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AMM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43초

해수면 상승에 따른 해안지역 생태환경 변화 (A Study on the Eco-Environmental Change of Coastal Area by the Sea Level Rise)

  • 김남신;이창석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53-63
    • /
    • 2010
  • 전지구적인 해수면상승은 해안지역에 침수와 침식을 일으켜 생태환경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해수면 변화에 따른 지형 생태환경 변화에 관한 예측모델은 다가올 수 있는 미래의 환경변화를 예측함으로써 해안지역 관리를 위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해안지역에서 해수면 상승에 따른 생태환경 변화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예측모델은 IPCC 시나리오에 따라 해안변화를 예측할 있도록 개발된 SLAMM 모델을 사용하였다. 모델은 한강과 낙동강 하구, 순천만과 함평만을 사례지역으로 100년간의 환경변화를 예측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한강하구는 갯벌이 2075년부터 점차 사라졌고, 관목습지와 염생식생대가 발달하였다. 낙동강 하구에서는 2025년부터 관목습지가 감소하였고, 2050년부터 갯벌이 발달하였으며, 김해 평야가 부분적으로 침수되었고, 습지가 형성되었다. 함평만에서 2025년에 염생습지가 퇴적되었고, 2050년까지 확장되었던 갯벌은 그 이후에 부분적으로 침수되었다. 순천만의 갯벌은 2025년 이후 침수로 사라졌으며, 염색습지가 만입지역에 발달하였다.

해수면 상승에 따른 순천만 습지 변화 예측 (A Prediction on the Wetlands Change of Suncheon Bay by the Sea Level Rise)

  • 문보라;김동명;이석모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9권3호
    • /
    • pp.627-635
    • /
    • 2017
  • Sea level rise caused by climate change has become a global issue. Sea level rise seems to be an important factor of the research for coastal areas as it affects topography and vegetation of coasts and especially for the plan of coastal wetlands restoration which needs to be carried out for a long term, it has to be considered sufficiently. The coastal wetlands in Korea was damaged by the land reclamation project but recent concerns on the restoration have increased as its value is evaluated highly. Suncheon Bay had also reclaimed from wetlands to rice field once however this site is very active for restoration nowadays. This study estimated an effect according to sea level rise by 2100, reappearing the none dike condition of Suncheon Bay so that it can be taken account of a future plan of wetland restoration. The Sea Level Affecting Marshes Model(SLAMM) was selected as predicting model. The input data such as DEM(Digital Elevation Model), slope, wetlands category, sea level rise senario, tidal range and accretion rate was applied for the simulation. The results showed a decrease in tidal flat, an increase in sea area and a change of the rice field to transitional salt marsh consistently by 2100. Thes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eline data in the future plan of ecological restoration in Suncheon Bay.

지리정보시스템과 시뮬레이션 모델을 이용한 해면상승의 예측과 해안지형에 미치는 영향 (Estimating theimpacts of sea level rise using geoprocessing and simulation modeling)

  • ;;이재극;권순식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98-311
    • /
    • 1993
  • 지 구 온난화 현상에 의한 해안지역에서의 가능한 미래의 해수면 상승의 영향을 예측하기 위한 연구가 미국 Florida주 북동 해안지역을 대상으로 행해졌다. 시뮬레이션 모델링을 위한 토지 이용도, 지표고도, 그리고 그외 지역의 자연적 특성에 관한 자료가 원격 탐사와 지리정보시 스템을 이용해서 준비, 분석, 합성이 되었다. 준비된 모든 자료는 개발된 모델 (SLAMM 3) 에 의해 분석되어 침수와 침식에 대한 결과로서 발생될 수 있는 해안지역에서의 현상이 예 측되었다. 해수면 상승에 관한 0.5m, 1m, 1.25m의 세가지 시나리오로서 진행된 연구결과, 유 용한 환경자원인 해안 저습지의 손실이 최고 40%까지 예측되었다.

