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WNING PATTERNS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1초

한국산 긴몰개 (Squalidus gracilis majimae, Cyprinidae)의 산란 행동 (The Spawning Behavior of Korean Slender Gudgeon, Squalidus gracilis majimae, (Cypriniforms: Cyprinidae))

  • 박경서;홍영표;최신석;안광국
    • 생태와환경
    • /
    • 제38권2호통권112호
    • /
    • pp.207-216
    • /
    • 2005
  • 광조건 (D/L = 16 : 8), 수온 ($20\;{\sim}\;24\;^{\circ}C$) 및 용존산소 (>8 mg $L^{-1}$)가 일정하게 조절되는 실험실 조건 하에서 한국고유어종인 긴몰개 (Squalidus gracilis majimae)의 산란행동 양상 및 산란을 분석하였다. 산란행동은 크게 산란 전 단계 (pre-spawning), 산란 단계 (spawning) 및 산란 후 단계 (post-spawning)행동으로 대별되었다. 특히, 산란 전 행동은 구애 행동 (courtship) 양상에 따라 11개의 단계로 구분되었다. 산란 행동은 구애, 자극, 산란과 분리의 4단계로 나타났으며, 교미 후 단계에서는 휴식 (resting), 난 보호(egg protection) 및 난 섭식 (egg eating)의 3가지 행동양상을 보였다. 긴몰개의 산란은 소등 후 약 3 ${\sim}$ 5시간 사이에 이루어졌으며, 암컷은 간헐적으로 수류를 일으켜 산소를 공급하였고 난 보호 행동을 보였으나, 부화 완료시까지 포식자로부터 난을 보호하는 행동은 나타나지 않아 부분적으로 난을 돌보는 partial-parental care 종으로 나타났다.

모래주사 Microphysogobio koreensis(Cyprinidae)의 산란행동 (Spawning Behavior of Microphysogobio koreensis(Cyprinidae) in Korea)

  • 박종성;윤승운;김재구;김현태;박철우;김형수;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8-14
    • /
    • 2021
  • 멸종위기 담수어류 모래주사의 산란행동을 조사하기 위해 산란시기인 2012년 4월부터 5월까지 전북 임실군의 섬진강 일대에서 연구를 실시하였다. 모래주사의 산란은 무리산란 (group spawning)하는 어류와 달리 암수 한 쌍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수중으로 대량의 생식세포를 방출하여 산란하는 원시적인 생식모드 (broadcast spawner)로 확인되었다. 자연에서 모래주사의 산란행동은 휴식(resting), 유혹(male chase), 자극(body beating), 평행유영(parallel swim), 암컷의 산란회피(female withdrawal), 경쟁(male competition), 산란(spawning), 산란 후 난을 보호하는 행동은 보이지 않아(not guard) 총 8가지 행동을 보인 반면 수조 내에서는 휴식, 유혹, 자극, 평행유영, 산란, 산란 후 난을 보호하지 않은 6가지 행동이 관찰되었다. 특히 산란전 행동은 수조 내에서 보다 자연상태에서 더 빈번하게 일어났다. 이와 같은 행동적 차이는 작고 좁은 수조에서의 행동적 제약에 의한 결과로 추정된다.

멸종위기어류 얼룩새코미꾸리 Koreocobitis naktongensis (Cobitidae)의 수조 내 산란행동 (The Spawning Behaviour of the Endangered Freshwater Fish Koreocobitis naktongensis (Cypriniformes: Cobitidae) under Artificial Conditions)

  • 홍양기;양현;방인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5-21
    • /
    • 2021
  • 멸종위기에 처한 우리나라 고유 담수어류인 얼룩새코미꾸리 Koreocobitis naktongensis의 호르몬 처리에 의한 산란행동을 관찰하기 위하여 2010년 4월 20~27일까지 산란시기에 성 성숙 호르몬(Ovaprim)을 주사하여 산란행동을 관찰하였다. 산란행동을 분석한 결과 산란 전 행동, 산란행동, 산란 후 행동으로 구분되었다. 산란 전에는 주로 휴식과 유영을 반복하였다. 호르몬 주사 후 평균적으로 11~12시간 경과하면 산란행동을 시작하여 암·수 1 : 1로 1~18회 산란하였고, 수중에서 수컷이 골질반을 이용하여 암컷의 등지느러미 뒷부분의 몸을 원의 형태로 감싸안고 산란이 이루어졌다. 산란 후 행동에서는 특별한 난 보호행동은 보이지 않았으며 산란에 참여하지 않은 개체들이 수정란 일부를 섭식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동해 명태(Gadus chalcogrammus) 서식처 표층수온 장기 변동 특성 (Long Term Changes in Sea Surface Temperature Around Habitat Ground of Walleye Pollock (Gadus chalcogrammus) in the East Sea)

