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 조사

검색결과 1,843건 처리시간 0.032초

동물원(動物園)에서 사육중(飼育中)인 야생동물(野生動物)의 기생충감염(寄生蟲感染) 관(關)한 조사(調査) (Epizootiological Study on Infestation Rate of Parasites in Zoo Animals)

  • 박영재;이원창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7-26
    • /
    • 1977
  • Parasites of wild animals are closely related with parasites of domestic animals. Wild animals take charge of an important role at parasitic infestation of domestic animals because of unrestrained movement. The authors carried out the work of actual condition of parasitic infestation on wild animals, total 1,014 cases, in the Korean Zoo.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otal rate of parasitic infestation was 36.1% with infestation of 366 among 1,014 cases. The rate of single infestation was 32.6% with infestation of 331 cases, double infestation 3.1% with 31 cases, triple infestation 0.2% with 2 cases and quadrople infestation 0.2% with 2 cases. 2. The parasites on the zoo animals were identified as follows: Lion: Sarcoptiform, Toxocara sp., Toxascaris leonina, Ancylostoma sp. and Isospora spp. Puma: Toxocara sp., Ancylostoma sp. and Isospora sp. Leopard: Toxocara spp., Ancylostoma sp., Trichuris sp., Dibothriocephalus sp. and Physaloptera sp. Wolf: Sarcoptiform and Dibothriocephalus spp. Fox: Trichuris sp., Capillaria aerophila, Spirocerca sp., Paragonimas kellicotti. Jackal: Sarcoptiform, Ascaris sp. and Echinococcus granulosus. Wild Cat: Dibothriocephalus sp. Tiger: Toxascaris leonina. Bear: Sarcoptiform, Metastrongylus apri, Ancylostoma sp. and Ascaris sp. Raccoon and Raccoon dog: Sarcoptiform, Paragonimus kelliotti, and Isospora sp. Boar: Oesophagostomum spp. and Eimeria spp. Mortkey: Sarcoptiform, Trichuris sp., Physaloptera spp.. Enterobius sp. and Isospora sp. Elephant: Sarcoptiform, Strongyloides sp. and Strongylus spp. Deer: Sarcoptiform, Strongyloides sp., Trichuris ovis, Mccistocirrus digitatus, Haemonchus sp., Oesophagostomum radiatum, Paramphistornum spp., Bunostomum phlebotomum, Fasciola hepatica and Eimeria spp. Bison: Sarcoptiform, Haernonchus sp., Marshallagia sp., Nematodirus sp. and Eimeria sp. Zebra: Strongylus sp. and Parascaris equorum. Goral and Barbary: Sarcoptiform, Haemonchus sp., Oesophagostomum venulosum, Moniezia sp. and Eimeria spp. Lama: Strongyloides sp. and Haemonchus sp. Kangaroo: Strongyloides sp. and Haemonchus sp. Camel: Strongyloides sp., Trichuris ovis and Eimeria sp. Peacock and the Other Birds: Sarcoptiform, Capillaria contorta, Capillaria caudinflata, Ascaridia spp., Heterakis spp., Hymenolepis sp., Eimeria spp., Histomonas, Ornithionyssus bacoti, Macrochelidae and Trichomonas. 3. Among the zoo animals, wild carnivora were infestated with the parasites which are common parasites of dogs and cats, wild herbivora were infestated with the parasites of herbivora domestic animals. and wild fowls were infestated with the parasites of domestic fowls.

  • PDF

동산문화재 다량 보관처의 공기 중 부유 미생물 분포 조사 (A Survey for Distribution of Airborne Microorganisms in Storage of Movable Cultural Properties)

