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D2

검색결과 2,054건 처리시간 0.036초

Scanning Electrochemical Microscopy를 이용한 한우 체내 수정란의 호흡률 조사 (Respiration Rates of Individual Bovine In Vivo-Produced Embryos Measured with a Novel, Scanning Electrochemical Microscopy)

  • 김현;복난희;김성우;도윤정;김민규;조상래;성환후;김동훈;고응규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91-99
    • /
    • 2014
  • Oxygen consumption is a useful parameter for evaluating mammalian embryo quality, since individual bovine embryos was noninvasively quantified by scanning electrochemical microscopy (SECM). Recently, several approaches have been used to measure the oxygen consumption rates of individual embryos, but relationship between oxygen consumption and pregnancy rates of Hanwoo following embryo transfer has not yet been reported. In this study, we measur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oxygen consumption rate and pregnancy rates of Hanwoo embryo using a SECM. In addition to, the expression of pluripotent gene and anti-oxidant enzyme was determined using real-time PCR by extracting RNA according to the oxygen consumption of in vivo embryo. First, we found that the oxygen consumption significantly increased in blastocyst-stage embryos (blastocyst) compared to early blastocyst stage embryos, indicating that oxygen consumption reflects the embryo quality (Grade I). Oxygen consumption of blastocyst was measured using a SECM and total cell number of in vitro blastocyst was enumerated by counting cells stained by propidium iodide. The oxygen consumption or GI blastocys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GII blastocysts ($10.2{\times}10^{15}/mols^{-1}$ versus $6.4{\times}10^{15}/mols^{-1}$, p<0.05). Total cell numbers of in vitro blastocysts were 74.8, 90.7 and 110.2 in the oxygen consumption of below 10.0, 10.0~12.0 and over $12.0{\sim}10^{15}/mols^{-1}$, respectively. Pregnant rate in recipient cow was 0, 60 and 80% in the transplantation of embryo with the oxygen consumption of below 10.0, 10.0~12.0 and over $12.0{\times}10^{15}/mols^{-1}$, respectively. GPX1 and SOD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over -10.0 group than below 10.0 groups but in catalase gen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other hand, In OCT-4 and Sox2, pluripotent gen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between the below-10.0 ($0.98{\pm}0.1$) and over 10.0 ($1.79{\pm}0.2$).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asurement of oxygen consumption maybe help increase the pregnant rate of Hanwoo embryos.

황금열수추출물이 DNCB로 유도된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 흰쥐의 항산화능 및 표피회복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cutellaria baicalensis Water Extract on Antioxidative Activity and Epidermal Thickness in DNCB-induced Allergic Contact Dermatitis Animal Model)

  • 김윤희;박영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543-548
    • /
    • 2006
  • 본 실험은 황금열수추출물이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 유발 시 항산화활성, serum Ig E농도와 표피회복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행해진 것으로 1-chloro-2,4-dinitrochlorobenzene(DNCB: 2.5% DNCB 1 mL로 감작, 4일 경과 후 1% DNCB 1 mL로 유발) 처리로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이 유발된 Sprague Dawley rat 수컷 흰쥐에 황금열수추출물(1 mL/kg/day)을 경구투여한 다음 혈장과 간의 항산화활성, 혈중 Ig E 농도, 표피두께변화를 관찰하였다. DNCB 처리에 의해 지질과산화물 함량과 Ig E 농도, 표피두께가 증가하였으며 황금열수추출물의 경구투여에 의해 간의 지질과산화물 함량 감소, 혈중 Ig E 농도 감소, 표피두께가 저하되는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황금열수추출물이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으로 유발된 rat의 체내 항산화활성과 Ig E 농도개선, 표피두께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화산회토 감귤원의 표토관리방법이 토양 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surface Soil Management Practices on Microflora in Volcanic Ash Soils of Citrus Orchard)

