidly at the initial 20% of its life. After then, it has changed slowly. The change at the angle of bending has increased linearly as the load range increases. 4. It has shown a linear relation between the location ratio of initiation ${\gamma}$ and fatigue life $N_f$ on the semi-log graph paper. Here $\gamma$ means that the crack distance between main crack and sub-crack, 2L is divided by the nugget diameter, 2r. $\gamma=a{\cdot}log N_f+n$ (where a and n are material constant.)

  • PDF

나노 Ag spot-coated TiO2-SrO 복합분체의 합성과 광촉매 활성 평가 (Synthesis and Photocatalytic Activity of Ag Spot-coated TiO2-SrO Composite Powders)

  • 한재길;김형철;홍원석;최성창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8권7호
    • /
    • pp.389-393
    • /
    • 2008
  • Nano-sized $TiO_2$-60 wt% SrO composite powders were synthesized by a sol-gel method using titanium isopropoxide and $Sr(OH)_2\;{\cdot}\;8H_2O$ as precursors. 3, -5, -7 wt%Ag spot-coated $TiO_2$-60 wt% SrO composite powders were synthesized by a Ag electroless deposition method using $TiO_2$-60 wt% SrO composite powders calcined at $1050^{\circ}C$, which mainly exhibited the $SrTiO_3$phase. However, a small number of rutile $TiO_2$, $Sr_2TiO_4$ and $SrO_2$ phases were also detected. In the Ag spot-coated powders synthesized by electroless deposition, nano-sized particles about 5-25 nm in diameter adhered to the $TiO_2$-60 wt% SrO composite powders. The photocatalytic activity of Ag spot-coated $TiO_2$-SrO and $TiO_2$-SrO composite powders for degradation of phenol showed that all of $TiO_2$-SrO composite powders were highly active under UV light irradiation. 7 wt%Ag spot-coated $TiO_2$-60wt.%SrO composite powders had a relatively higher photocatalytic activity than did $TiO_2$-SrO composite powders under visible light.

벼논에서 벼멸구(Nilaparvata lugens Stal)약충 두부의 형광성 반점에 의한 식별법 (Discrimination Method of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Stal) Nymphs by the Fluorescent Spots between Compound Eyes in Rice Paddies)

  • 조성래;이동운;추호렬;박정규;신현열;김형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61-365
    • /
    • 2003
  • 우리나라의 벼논에는 벼를 기주로 하는 여러 종류의 멸구, 즉, 벼멸구, 애멸구, 흰등멸구 들이 혼재하고 있지만 이들간의 구분은 쉽지 않다. 이들의 정확한 식별은 예찰과 방제 전략에서 필수적인 과정이다. 특히, 벼멸구는 가장 중요한 벼의 해충이기 때문에 비전문가에 있어 쉽고, 신뢰성 높은 식별 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벼논에 분포하고 있는 벼멸구의 정확한 구분을 위하여 벼멸구, 애멸구, 흰등멸구의 약충을 조사한 결과. 두 종류의 해충에 비하여 벼멸구 약충은 다른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측, 벼멸구 약충은 겹눈 아랫부분과 촉각 사이에 흰색형광성광택을 가지고 있었지만 애멸구나 흰등멸구의 약충에는 없었다. 그리고 형광성 반점은 부화직후 가장 선명하였고, 령기가 진행될수록 약해지다가 성충이 되어서는 없어졌다. 따라서 두부의 형광성반점은 벼멸구 약충의 판별에 활용하는데 있어 혁신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점용접 및 아크용접 겸용 로봇 자동화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Spot Welding and Arc Welding Dual Purpose Robot Automation System)

  • 이용중;김태원;이형우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73-80
    • /
    • 2004
  • A dual purpose robot automation system is developed for both arc welding and spot welding by one robot within a cell. The need for automation of both arc welding and spot welding processes is urgent while the production volume is not so big as to accommodate separate station for the two processes. Also, space is too narrow for separate station to be settled down in the factory. A spot welding robot is chosen and the function for arc welding are implemented in-house at cost of advanced functions. For the spot welding, a single pole type gun is used and the robot has to push down the plate to be welded, which causes the robot positioning error. Therefore, position error compensation algorithm is developed. The basic functions for the arc welding processes are implemented using the digital I/O board of robot controller, PLC, and A/D conversion PCB. The weaving pattern is taught in meticulously by manual teach. A fixture unit is also developed for dual purpose. The main aspects of the system is presented in this paper especially i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procedure. The signal diagrams and sequence logic diagrams are also included. The outcome of the dual purpose welding cell is the increased productivity and good production stability which is indispensable for production volume prediction. Also, it leads to reduction of manufacturing lead time.

