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NS(Social Network Service) Data

검색결과 247건 처리시간 0.024초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수면의 질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Sleep Qua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ocial Network Service Addiction Tendency among Adolescents)

  • 배은숙;강혜승;이하나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90-299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leep qua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ocial network service (SNS) addiction tendency among adolesc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204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enrolled at private school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6 to September 10, 201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regression analysis, and SPSS Process Macro was us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Results: The direct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SNS addiction tendency and the indirect effect of academic stress mediated with sleep quality about SNS addiction tendenc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ositive intervention for academic stress and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 enhancing sleep quality should be provided for adolescents in order to prevent SNS addiction.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기반 기부활동 기업에 대한 조직-공중관계성이 기업이미지와 기업 평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 of Corporate Donation via SNS on Corporate image and Reputation)

  • 김정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29-38
    • /
    • 2017
  • 본 연구는 기업의 SNS 기반 기부활동에 참여한 SNS 이용자 228명을 대상으로 조직-공중관계성과 기업이미지 및 기업평판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SPSS 21 프로그램과 AMOS 21프로그램을 이용, 상관관계 분석과 신뢰도 분석, 그리고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SNS 이용자의 조직-공중관계성과 기업이미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조직-공중관계성은 기업이미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NS 이용자의 조직-공중관계성과 기업평판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조직-공중관계성은 기업의 평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SNS 이용자의 기업이미지와 기업평판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기업이미지는 기업의 평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향후 기업의 소셜네트워크 기반 마케팅 전략을 구축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사회적 지원기능이 브랜드 개설 SNS 페이지 소비자 수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s on Intention to Use of Brands' SNS Page)

  • 이윤재;이정훈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2권1호
    • /
    • pp.17-36
    • /
    • 2015
  • Many companies are now trying to utilize SNS (social network service) by building it as marketing communication platform that delivers marketing messages and builds customer relationship.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affecting consumers' intention to use of brand's SNS identity page (e.g., fan page in Facebook). It specifically focuses on four social support functions -self-esteem, informational, emotional and social networking support-in virtual space. Research model attempts to explore the impact of social supports on brands' SNS identity page adoption with modifi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which includes perceived usefulness, ease of use and enjoyment. Empirical study adopts SEM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to test research model. The result indicates that perceived ease of use is influenced by informational support, and perceived usefulness is influenced by informational, emotional, and self-esteem support. And perceived enjoyment is influenced by emotional support. In addition, it reveals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f social networking support on both perceived usefulness and enjoyment. These findings provide managerial implications for attracting potential and actual customers to brand's SNS identity page. And it also suggests the importance of managing sociability in brand's SNS identity page to make it as marketing communication platform.

SNS 중독 경향성 및 대인관계가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ocial Network Service (SNS) Addiction Tenden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College Life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

  • 나은선;장현정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070-1080
    • /
    • 2021
  • 본 연구는 SNS 중독 경향성 및 대인관계가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2019년 10월 01일부터 10월 04일까지 G시 1~3학년의 간호대학 재학생 228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결과분석은 기술통계,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활적응은 성별(t=5.26, p<.001), SNS 일평균 사용시간(F=8.07, p<.001), 현실에서의 교류 친구 수(F=2.87, p=.037)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변수간의 상관관계로 대학생활적응은 SNS 중독 경향성(r=-.31, p<.001) 및 대인관계(r=.52, p<.001)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SNS 중독 경향성과 대인관계에서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17, p=.011).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대인관계(𝛽=.477, p<.001), 성별(𝛽=-.198, p=.001), SNS 일 평균 사용시간(𝛽=-.177, p=.003)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7.8%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 긍정적인 SNS를 활용한 긍정적인 대인관계 형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기업SNS사용의 선행요인 및 결과요인에 관한 연구 (Investigating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nterprise SNS)

  • 윤지현;곽기영
    • 지식경영연구
    • /
    • 제16권1호
    • /
    • pp.143-170
    • /
    • 2015
  • In the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companies are introducing information technology to effectively manage internal resources in order to achieve a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We presented the Enterprise Social Network Service(SNS) as new information technology. Enterprise SNS provided employers with sociable functions like Facebook while supporting general task such as mail, authorization and notice. In this research, we focused on Enterprise SNS and suggested self-disclosure, enjoyment in helping other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generativity capacity as antecedent variables of Enterprise SNS usage. In addition, we verified the effect of the mediating role of generativity capacity between Enterprise SNS usage and job performance. For empirically verifying the proposed model, we collected sample data from 225 workers using Enterprise SNS and conducted analysis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 expect that this study provides managers who are interested in introducing enterprise SNS with insights on how to facilitate enterprise SNS usage. Also, this study suggests useful theoretical implications to researchers who are interested in the use of enterprise SNS from the context of knowledge management.