  • 좌재호;임한철;고상욱;현해남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65-170
    • /
    • 2004
  • 화산회토 노지 감글원에서 청경, 초생, 부초재배 등의 표토관리 방법이 토양의 미생물밀도, 효소활성 및 microbial biomass C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997년에 개화기인 5월과 과실비대기인 9월에 청경재배, 초생재배, 부초재배 감귤원 각각 10개소에서 토양을 채취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토관리방법에 따른 토양의 화학성 차이는 없었으며 pH는 평균 4.7로 낮았다. 유기물과 질소 함량은 평균값으로 각각 140.2 및 $6g\;kg^{-1}$이었으나 조사지점에 따라 다양하였다. 감귤원 토양에서 호기성 세균은 $26,2-47.3{\times}10^6cfu\;g^{-1}$ 수준의 분포를 나타냈으며 호기성 세균속 중에는 Pseudomoras spp., 고온성 Bacillus spp., Rhizobium spp. 등이 우점하는 경향이었다. 방선균은 $1.8-84.6{\times}10^5cfu\;g^{-1}$ 수준으로 분포를 하였고 개화기에 밀도가 높았다. 사상균은 $26.4-182.1{\times}10^5cfu\;g^{-1}$ 수준의 분포를 나타냈으며 초생재배와 부초재배에서 많았다. 과실비대기에 토양 인산효소활성은 청경재배에서 $239.6{\mu}g\;PNP\;g\;soil^{-1}\;h^{-1}$, 토양 cellulase 활성은 초생재배에서 $602.6{\mu}g\;GE\;g\;soil^{-1}$\;24\;h^{-1}$로 높았다. Microbial biomass C는 부초재배에서 $256.3mg\;C\;kg\;soil^{-1}$로 가장 높았다.

와송이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 쥐의 간내 지질 및 항산화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ter Extract from Orostachys japonicus on Lipid and Antioxidant Metabolism in the Liver of Obese Mice)

  • 이형선;김수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515-521
    • /
    • 2019
  • 본 연구는 고지방 식이로 유발된 비만 모델의 지질 및 항산화 관련 효소의 대사에 대하여 와송 열수 추출물의 섭취를 통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정상군을 제외하고 나머지 군은 8주 동안 고지방식이를 공급하여 비만 상태로 유도하였으며, 9주에서 14주까지 고지방식이에 와송 열수 추출물이 2.5%, 5% 첨가된 식이를 자유 급식하였다. 그 결과, 고지방 식이군 대비 와송 추출물 섭취군에서 간과 폐의 무게가 감소되었으며, H&E 염색상에서도 lipid droplet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간조직내의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과 같은 지질 함량이 유의성 있게 줄어들었다. 와송 추출물의 항산화제로서의 능력을 확인한 결과 DPPH 라디컬 소거능의 활성을 증가하였고, ROS 형성량은 탁월하게 감소되었다. 산화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SOD와 CAT와 같은 항산화 효소의 활성이 와송 추출물의 고농도 섭취군에서 정상군에 근접하게 회복되었다. 결론적으로 와송 추출물의 섭취는 간내 지질대사를 조절하고 항산화 효소를 활성화시켜 비만 치료를 위한 생리활성물질로 유용하게 활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Probiotics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감귤 가공부산물 발효물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Citrus By-Product Ferment Using Probiotics as Starter)