  • 홍진영;서민석;김수지;김영희;조창욱;이정민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36호
    • /
    • pp.64-73
    • /
    • 2015
  • 동산문화재 보관처는 사찰과 문중 또는 개인 소유자가 관리하므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보존 관리가 부족하며 이로 인해 열악한 보존환경으로 이어질 수 있다. 실내 공기질에 부유하는 먼지와 미생물은 문화재에 생물학적 훼손을 발생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동산문화재들이 보관되어 있는 10곳의 수장시설 또는 전시 및 보관시설에 대하여 실내 공기 중 부유 미생물의 분포 상태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수집된 미생물의 집락수는 조사 장소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냈는데, 가장 미생물 오염이 심각했던 보관처는 전남 영암의 D 유물전시관으로 이곳은 모든 조사 지점에서 $2,000C.F.U/m^3$ 이상이 검출되었으며 대부분의 소장처에서는 $166C.F.U/m^3$ 이상의 진균이 부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검출된 미생물을 동정한 결과, Aspergillus sp.와 Penicillium sp., Alternaria sp. Cladosporium sp.등이 공통적으로 확인되었으며 Ceriporia lacerata, Ganoderma carnosum, Myrothecium gramineum 와 Bjerkandera sp. 등과 같은 부후균도 동정되었다. 이러한 진균들은 문화재의 원형 손상 등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부유 진균 농도에 대한 권고기준을 제시하고 소장처의 보존환경 관리 시스템을 마련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대구 도시철도 경산 연장에 따른 대구-경산 간 대학생 통학통행의 도시철도 전환수요 분석 - 개통 전 SP모형과 개통 후 RP모형의 비교 - (Analysis of University Students' Modal Shift for Commuting Trip Due to the Introduction of New Urban Rail Transit in Gyeongsan City - Comparison between SP Model Before the Introduction and RP Model After the Introduction -)

  • 윤대식;이찬휘
    • 지역연구
    • /
    • 제32권4호
    • /
    • pp.39-4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대구 도시철도 경산 연장에 따른 대구-경산 간 대학생 통학통행의 도시철도 전환수요를 분석하기 위해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종착역(영남대역)의 직접적인 영향권에 있는 영남대학교를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여 대학생들의 도시철도 연장 개통 전과 후의 교통수단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대구광역시에 거주하면서 경산시에 위치한 영남대학교로 통학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도시철도 연장 개통 전과 후의 통학통행을 위한 교통수단 선택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개통 전(2011년) SP자료와 개통 후(2013년) RP자료를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SP자료와 RP자료를 활용하여 도시철도 연장에 따른 교통수단별 도시철도 전환율을 분석하고, 도시철도로의 전환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두 가지 자료(SP자료와 RP자료)를 활용하여 별개의 로짓모형을 추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논의하였다. 아울러 분석결과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개통 전(2011년) SP자료와 개통 후(2013년) RP자료 모두에서 스쿨버스와 버스의 도시철도 전환율이 승용차의 도시철도 전환율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SP자료를 활용한 로짓모형 추정결과 통행시간 절약 변수가 도시철도 전환 여부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된 반면, RP자료를 활용한 로짓모형 추정결과는 거주지(거주지 동의 도시철도 통과 여부) 변수가 도시철도 전환 여부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가막만 가두리 양식자의 어류질병에 관한 연구 (Present Situation of Diseases Occurred with Cultured Marine Fishes in Kamak Bay)

  • 최상덕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9-15
    • /
    • 1997
  • 여천군 가막만에서 해산어류의 어병발생은 20^{\circ}C$이상인 시기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다. 어종별 병원성생물은 넙치가 Vibrio sp., Edwardsiella sp., Streptococcus sp., Vibrio+Edwardsiella sp., Streptococcus sp.+Microcotyle sp,+Caligus sp. 및 Trichodina sp.에 감염, 조피볼락은 원인 불명 (선회병; 원인생물은 포도상구균으로 1994년에 동정함), 림포시스티스증, , Vibro+Microcotyle sp. 및 Streptococcus sp.+Micrococcus sp.에 감염, 농어는 림포시스티스증, Vibro sp., Vibro+Streptococcus sp. 및 Streptococcus sp.+Microcotyle sp.+Caligus sp.에 감염, 참돔은 Edwardsiella sp.에 각각 감염되었다. 조사지점 7개소 중 1, 5 및 6번 가두리 양식장은 20^{\circ}C$이상인 6월부터 10월까지 연속적으로 어병이 발생하였다. 약제감수성시험에서 Vibrio sp. (KS-9303)는 옥시테트라사이크린, 클로람페니콜, Edwardsiella sp. (KP-9315)는 옥시테트라사이클린, Flaxibacter sp. (KP-9318)는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옥소린산 및 클로람페니콜, 그리고 Streptococcus sp. (KP-9319)는 에리스로마이신, 옥시테트라사이클린 및 클로람페니콜 순으로 감수성이 나타났다.