  • PDF

$^{99m}Tc-tin$ colloid를 이용(利用)한 간(肝)스캔상(上) "Hot spot"로 나타난 상대정맥증후군(上大靜脈症候群) 1예(例) (The Hot Spot in Superior Vena Caval Obstruction Using $^{99m}Technetium$ tin Colloid)

  • 김병태;권기익;신영태;조경빈;이명철;조보연;고창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5-49
    • /
    • 1981
  • The hot spot on liver scan was demonstrated by many authors in various conditions such as SVC obstruction, Budd-Chiari syndrome, liver abscess, hemangioma of liver, hepatic venoocclusive diseases, IVC obstruction, and tricuspid insufficiency. And the appearance of hot spot in SVC obstruction is due to unsual collateral circulation. But there was no report of this hots pot on liver scan in our country. We have recently observed one patient with SVC obstruction who shows well-defined area of increased radioactivity between right and left lobe of liver on liver scan using $^{99m}Tc-tin$ colloid, and demonstrated collateral circulations with RI venography using $^{99m}Tc-O_4$. The injection site of radiocolloid was left antecubital vein. This hot spot did not appear when the radiocolloid was injected into right leg vein. We report here this hot spot on liver scan in SVC obstruction with review of some liter atures.

  • PDF

원유선물시장은 현물시장에 대해 가격발견 기능이 있는가 (Price discovery in the Crude Oil Spot and Futures Markets)

  • 변영태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2권5호
    • /
    • pp.287-300
    • /
    • 2013
  • 본 논문은 원유 현물시장과 선물시장 중에서 어떤 시장이 가격발견에 있어서 우월한 지를 실증분석한 것이다. 분석을 위해 2005년 4월 5일부터 2013년 10월 31일까지 두바이유 현물, 선물, 서부텍사스유 현물과 선물, 북해산 브렌트유 현물과 선물의 최근월물 일별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두바이유, 서부텍사스유 선물시장의 현물시장보다 가격발견에 있어서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오차수정계수인 ${\lambda}_1$은 통계적으로 비유의적인 값을 가지고 ${\lambda}_2$는 유의적인 양(+)의 값을 가졌다. 한편, Granger-Gonzalo 정보비율과 Hasbrouck 정보비율을 이용한 강건성 검정에서 두바이유와 서부텍사스유 두 시장 모두 GG 정보비율과 Habrouck의 중간값이 0.5보다 큰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선물시장이 현물시장보다 가격발견에 있어서 우월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하지만 브렌트유의 경우는 반대로 현물시장이 선물시장보다 가격발견에 있어서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Xanthomonas euvesicatoria Causes Bacterial Spot Disease on Pepper Plant in Korea

  • Kyeon, Min-Seong;Son, Soo-Hyeong;Noh, Young-Hee;Kim, Yong-Eon;Lee, Hyok-In;Cha, Jae-Soo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2권5호
    • /
    • pp.431-440
    • /
    • 2016
  • In 2004, bacterial spot-causing xanthomonads (BSX) were reclassified into 4 species-Xanthomonas euvesicatoria, X. vesicatoria, X. perforans, and X. gardneri. Bacterial spot disease on pepper plant in Korea is known to be caused by both X. axonopodis pv. vesicatoria and X. vesicatoria. Here, we reidentified the pathogen causing bacterial spots on pepper plant based on the new classification. Accordingly, 72 pathogenic isolates were obtained from the lesions on pepper plants at 42 different locations. All isolates were negative for pectolytic activity. Five isolates were positive for amylolytic activity. All of the Korean pepper isolates had a 32 kDa-protein unique to X. euvesicatoria and had the same band pattern of the rpoB gene as that of X. euvesicatoria and X. perforans as indicated by PCR-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nalysis. A phylogenetic tree of 16S rDNA sequences showed that all of the Korean pepper plant isolates fit into the same group as did all the reference strains of X. euvesicatoria and X. perforans. A phylogenetic tree of the nucleotide sequences of 3 housekeeping genes-gapA, gyrB, and lepA showed that all of the Korean pepper plant isolates fit into the same group as did all of the references strains of X. euvesicatoria. Based on the phenotypic and genotypic characteristics, we identified the pathogen as X. euvesicatoria. Neither X. vesicatoria, the known pathogen of pepper bacterial spot, nor X. perforans, the known pathogen of tomato plant, was isolated. Thus, we suggest that the pathogen causing bacterial spot disease of pepper plants in Korea is X. euvesicatoria.