  • 문영건;이경준;김기영;송춘복;전유진;허문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58-165
    • /
    • 2006
  • 감귤 과괴 뿐만 아니라 가공부산물 내에는 carotenoid, bioflavonoids, pectin 등의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flavonoids는 항산화 또는 금속이온과 착염을 형성하여 free radical이나 electrophiles 및 과산화 지질의 생성을 막아 세포, 조직, 기관이 손상을 억제 해주며, 노화방지, 순환계 질환을 예방 해주며 항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감귤 가공부산물의 열수 추출액과 감귤 가공부산물의 열수 추출액을 가지고 어류 질병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과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는데, 어류 질병 세균에 대한 항균 실험에 있어서는 미생물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감귤 가공부산물 추출액에서 저해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Table 3). 반면 항산화활성 측정에서는 감귤 가공부산물 자체도 항산화 활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그러나 E. faceium, P. pentosaceus, L. plantarum, L. rhamnosus, B. subtilis, S. cerevisiae를 각각 첨가하여 발효시킨 감귤 가공부산물을 기존 합성 항산화제인 BHT와 BHA와 비교하여 보았을 때 전자공여능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 측정에서는 전체적으로 높은 항산화 활성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B. subtilis, S. cerevisiae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실험구에서는 합성 항산화제인 BHA보다 높은 89%와 같은 값인 87%에 활성을 나타내고 있다. SOD유사활성 측정에 대한 결과는 Fig. 2에서처럼 L. rhamnosus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실험구를 제외하고 나머지 5개의 실험구에서는 기존 합성항산화제인 BHT와 BHA보다 높거나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 측정에서는 미생물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산물에 추출액의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1%에 농도에서는 합성 항산화제보다도 좋은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 되었는데, 특히 B. subtilis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실험구에서는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미생물을 첨가하여 발효과정을 거친 감귤 가공부산물의 어류 질병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이나 항산화활성에 있어서 그 효과가 탁월하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그리고 발효과정에 있어 첨가되어진 미생물 중에서는 B. subtilis와 S. cerevisiae가 발효 미생물로서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고, 본 연구에서 Bacillus subtilis 같은 경우는 가장 높은 항균활성과 항산화활성을 나타내고 있어 최적 발효 미생물로 말할 수가 있을 것이다.

백서 태자의 배양 피부세포에서 Adriamycin의 세포독성에 관한 연구 (Cytotoxic Effect of Adriamycin in Cultured Skin Cells of Fetal Rat)

  • 이경훈;이상열;김진환;김용식;김명석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97-205
    • /
    • 1991
  • Adriamycin (Doxorubicin HCl)의 혈관밖 유출에 따른 조직의 손상, 특히 피부괴양 및 괴사 기전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흰쥐 피부세포를 이용한 in vitro 실험에서 adriamycin에 의한 산소라디칼 생성 및 그와 관련된 세포독성 기전으로 지질과산화를 검토하였다. Adriamycin은 흰쥐 태자 피부의 배양세포에서 lactic dehydrogenase(LDH) 유리를 용량 및 시간 의존적으로 증가 시켰으며, NADPH 및 NADH 첨가 조건에서 $superoxide\;anion(O^-\;_2{\cdot})$ 생성을 현저히 증가시켰다. Adriamycin은 지질과산화 반응의 척도인 malondialdehyde(MDA) 생성을 역시 NADPH, NADH 존재하에서 용량의존적으로 증가시켰고, 산소라디칼 제거물질들인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및 thiourea와 항산화물질인 butylated hydroxytoluene(BHT), ${\alpha}-tocopherol$은 MDA 생성증가를 현저히 억제하였다. 1, 3,-bis(2-chloroethyl)-1-nitrosourea(BCNU)를 처리하여 산화성 공격에 대한 방어기전의 하나인 glutahione 체계를 억제할 경우 adriamycin에 의한 MDA 생성은 더욱 현저히 증가하였고, 이는 역시 항산화 물질들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이상의 연구성적에서 adriamycin은 산소라디칼 생성의 증가와 그에 따른 지질과산화를 촉진하므로서 피부세포에 손상을 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Antioxidant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of Korean ginseng extract GS-KG9 in a D-galactosamine-induced liver damage animal model