SNS(Social Network Service)가 개인의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f Effect of Social Network Service on Individual Learning Performance)

  • 최성욱;박승호;임명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6호
    • /
    • pp.33-39
    • /
    • 2012
  • 본 연구는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강의에 있어 전통적인 오프라인 강의실 강의에 정보기술 발달과 함께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접목할 경우 학습성과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시작되었다. 이를 위하여 1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셜 네트워킹 참여(online social networking engagement)와 사회적 수용(acculturation)은 교수와의 상호작용 품질(interaction quality with professors)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수와의 상호작용품질은 협력학습(collaborative learning)과 학습성과(learning performance)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간 대화 및 협업이 가능한 오픈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의 구현 (An Implementation of OpenU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with Real-time Conversation and Collaboration)

  • 조병호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737-74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최근에 가장 인기 있는 인터넷 비즈니스 모델로서 여러 나라에서 서비스되고 있는데 외국에서는 페이스북이 한국에서는 싸이월드가 유명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들들 조사하고 분석하여 새로운 웹 2.0 개념에 충실한 오픈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시한다. 이는 실시간 채팅으로 서로 대화가 가능하고 협업 기능에 의해 실시간으로 자료 공유 및 자료를 보면서 대화가 가능한 차세대 인터넷 플랫폼 시스템이다. 오픈유의 주요 특징 및 기능을 화면 설계 및 구현을 통해 설명하고 다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과의 비교를 통해 오픈유의 우수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단어 빈도와 범죄 발생과의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Word Frequency in Social Network Service Data and Crime Occurences)

  • 김용우;강행봉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5권9호
    • /
    • pp.229-236
    • /
    • 2016
  • 기존의 범죄 예측 방법들은 범죄 발생을 예측하기 위해 기존 기록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범죄 예측 모델은 데이터를 갱신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범죄 예측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이용하여 범죄를 예측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었지만, SNS 데이터와 범죄 기록 사이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SNS 데이터와 범죄 발생 사이의 관계를 범죄 예측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잠재 디리클레 할당(LDA)을 이용하여 범죄 발생과 관련된 단어를 포함하는 트윗을 추출하였고, 범죄 기록에 따른 트윗 빈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범죄 관련 단어를 포함하는 트윗의 빈도를 계산하고, 범죄 발생에 따라서 트윗 빈도를 분석하였다. 범죄가 발생하였을 때, 범죄와 관련된 트윗의 빈도가 변화하였다. 게다가, 범죄 발생 전후에 트윗 빈도가 특정 패턴을 보이기 때문에 SNS 데이터가 범죄 예측 모델에 도움이 될 것이다.

모바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환경에서 지속 사용 의도의 선행 요인에 관한 연구: 신뢰와 프라이버시 우려의 역할 (A Study of Antecedents of Continuance Intention in Mobile Social Network Service: The Role of Trust and Privacy Concerns)

  • 김병수
    • 지식경영연구
    • /
    • 제13권4호
    • /
    • pp.83-100
    • /
    • 2012
  • Given the prevalence of mobile social network services (SNS) such as Facebook and Kakaotalk, it has become important to understand user's continuance behavior in a mobile SNS environment. Although trust and privacy concerns play a key role in SNS users' decision-making processes, most studies on SNS have shed little light on the effects of trust and privacy concerns on SNS continuance intention. In this regard, this paper developed an integrated model to deeply understand the key antecedents of user's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mobile SNS by incorporating trust and privacy concerns into extended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The proposed research model was tested by using survey data collected from 170 users who have experience with Kakaotalk. The findings of this study found that the proposed theoretical framework provide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xplanation of the variance in continuance intention of mobile SNS.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rust serves as the salient antecedent of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mobile SNS. However, it was found that privacy concerns negatively influence trust, whereas it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continuance intention of mobile SN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escribed.

  • PDF

장애학생을 위한 모바일 위치기반 SNS(Social Network Service) (Mobile Location-based SNS(Social Network Service) for the Disabled Students)

  • 오영환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361-370
    • /
    • 2011
  • 최근 스마트폰 시장의 인기와 더불어 모바일 위치기반 SNS가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SNS는 모든 사용자들이 지인과 협력하고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장애인들이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SNS를 접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웹을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장애인들이 스마트폰과 같은 기기를 사용하기에 적절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는 지에 대한 접근성에 대해 연구할 필요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황 인식 기술과 SNS의 기능을 명세하고 분석한 후, 다양한 정보 즉, 시간, 장소 및 활동 상태 등을 포함하는 데이타 수집과 상황정보 분석을 통한 연구를 수행한다. 이를 통하여 장애학생이 편하게 학교생활을 영위하도록 장애유형별 상황인지에 맞는 각종 학사 및 안전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모바일 위치기반 SNS 연동 서비스에 대하여 연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