한우 수정란 생산에 있어서 체외성숙의 생물학적 요인 III. 소 난포란의 체외성숙에 있어서 단백질 변화

  • 박용수;이재협;변명대;박흠대
    • 한국발생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발생생물학회 2003년도 제3회 국제심포지움 및 학술대회
    • /
    • pp.117-117
    • /
    • 2003
  • 체외에서 한우 난포란의 감수분열과 배발달 능력의 획득에는 단백질 합성이 수반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와 관련된 연구 보고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본 실험은 난자의 핵성숙과 관련된 세포질내 단백질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체외성숙 시간에 다른 배발달율과 세포질내 단백질을 비교하여 배발달능력 획득과 관련 있는 단백질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한우 난소에서 2-8mm의 가시난포로부터 난포란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난포란은 10% FBS와 호르몬이 첨가된 TCM199 용액에서 18시간 또는 24시간 체외성숙을 실시하였다. 난자 세포질내 단백질 변화는 2D gel electrophoresis를 이용하였고,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낸 spot은 peptide mass fingerprinting을 통하여 단백질 동정을 실시하였다. 체외수정은 fer-TALP 용액을, 체외배양은 CR1aa 용액을 배양 3일째까지는 0.3% BSA, 그 이후에는 10% FBS와 난관상피세포를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은 t-test를 이용하였다. 난자의 세포질에 대한 이차원전기영동 결과 29개의 단백질 spot들을 확인하였다. 한편 체외성숙 18시간째에 PB가 출현된 난자는 PB가 출현되지 않은 난자에 비하여 15개의 spot에서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이들 중 4개의 단백질 spot은 낮았고, 11개 spot의 수준은 높은 경향이었다. 체외성숙 18시간째와 24시간째의 배발달율을 조사한 결과 18시간째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배반포 발달율을 나타냈다. 그리고 체외성숙 18시간과 24시간째 난자의 세포질내 단백질 spot들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PB가 출현된 난자 세포질에서 단백질의 변화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그러나 2개의 단백질 spot은 상반된 경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난자의 핵성숙과 관련 있는 15개의 spot을 확인하였고, 이들 단백질 spot중에서 2개가 배발달 능력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보다는 육질등급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육질 1등급에서 배발달율이 낮은 이유는 육질 향상을 목적으로 암소를 비육 하는 경우 발생하는 번식장애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각각 가장 높았다. 배양 8일째 배반포의 세포수에 있어서 총세포수와 TE 세포수는 차이가 없었으나, ICM 세포수가 l0mg 첨가군에서 가장 높았다. 본 실험 결과에서 체외성숙 배지에 NEAA와 EAA 첨가가 배발달율에는 효과가 없었지만, 첨가농도의 증가에 따라 ICM 세포수가 증가하였다. 한편 체외성숙 배지에 LAH 첨가는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배발달율은 낮았지만 ICM 세포수는 증가하였다.에 Csk가 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성적 성숙에 따른 생쥐 정소 내 Src-Csk loop의 발현과 Src kinase 활성의 변동은 정소 내 간충조직, 세정관 상피의 증식 및 기능적 분화 과정을 매개하는 생리적 활성분자 수용체 하위의 신호전달 과정에 Src-Csk loop에 의한 조절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rugrene의 향기성분이 주요 성분군으로 확인되었다. 2. 생강나무에서 생강의 향기를 발산하는 성분으로는 $\beta$-myrcene, o-terpinolene, phellandrone, ι-limonene, $\beta$-eudesmol, $\delta$-cadinone, elemol, trans-caryophyllene으로 동정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phellandrene, $\beta$-eudesmol이 주된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 확인하였다. 유의적인 관련성이 나타났고, 복부 비만의 지표인 허리엉덩이둘레비는 GPT, alkaline phosphatase, 공복시 혈당 및 MCV 등 다양한 건강지표와 관련성을 나타내어 향후 비만에 있어 다양한 혈액 성상의 변화 및 역할규명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hat