  • PDF

AI 종모돈 정액내 세균감염 정도와 항생체 감수성에 관한 연구

  • 홍종훈;김창근;정영채;김일;류재원;손동수;김인철;이장희;윤희진;강권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초록집
    • /
    • pp.32-32
    • /
    • 2002
  • 본 연구는 인공수정용 액상정액을 생산하는 돼지 AI 센터의 종모돈으로부터 채취한 정액내 세균 감염정도를 조사하고 감염율이 높은 세균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3개 AI 센터의 원정액내 세균수 (cfu × 10²/㎖)는 각각 8.2±28.8(1 -100), 18.2± 20.0(5-48) 및 33.1±62.l(4-173)로서 평균 23.8±38.l 이었고 AI 센터간, 개체간에 변이 가 컸다. 감염 세 균의 특성은 간균 74%, Gram stain(+)균 60%, catalase 생산 (+)균 100% 및 oxidase activity (+) 균 98%였으며 센터간에 다소 차이가 있었다. 정액샘플내 감연빈도가 높은 세균은 Bacillus sp(조사시료의 75.0%), Pseudomonas sp(67.9%), Proteus sp(53.8%), Staplhylococcus sp(53.6%), E. coli(l5.4%), Klebsiella sp(15.4%), Enterobacter sp(7.7%) 순이었으며 전체 감염세균 종류중 이들 세균의 비율은 각각 25.6%, 20.9%, 16.3%, 18.6%, 4.7% 및 2.3%였다. 액상정액에서 보존 2일과 6일의 세균수 (cfu×10²/㎖)는 2.4± 2.7과 44.0±44.6이었다. 항생제 감수성은 Corynebacterium sp의 경우는 8종 항생제 중 3종 (Streptomycin, polymyxin B, erythromycin)에서 저항성을 나타냈다.(농림기술개발사업 연구결과의 일부)

  • PDF

제방누수조사에의 물리탐사기법의 활용(쌍극자배열 전기비저항탐사와 SP탐사를 중심으로) (Application of Geophysical Exploration Methods to Seepage Bone Investigation of Dam Structures)

  • 원종근;송성호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1999년도 제2회 학술발표회
    • /
    • pp.240-257
    • /
    • 1999
  • 우리나라의 저수지 총수 18,032 개소의 $16\%$에 달하는 저수지가 누수를 겪고 있다. 이러한 불안전 시설물 조사에 있어서 물리탐사기법의 활용은 경제적 측면에서 지극히 자연스러운 흐름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비저항탐사에 의해 이미 조사된 자료들을 분석하여 현장측정값의 모형을 보여주고 저수지에서의 누수조사 현장경험을 기술하였으며 토질과 전기비저항값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모래함량과의 연관성을 얻었다. 또한 SP탐사기법은 방조제뿐만 아니라 저수지 누수 조사에서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저장마늘을 가해하는 해충조사 (Survey on the Pests of Stored Garlic)

  • 나승용;조명래;김동순;박권우;우종규;김기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5-71
    • /
    • 1998
  • 전국의 마을 주산단지에서 수집한 마늘을 대상으로 1994년부터 1995년까지 2년간 저장마늘을 가해하는 해충의 종류와 밀도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저장마늘을 가해는 해충으로 검출빈도와 밀도가 높은 종류는 마늘혹응애(Aceria tulopae), 뿌리응애(Rhizoglyphus sp.) 마늘줄기선충(Dity- lemchus dipsaci), 긴털가루응애(Tyrophagus putrescentiae)등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갈색먼지응애(Tarsonemus bilobatus)와 귀리둥근꼬리선충(Aphelenchus avenae)은 검출빈도 및 밀도가 낮았다. 마늘혹응애는 1994년 조사에서는 38%의 검출율을 보였으나 1995년도 조사에서는 62%의 높은 검출율을 나타내었아. 뿌리응애는 1994년조사에서 63%의 검충율을 나타내었으나 1995년조사에서는 13%로 낮았다. 마늘 인편당 뿌리응애수는 1~135마리로 조사되었으며 피해를 입은 마늘은 부패하는 증상을 나타내었다. 긴털가루응애는 1994년에는 32개 농가 중 22개 농가에서, 1995년에는 39개 농가 중 21개농가에서 검출되었다. 그러나 밀도는 다른 응애류에 비해 비교적 낮았으며 저장중 마늘에서 긴털가루 응애의 피해유발 여부에 대해서는 확인할 수 없었다.