  • 설강수;이충일;정해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95-205
    • /
    • 2020
  • 동해 명태 서식처 환경은 한랭기와 온난기를 교차하며 변동을 지속하고 있다. 특히 1980년대 후반 이후 수온은 급격히 상승하였으며, 2000년대 후반 이후 다시 하강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명태 주요 산란장이 위치한 동한만과 어장 중심이 형성되는 동해 중부 연안의 수온은 서로 다른 변동 특성을 나타내었다. 동한만의 겨울철 수온은 1980년 후반 이후 급격히 상승하였으며, 2000년 후반 이후 다시 하강하는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장기 변동특성은 2월과 3월에 더욱 뚜렷하였다. 반면 어장의 중심이 형성되는 동해 중부 연안의 수온은 1990년대 중후반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하였으며, 2000년 후반 이후 수온이 하강하는 특성은 뚜렷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산란장과 어장의 수온변화는 명태 자원량과 변동 특성이 유사하였다. 특히 산란장의 수온 변화는 난과 자·치어를 포함한 초기 생활사 시기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로 작용한다. 1980년대에는 명태의 산란에 적합한 환경이 조성되는 면적과 지속시간이 평년보다 증가하였으며, 반대로 동해에 서식하는 명태의 자원량이 급격히 감소한 1980년대 후반 이후에는 산란장 면적과 적합한 환경이 지속되는 시간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명태 자원량 변화는 서식처의 물리적 환경변화와 유의한 상관성을 가지며, 특히 산란장의 수온 상승에 따른 산란에 적합한 환경이 조성되는 면적과 지속시간의 감소 그리고 어장의 축소는 명태 자원량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로 작용하였다.

Gametogenic Cycle and the Size at 50% of Group Sexual Maturity in Male Chlamys (Azumapecten) farreri nipponensis (Kuroda, 1932) (Bivalvia: Pectinidae) in Western Korea

  • Park, Ki Yeol;Chung, Ee-Yung;Lee, Ki-Young;Park, Kwan Ha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5-76
    • /
    • 2013
  • We investigated the gametogenic cycle and spawning seasons of the male Chlamys (Azumapecten) farreri nipponensis by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es, and also the size at 50% of group sexual maturity was calculated by the data of first sexual maturity. In this study, the male gametogenic cycle of this species by qualitative analysis was divided into five successive stages: early active stage (January to March), late active stage (March to April), ripe stage (April to August), partially spawned stage (July to September), and spent/inactive stage (August to January). The male gametogenic cycle showed similar patterns with monthly changes in the gonadosomatic index and condition index. Particularly, spawning in male scallop occurred once a year from July to September, unlike the spawning period of this species (from June to August) reported by the previous researchers. In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using an image analyzer system, the patterns of monthly changes in the percent (%) of the areas occupied by spermatogenic stages to the testis areas in males showed a maximum in June, and then sharply dropped from July to September, 2006. From these data, it is apparent that the spawning season of C. (A.) farreri nipponensis occurred once per year from July to early September, indicating a unimodal gametogenic cycle during the year. Shell heights at 50% of group sexual maturity (RM50) fitted to an exponential equation were estimated to be 49.90 mm in males (considered to be one year old), and it was 100% for male scallops over 61.0 mm (considered to be two years old).

Gametogenic Cycle and the Number of Spawning Seasons by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Size at 50% of Group Sexual Maturity in Atrina (Servatrina) pectinata (Bivalvia: Pinnidae) in Western Korea

  • Chung, Jae Seung;Chung, Ee-Yung;Lee, Chang-Hoon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63-375
    • /
    • 2012
  • The gametogenic cycle, the number of spawning seasons per year and first sexual maturiity of the pen shell, Atrina (Servatrina) pectinata, were investigated by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using an Image Analyzer System. Compared two previous results (the spawning periods in the reproductive cycles in 1998 and 2006) by qualitative histological analysis with the present results by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spawning periods: the spawning period (June to September) by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one month longer than those of two previous reports (June to July or June to August) by qualitative histological analysis. However, the number of spawning seasons studied by the qualitative and quatitative analyses occurred once per year. In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using an image analyzer system, the patterns of monthly changes in the percent (%) of the areas occupied by follicles to the ovary area in females (or that of the areas occupied by spermatogenic stages to the testis area in males) showed a maximum in May, and then sharply droped from June to September, 2006. From these data, it is apparent that the spawning season of A. (S.) pectinata occurred once a year from June to September, indicating a unimodal gametogenic cycle during the year. Shell heights of sexually mature pen shells (size at 50% of group sexual maturity, $GM_{50}$) that were fitted to an exponential equation were 15.81 cm in females and 15.72 cm in males (considered to be one year old).