  • PDF

유출저감을 위한 유역내 침투시설의 적용 (An Application of Infiltration Facilities for Reducing the Runoff in the Basin)

  • 이재준;설지수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133-141
    • /
    • 2011
  • 유역의 도시화는 유출총량과 첨두유량의 증가와 도달시간이 감소시키며, 홍수피해의 위험성을 더욱 크게 만든다. 침투시설은 도시유역의 유출총량과 첨두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그 종류에는 침투트렌치와 투수성 포장재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침투시설 설치에 따른 우수유출저감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북 구미시 옥계동의 $0.18km^2$와 공단동의 $0.67km^2$의 면적을 가진 도시유역을 대상으로 하여 각각의 유역특성을 분석하고, 유출총량 및 첨두유량의 저감량을 WinSLAMM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침투시설 설치에 따른 첨두유량저감효과를 분석하였고, 침투시설 면적비와 유출저감률과의 관계식을 도출하였다.

도시유역에서 침투시설의 우수유출저감효과 분석 (An Analysis of Runoff Reduction Effect of Infiltration Facilities in Urban Area)

  • 이재준;김호년;곽창재;이상원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7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628-631
    • /
    • 2007
  • One of the structural measures for the peak flow reduction is infiltration facilities. There are many types in infiltration facilities - infiltration basin, trench, bed, porous pavement, percolated subdrain, dry well. In this study runoff reduction effect of infiltration trench is analyzed by WinSLAMM. Runoff reduction effect is investigated by each design rainfall and temporal pattern of rainfall particularly. The biggest reduction is shown in Yen and Chow's temporal pattern of design rainfall and the smallest reduction is shown in Huff's first quartile pattern. Runoff reduction rate is presented about 6 to 14 percentage, and the larger return period, the smaller runoff reduction rate.

  • PDF

도시유역의 침투시설 설치위치와 종류에 따른 유출저감효과 분석 (Analysis of Runoff Reduction Effect of Infiltration Facility Installation Position and Kinds of Infiltration in Urban Basin)

  • 이재준;곽창재;설지수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0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54.2-54.2
    • /
    • 2010
  • 본 연구는 침투시설의 설치위치와 종류에 따른 유출저감효과를 WinSLAMM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유역은 Driveway 38%, Residential Area 8%, Parking Storage 8%, Sidewalk 8%, Playground 8%, 투수유역(Landscaped Area) 30%와 같이 토지이용별로 구획된 총면적 $0.25km^2$의 전형적으로 도시화된 가상유역으로 설정하였다. 침투시설 설치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시설의 포화를 고려하기 위하여 10mm/hr~30mm/hr범위의 강우를 적용하였으며, 설치위치와 종류별 침투시설의 정량적인 유출저감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Residential Area, Parking Storage, Playground와 같은 유역내 불투수유역과 유출구에 해당하는 Outfall에 일정한 규모의 침투트렌치와 침투통을 설치하였다. 침투시설은 강우의 크기에 따라 시설의 포화가 진행되며 일정 규모 이상의 강우 발생시 침투기능을 상실하므로 강우의 크기에 맞는 포화시점을 찾아 적절한 규모로 설치해야하고, 경호우에서 유역내의 침투시설의 가용면적을 증가시키면 유출저감효과도 증가하였으나, 강우가 커질수록 상대적으로 가용면적이 큰 유출구와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더 낮은 유출저감효과가 나타나기도 하였다. 또한 설치위치에 침투시설을 비교한 결과, 경호우의 경우 동일한 유출저감효과가 나타났으나, 침투트렌치가 포화에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유출저감효과가 더 높았으며, 유출구에서는 침투트렌치가 침투통보다 더 높은 유출저감효과가 나타났다. 침투시설의 병행설치시 경호우에서는 병행설치의 효과가 없었으나 강우강도가 증가할수록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고, 유역내 침투시설의 병행설치시 가용면적을 증가시킬수록 유출저감효과도 증가하여 경호우 이상의 강우에서 병행설치를 고려되어야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