  • PDF

Aeromonas sp. MN44의 특성과 망간 산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ganese Oxidation and Characteristics of Aeromonas sp)

  • 구종서;박경량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4-99
    • /
    • 2005
  • 충청남도 목천과 충청북도 오창 근교의 토양으로부터 망간을 산화하는 64 집락을 분리하고 이 중 망간 산화능이 가장 우수한 한 균주를 최종 선별하여 생리,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16S rRNA 염기 서열분석 등을 통하여 동정한 결과 최종 선별된 균주는 Aeromonas sp. MN44로 확인되었다. 최종 선별된 Aeromenas sp. MN44는 lactose를 제외한 여러 당들은 이용하지 못하였으며, 중금속내성은 lithium과 manganese에 대해서는 mg/ml 단위의 높은 농도까지 중금속 내성을 가지고 있었지만 cadmium에는 전혀 내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 kanamycin, chloramphenicol, ampicillin, tetracycline, spectinomycin등 조사한 모든 항생제에 대해 전혀 내성을 갖지 않았다. Aeromonas sp. MN44가 생성하는 망간산화물질의 최적 pH는 pH 7.4로 확인되었으며, 이 균이 생성하는 망간 산화 factor는 proteinase K와 가열처리에 의해 저해되는 단백질이고, ammonium sulfate 침전과 ion exchange chromatography 그리고 gel filtration의 단계를 통해 부분 정제한 망간 산화 factor의 분자량은 약 113 kDa로 확인되었다.

농생태계 서식하는 지렁이 종 분포조사 (Occurrence of Earthworm in Agro-ecosystem)

  • 홍용;김태흥
    • 환경생물
    • /
    • 제25권2호
    • /
    • pp.88-93
    • /
    • 2007
  • 2006년 5월부터 10월까지 국내 농생태계 49지점에서 탐색 수집된 지렁이는 3과 5속 15종 1,846 개체이며 종 구성은 다음과 같다. Amynthas agrestis 20.9%, Amynthas koreanus 20.3%, Amynthas heteropodus 15.4%, Amynthas sp. 8.7%, Drawida japonica 8.0%, Eisenia fetida 7.2%, Amynthas hilgendorfi 7.0%, Bimastos parvus 3.2%, Amynthas hupeiensis 2.5%, Aporrectodea caliginosa 1.8%, Amynthas corticis 1.8%, Aporrectodea tuberculata 1.3%, Eisenia andrei 1.2%, Amynthas sp.20.4%, Amynthas sp. 1 0.3%이다. 종 조성 비율을 보면 이와 같이 왕지렁이속, A. agrestis, A. koreanus, A. heteropodus 3종이 차지하는 개체수는 1,046개체로 전체의 약 56.7%를 차지하는 우리나라 농생태계의 우점종 이다. 성숙 개체와 미성숙 개체의 비율은 1.25:1로 성숙된 개체가 더 많이 출현하였다. Amynthas sp. 1, Amynthas sp. 2는 본 조사를 통하여 처음으로 확인되는 신종 후보로, 여러 외부형질, 특히 malepore의 형태가 지금가지 국내에서 기록된 다른 왕지렁이속에 속하는 종들과는 확연히 구별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아가미지렁이(Branchiura sowerbyi)에 기생하는 포자충류에 관한 연구 Ⅱ (A study on Actinosporeans parasitized inBranchiura sowerbyi (Oligochaeta : Annelida) Ⅱ)

  • 김영길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07-211
    • /
    • 2004
  • 2004년 4월부터 5월까지 전북 군산 소재 대위저수지와 전북 완주 소재 양어장 배수로의 아가미지렁이(Branchiura sowerbyi)를 조사한 바, 한국 미기록종인 2종의 방선포자충 Raabeia sp.와 Triactinomyxon sp.가 각각 1종씩 검출되었다. 검출된 방선포자충은 각각 Raabeia sp. E와 Triactinomyxon sp. F로 기재하였고, 그 기생률은 아가미지렁이 총 200마리중에서 14%인 28마리가 기생되었고, 이 중 Raabeia sp. E는 13.5% (27마리), Triactinomyxon sp. F는 0.5% (1마리)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