우리나라 서해남부 해역에 출현하는 둥근돗대기새우 (Leptochela sydniensis)의 개체군 동태 및 생식생태 (Population Dynamics and Reproductive Biology of Leptochela sydniensis in the Southwestern Waters of Korea)

  • 오철웅;최정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46-653
    • /
    • 2003
  • Investigations were made on the population structure, sex ratio, growth, and recruitment patterns of Leptochela sydniensis in the southwestern coastal areas of Korea, between May 2000 and December 2001. Spawning period, fecundity, brood loss, reproductive output, and size at sexual maturity also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e sex ratio showed that females were more numerous than males during the overall study period. Parameters of growth were estimated using the modified von Bertalanffy growth function (VBGF) model incorporating seasonal variation into growth. Females grew somewhat faster and reached a larger size than males $(L\infty=12.80\;mm\;CL\;and\;K=0.70\;yr^{-1}\;or\;females,\and\;L\infty=12.08\;mm\;CL\;and\;K=0.69\;yr^{-1}$ for males). The structure of recruitment patterns obtained by the FiSAT program indicated one normally distributed group. Based on the occurrence of ovigerous females and the gonadosomatic index (GSI), the main spawning season was from June to August. Analysis of covariance indicated that brood loss was not observed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The size at which $50\%$ of females are mature is estimated as 5.48 mm CL.

Population Biology of Korean Pomfret Pampus echinogaster (Basilewsky, 1855) (Perciformes: Stromateidae) on the Western Coast of Korea, Yellow Sea

  • Oh, Chul-Woong;Na, Jong-Hun;Kim, Jin-Koo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3권1호
    • /
    • pp.83-89
    • /
    • 2009
  • Investigations were made on population biology of Pampus echinogaster (Basilewsky, 1855) in the coastal areas of Korea, Yellow Sea, between August 2005 and July 2006. Population structu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s. Monthly variation of gonadosomatic index (GSI) of both sexes defined spawning period extending from March through July. A similar pattern was also observed in change at maturity stages. For males and females GSI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epatosomatic index (HSI). Fecundity, ranging from 41,250 to 103,610 eggs, was related to body size, indicating that body size is the useful determinant of fecundity. The sexual maturity ($L_{50}$) was estimated as 14.98 cm TL for males and 19.32 cm TL for females. Parameters of growth estimated by the modified von Bertalanffy growth function model showed that the values of $L_{\infty}$ and K for combined data were 39.12 cm TL and 0.65 $yr^{-1}$. The growth performance index of this study (2.75) was higher than that of the previous study (2.45). This difference could be attributed to sampling method. The recruitment patterns indicated one normally distributed group. Percentage of the recruitment was 51.04% in the spawning season and the highest in August (19.78%).

구굴무치과에 속하는 동사리와 얼룩동사리의 Carotenoid 색소성분의 비교 (Comparison of Carotenoid Pigments on Korean Dark Sleeper, Odontobutis platycephala and Dark Sleeper, Odontobutis odontobutis interrupta in the Family Eleotridae)