  • Jo, Yun Ho;Lee, Hwan;Oh, Myeong Hwan;Lee, Gyeong Hee;Lee, You Jin;Lee, Ji Sun;Kim, Min Jung;Kim, Won Yong;Kim, Jin Seong;Yoo, Dae Seok;Cho, Sang Won;Cha, Seon Woo;Pyo, Mi Ky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4권4호
    • /
    • pp.334-351
    • /
    • 2020
  • BACKGROUND/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improvement effect of white ginseng extract (GS-KG9) on D-galactosamine (Ga1N)-induced oxidative stress and liver injury. SUBJECTS/METHODS: Sixty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6 groups. Rats were orally administrated with GS-KG9 (300, 500, or 700 mg/kg) or silymarin (25 mg/kg) for 2 weeks. The rats of the GS-KG9- and silymarin-treated groups and a control group were then intraperitoneally injected Ga1N at a concentration of 650 mg/kg for 4 days.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 of GS-KG9 against GalN-induced liver injury, blood liver function indicators, anti-oxidative stress indicators, and histopathological features were analyzed. RESULTS: Serum biochemical analysis indicated that GS-KG9 ameliorated the elevation of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lkaline phosphatase (ALP), and lactate dehydrogenase (LDH) in GalN-treated rats. The hepatoprotective effects of GS-KG9 involved enhancing components of the hepatic antioxidant defense system, including glutathione, glutathione peroxidase (GPx),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catalase (CAT). In addition, GS-KG9 treatment inhibite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induced by GalN treatment in hepatocytes and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xpression levels of nuclear factor erythroid-2-related factor 2 (Nrf2) and heme oxygenase-1 (HO-1) proteins, which are antioxidant proteins. In particular, by histological analyses bases on hematoxylin and eosin, Masson's trichrome, α-smooth muscle actin,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staining, we determined that the administration of 500 mg/kg GS-KG9 inhibited hepatic inflammation and fibrosis due to the excessive accumulation of collagen. CONCLUSION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GS-KG9 improves GalN-induced liver inflammation, necrosis, and fibrosis by attenuating oxidative stress. Therefore, GS-KG9 may be considered a useful candidate in the development of a natural preventive agent against liver injury.

In Vitro 항산화능 측정법에 대한 특징 분석과 채소.과일 시료에 대한 적용 사례 고찰 (Feature Analysis of Different In Vitro Antioxidant Capacity Assays and Their Application to Fruit and Vegetable Samples)

  • 김민정;박은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7호
    • /
    • pp.1053-1062
    • /
    • 2011
  • 건강한 삶에 대한 현대인의 관심이 나날이 고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노화와 질병의 예방에 효과가 있는 항산화제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천연물이나 식품을 소재로 한 식이성 항산화제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천연물의 소재나 연구 분야의 폭이 매우 넓다. 따라서 다양한 식품 소재의 항산화능을 조사할 수 있는 측정법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현재 약용 식물이나 상용 채소, 과일을 시료로 하여 여러 가지 radical이나 target molecule에 대한 항산화능을 측정할 수 있는 다수의 생체외(in vitro) 측정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총설에서는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항산화능 측정법의 특징을 분석하고 적용 사례를 검토하였다. 식품의 구성 성분은 단일물질이 아닌 복합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측정법으로 항산화능을 평가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채소와 과일을 포함한 여러가지 식물성 식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서는 각 실험에 사용되는 radical과 기전(mechanism), 실험 조건(온도, pH, 실험기기, 시료추출방법, 소요 시간, 비용)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들 측정법의 다양성과 사용 단위의 차이로 인해 각 시료의 항산화능을 객관적으로 비교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향후 항산화능 측정법의 표준화와 표현 단위의 통일이 절실히 요구된다. 또한 in vitro에서 항산화능을 나타내는 채소, 과일 등의 생체 내 활성은 다양한 biomechanism과 polymerphism으로 인해 그 효과를 예측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in vitro에서의 항산화능 screening 결과를 바탕으로 in vivo에서의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부가적으로 시행되어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능이버섯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Physiological Properties of Sarcodon aspratus Extracts by Ethanol Concentration)