  • PDF

이차원 전기영동을 이용한 Lactobacillus acidophilus Strains의 Shiga Toxin-producing E. coli (STEC) 부착 억제와 관련된 단백질 발현 변화 분석 (Comparison of Specific Proteins of Shiga Toxin-producing E. coli (STEC) Adhesion by Lactobacillus acidophilus Strains Using Two Dimensional Gel Electrophoresis)

  • 김영훈;문용일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63-268
    • /
    • 2006
  • 최근 들어 병원성 미생물의 저감화를 위하여 기존의 항생제 계열의 항균물질이 아닌 새로운 개념의 신소재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다. 특히, 이러한 신개념의 병원성 저감화 소재 중 인간의 장내에 존해하는 probiotics 균주의 특성을 이용하여 병원성 미생물을 예방하는 것은 보다 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실험에서는 HT-29 cell을 대상으로 L. acidophilus 균체와 세포 파쇄물을 대상으로 STEC ATCC 43894의 장 상피세포 부착 억제능력을 측정하였다. 10 mg/mL의 세포 파쇄물이 존재하였을 때 $10^9cfu/mL$의 균체가 존재했을 때와 유사한 수준으로 STEC ATCC 43894의 부착 저해 효과가 관찰되었다. 하지만, L. acidophilus A4의 상등액에서는 그 저해 효과가 세포 파쇄물의 $5{\sim}10%$ 정도 수준으로 관찰되어 그 효과는 매우 적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L. acidophilus A4의 세포 파쇄물이 STEC의 부착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10mg/mL의 세포 파쇄물이 첨가된 배지에서 STEC의 단백질발현 양상을 확인하였다. 각 gel의 image에서 평균적으로 800개의 spot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중 2배 이상의 발현차이를 보이는 13개의 spot을 선발하였다. 7개의 spot은 세포파쇄물이 첨가되었을 때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3개의 spot은 발현이 감소하였다. 흥미롭게도 3개의 단백질 spot은 세포파쇄물이 존재할 때만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명확하지는 않지만 이러한 L. acidophilus A4의 세포 파쇄물에 존재하는 물질은 (1)STEC의 부착과 관련된 특정 단백질의 발현을 저해하거나 (2)STEC과 장상 피세포에서의 수용체 경합을 통해 부착을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이와 관련된 보다 세부적인 작용 메카니즘 연구 및 생화학적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소아 단백뇨 검사에 있어서 요비중의 유용성 (Urine Specific Gravity as a Useful Tool for Screening Proteinuria in Children)

  • 김종화;유기환;홍영숙;이주원;김순겸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4권1호
    • /
    • pp.1-5
    • /
    • 2000
  • 목 적 : 24시간 소변내 단백량을 예측하는데 있어 spot urine의 단백은 소변량에 따른 보정이 필요하여 spot urine의 protein/creatinine(P/Cr)비를 이용하여왔다. 하지만 크레아티닌 측정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고, 비중(specific gravity; SG)을 이용하여 creatinine(estimated creatinine; Cr-est)을 산출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어, 24시간 소변내 단백량을 예측하는데 P/Cr-est비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8년 3월부터 6월까지 고려대학교 의료원 구로병원 소아과에 내원한 환아 147명을 대상으로 spot urine에서 단백, creatinine과 비중을 측정하여 creatinine과 비중의 상관관계 및 그 관계식을 구하고 24시간 소변내 단백량과 비교하였다. 결 과 : 1) spot urine의 creatinine과 비중은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R=0.407, P<0.001, Cr=SG. x 4485.82-4482.87). 2) 24시간 소변내 단백량은 P/Cr비와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R=0.771, P<0.001, 24시간뇨중 단백=0.338 x (P/Cr) +667.885). 3) 24시간 소변내 단백 량은 P/Cr-est 비와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R=0.723, P<0.001, 24시간뇨중 단백=0.354 x (P/Cr-est) +726.044) 결 론 : 소아단백뇨를 예측하는데 있어 spot urine의 비중으로 산출한 creatinine치를 이용하여 얻어진 P/Cr-est비가 선별검사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