  • 하봉석;김명선;백승한;김현영;김수영;정계임;권문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813-820
    • /
    • 1998
  • This study was performed as a part of comparative biochemical studies of carotenoid pigment for the fresh water fish. Carotenoids in integument of Korean dark sleeper, Odontobutis platycephala, and dark sleeper, Odontobutis odontobutis interrupta, which are all the Korean native fresh water fish, were separated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column chromatography and HPLC. The separated carotenoid were then reduced and isomerized by NaBH4 and I2 respectively to investigate UV-Vis spectrophotometeric patterns and chracterized by IR, 1H-NMR and Mass spectrum. The content of total carotenoids in the integument of Korean dark sleeper was 3.01mg% in April, but it was increased to 3.74mg% in September at the near of spawning period. The carotenoid isolated in April consisted of $\beta$-carotene(25.6%), lutein(18.5%) and zeaxanthin(12.0%) as major carotenoids and also contained isocryptoxanthin, diatoxanthin, tunaxanthin, cynthiaxanthin, canthaxanthin and $\alpha$-cryptoxanthin as minor carotenoids. Similarly, in September the carotenoid consisted of $\beta$-carotene(16.5%), zeaxanthin(13.7%) and cynthiaxanthin(13.6%) as major carotenoids and also contained lutein, isocryptoxanthin, tunaxanthin, $\alpha$-cryptoxanthin, diatoxanthin and canthaxanthin as minor carotenoids. At the near of spawning period, the content of cynthiaxanthin and $\alpha$-cryptoxanthin were increased. The content of total carotenoids in the integument of spawning period. T도 carotenoid isolated in April and September consisted of $\beta$-carotene(24.9%, 27.5%), zeaxanthin(14.4%, 20.9%) and lutein(12.6%, 11.4%) as major carotenoids and also contained cynthiaxanthin, tunaxanthin, diatoxanthin, isocryptoxanthin, $\alpha$-cryp-toxanthin and canthaxanthin as minor carotenoids. At the near of spawning period, the content of zeaxanthin was increased, indicating that the carotenoid composition were dependent upon their living conditions and their integument colors. Both Korean dark sleeper and dark sleeper contained high amount of cynthiaxanthin and diatoxanthin which are found as rare carotenoids in the other of fresh water fish. It is interes that they also contained tunaxanthin which is a specific carotenoid in marine fishes.

  • PDF

납자루아과(Pisces: Acheilognathinae) 어류 3종의 숙주조개에 대한 산란양상 및 재첩(Corbicula fluminae) 내 산란 국내 최초 보고 (Spawning patterns of three bitterling fish species (Pisces: Acheilognathinae) in host mussels and the first report of their spawning in Asian clam(Corbicula fluminae) from Korea)

  • 서진규;최희규;이혁제
    • 환경생물
    • /
    • 제41권3호
    • /
    • pp.229-246
    • /
    • 2023
  • 본 연구는 낙동강 지류인 고령 회천 유역의 납자루아과어류 3종(줄납자루, 낙동납자루, 각시붕어)을 대상으로 숙주조개 종에 대한 산란양상을 조사하고 재첩 내 산란한 종을 식별하였다. 현장에서 채집된 총 200개 조개 중 납자루아과 어류 산란율은 말조개(45.2%)와 작은대칭이(45.5%)가 유사하였으나, 재첩은 12.1%로 낮게 나타났다. 재첩을 산란조개로 이용한 납자루아과 어류는 줄납자루와 낙동납자루로 확인되었다. 말조개에서는 납자루아과 3종 모두 산란이 확인되었으며 작은대칭이에선 줄납자루만 산란이 확인되었다. 기존 문헌에 의하면, 재첩은 말조개류보다 크기가 작고 아가미 구조가 달라 납자루아과 어류의 난 및 치어가 생존에 불리하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재첩과는 산란숙주조개로서 이용될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재첩 내 납자루아과 어류 산란이 최근 중국에서 보고된 바 있고, 본 연구를 통해 재첩내 납자루아과 산란이 국내 최초로 확인되었다. 이는 재첩이 납자루아과의 산란숙주조개로 이용되었다는 것을 의미 하지만, 산란 후 발생과정을 거쳐 유영능력을 획득하여 조개 밖으로 이동해 독립된 생활사를 지속하는지에 대한 여부는 추후 확인이 필요하다. 재첩 내 산란이 산란초기에 나타나는 현상이거나 높은 경쟁관계와 같은 생물학적 환경요인에 의한 현상일수도 있는점을 고려해 추후 5, 6월 시기에 조사가 필요하다. 또한 낙동강수계의 다른 하천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납자루아과 어류의 재첩에 대한 산란양상 파악을 보다 면밀히 구명할 필요가 있다. 말조개 33개체 중 19개체(57.6%)에서 납자루아과 어류 2종 이상의 난이 관찰되었고, 이러한 결과는 산란장을 차지하기 위한 납자루아과 어류 종간경쟁의 강도가 매우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낙동강에 서식하는 납자루아과 담수어류의 산란양상을 보다 정확히 규명하고 이들 자연개체군의 효과적인 유지, 관리 및 보전 방안 마련을 위한 생태, 유전적 기초 데이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