  • 이혜진;도정룡;정성근;김현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56-660
    • /
    • 2014
  • 능이버섯의 추출용매 및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생리활성 효과를 측정하였다. 능이버섯 분말과 추출용매의 비율을 1:50으로 하고 물, 30%, 60% 및 90%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였다. 수율 측정 결과, 추출용매에 따라 각각 52.10%, 46.90%, 41.50% 및 32.20%로 에탄올 농도가 낮을수록 추출 수율이 높았다. 능이버섯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60% 에탄올 추출물이 4 mg/mL일 때 40.40%의 활성으로 가장 높았고,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나타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DPPH 라디칼 소거능과 같이 60%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많았고, 1 mg/mL에서 16.23 mg/g으로 측정되었다. SOD 유사활성에서는 능이버섯 1, 2, 4 mg/mL 농도가 56.30~77.05%의 활성으로 표준물질인 ascorbic acid 10 mg/mL의 56.19%보다 유의적으로 우수한 활성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작용 측정 결과, 산성조건인 pH 3.0에서 높은 소거능을 보였고 추출용매에 따라 30% 에탄올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ACE 저해 활성에서는 모든 추출물이 52.67%~89.52%로 높은 활성을 나타냄에 따라 능이버섯의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를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능이버섯에서 유래한 천연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으며, 나아가 능이버섯의 최적 추출조건 확립 등의 연구를 통해 활성이 우수한 천연 항산화제의 개발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rotective Effects of Different Mycotoxin Adsorbents against Blood and Liver Pathological Changes Induced by Mold-contaminated Feed in Broilers

  • Che, Zhengquan;Liu, Yulan;Wang, Huirong;Zhu, Huiling;Hou, Yongqing;Ding, Binyi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2호
    • /
    • pp.250-257
    • /
    • 2011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fferent mycotoxin adsorbents including esterified glucomannan (EGM), hydrated sodium calcium aluminosilicate (HSCAS) and compound mycotoxin adsorbent (CMA) on performance, blood parameters, and liver pathological changes in broilers fed mold-contaminated feed. Two hundred and forty 10-day-old broil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five dietary treatments including: i) control diet; ii) mold-contaminated diet; iii) moldcontaminated diet+0.05% EGM; iv) mold-contaminated diet+0.2% HSCAS; v) mold-contaminated diet+0.1% CMA. At 35-days-old, blood and liver tissue samples were collected for analysis. 0.1% CMA improved ADG and ADFI during 10-42 d compared to the moldcontaminated group (p<0.05). The mold-contaminated diet increased total white blood cell (WBC) number, haemoglobin (Hgb) concentration, hematocrit (Hct) level, serum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nd ${\gamma}$-glutamyl transferase (GGT) activities, and decreased red blood cell (RBC) number and serum globulin (GLB) and urea nitrogen (BUN) concentrations (p<0.05). The three mycotoxin adsorbents alleviated the alteration of RBC, WBC, Hgb and AST caused by the mold-contaminated diet. Furthermore, 0.1% CMA increased GLB concentration and decreased Hct level and GGT activity (p<0.05). Liver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y was reduced, and myeloperoxidase (MPO) activity was increased by the mold-contaminated diet (p<0.05). Both EGM and HSCAS prevented the increase of MPO activity (p<0.05). Liver lesion, including severe vacuolar degeneration of hepatocytes, was observed in chicks fed the mold-contaminated diet. 0.05% EGM prevented these effects except for biliary hyperplasia and mild vacuolar degeneration. 0.2% HSCAS showed medium vacuolar degeneration of hepatocytes. Liver of broilers fed 0.1% CMA revealed a mild vacuolar degener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 mold-contaminated diet results in adverse effects on blood parameters and liver morphology. 0.05% EGM and 0.2% HSCAS partially alleviated the adverse effects. However, 0.1% CMA almost completely ameliorated the adverse eff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