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A 표면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6초

염기처리한 SLA 표면이 표면 특성 및 골모유사세포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LA surface treated with NaOH on surface characteristics and response of osteoblast-like cell)

  • 박진철;김주현;강은숙;류재준;허중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11-221
    • /
    • 2014
  • 목적: 기존의 SLA 표면을 높은 친수성을 가지는 표면으로 개질하고자 NaOH에 침적하는 방법이 SLA 표면 형상 및 특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골모유사세포의 증식, 부착 및 분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계획되었다. 재료 및 방법: Machined surface (대조군), SLA surface (SLA 군), SLA에 NaOH 처리한 표면(SLA/NaOH 군)의 각 시편을 제조하고 친수성을 극대화한 SLA/NaOH 군의 표면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표면성분(XPS), 표면 거칠기, 표면 접촉각 등을 평가하였다. 그 이후 MG-63 세포 배양 후 이번 실험에서 만든 표면들이 세포독성을 가지는지를 평가하고, WST assay를 통하여 세포 증식, F-actin 염색을 통하여 세포의 부착형태를 관찰하였다. 이 후 ALP assay를 통하여 세포 분화를 평가하였다. 각 군간 통계측정을 위해 ANOVA 후 다중비교를 하였다(P<.05). 결과: SLA/NaOH 군의 접촉각은 $5.59{\pm}1.13$도였다. 모든 군들은 MG-63 세포에 대해 세포독성을 가지지 않았다. 세포 부착 평가에서 SLA/NaOH 군에서 가장 높은 부착 정도를 보였고(P<.05), Machined 군과 SLA 군에서도 표면 거칠기가 높은 SLA군에서 더 높은 세포 부착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P<.05). 배양 7일까지 모든 군에서 MG-63 세포의 증식이 점차 증가하였다. 모든 군에서 3일과 7일에 세포의 증식에서 유의할 만한 차이가 보였고, SLA/NaOH 군에서 가장 높은 세포증식을 보였다. ALP 활성도는 7일에서는 세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14일에는 SLA/NaOH 군이 유의성 있는 증대를 보였다(P<.05).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NaOH를 처리하는 수화방식을 통해 SLA 표면을 변형시킴으로서 세포의 부착, 증식 및 분화를 촉진시켜 임플란트의 골유착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Sandblasted large grit, acid etched 표면처리에 따른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의 제거회전력에 관한 연구 (Removal torque of sandblasted large grit, acid etched treated mini-implant)

  • 오남희;김성훈;국윤아;이근혜;강윤구;모성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324-330
    • /
    • 2006
  • Sandblasted large grit, acid etched(SLA)표면처리 된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와 평활면을 가진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 사이에 제거회전력과 조직학적 소견을 통해 표면처리된 교정용 임플랜트의 임상적 가능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재료로는 길이가 9.5 mm, 외경이 1.8 mm인 custom made, screw shaped, titanium implants가 사용되었다. 미니 임플랜트는 두개의 군으로 분류되었는데 SLA군은 20개의 SLA 표면처리된 미니 임플랜트이었고, 평활면군은 크기와 형태가 같지만 SLA처리공정이 생략되어 제작된 20개의 미니 임플랜트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10마리 가토의 경골에 식립되었다. 각각의 가토의 우측 경골에는 SLA군의 미니 임플랜트 2개가 식립되었고, 좌측 경골에는 평활면군의 미니 임플랜트 2개가 식립되었다. 각 군에는 식립 직후 Ni-Ti coil spring에 의해 약 150 g의 지속적인 견인력이 주어졌다. 식립 6주 후에 10마리의 가토를 희생하였고, 안정된 상태에서 Ni-Ti coil spring을 제거하였으며 digital torque gauge를 이용하여 제거 회전력을 측정하였다. 식립 6주 후에 SLA군의 경우 (8.29 Ncm) 평활면군 (3.34 Ncm)에 비해 더 높은 평균 제거회전력을 나타내었고 조직학적 소견에서도 screw 하방에서의 신생골 형성이 관찰되었다. SLA 표면처리된 미니 임플랜트는 평활면 미니 임플랜트에 비해 좀 더 강한 교정력에 저항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분사처리 후 산부식 표면처리된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의 골유착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surface treatment on the osseointegration potential of orthodontic mini-implant)

  • 전미선;강윤구;모성서;이근혜;국윤아;김성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328-33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교정 치료 시 골내 고정원으로 사용되는 교정용 임플랜트의 표면처리 여부가 골유착능에 있어서 어떠한 효과를 보이는지 제거회전력의 측정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그에 따른 교정력 적용의 확장과 임상적 의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군은 분사처리 후 산부식(Sand-blasted Large grit, and Acid etched, SLA) 표면 처리된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인 C-implant (Cimplant, Seoul, Korea)를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은 같은 디자인이지만 표면 처리를 하지 않은 평활면 C-implant를 사용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을 각각 2개씩 11마리의 가토 경골에 식립하였고 식립 후 6주에 가토를 희생시켜 제거회전력을 측정하여 t-test를 통하여 두 군의 제거회전력 차이의 통계적 유의성을 알아보았으며 조직표본을 만들어 조직소견을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제거회전력은 SLA 처리한 C-implant 군이 평활면 C-implant 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p < 0.05). 평활면 C-implant 군의 평균 제거회전력 값은 4.614 Ncm이고, SLA C-implant 군의 평균 제거회전력 값은 6.286 Ncm로, SLA 군이 평활면 군보다 73% 더 높은 제거회전력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SLA표면처리가 C-implant의 골유착능을 증가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표면 처리된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는 기존의 임플랜트에 비해 좀 더 강한 힘에 저항할 수 있으며 탈락률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양극 산화한 티타늄 임프란트의 조직학적 반응 (Histological response of anodized titanium implant)

  • 임스베틀라나;허성주;한종현;김태일;설양조;구영;정경욱;정종평;한수부;류인철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5권3호
    • /
    • pp.525-536
    • /
    • 2005
  • 여러 연구들을 통해 많은 학자들이 임프란트 안정성(stability)은 표면의 특징에 달려있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표면의 구조, 에너지, 산화물(oxide) 두께와 표면성상(topography)등 임프란트의 표면의 특징은 임프란트와 골조직의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알려짐에 따라 티타뮨 임프란트의 표면의 처리 방법에 큰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그 중에서 티타늄 임프란트 표면의 산화피막화(anodization)가 한 방법으로 대두되었다. 이 방법은 전기화학적 방식으로 임프란트 표면에 거칠고(rough)두꺼우며(thick), 기공(pore)을 가지는 산화물 막을 형성하는 것으로 산화물의 두께는 coronal 부분(l-2 ${\mu}m$)으로부터 apical부분(7-10 ${\mu}m$)까지 증가하게 된다. 산화피막의 표면에는 다양한 크기의 수많은 기공이 주로 1-2 ${\mu}m$ 두께로 임프란트의 apical 부분에서 존재하며, 임프란트 표면의 거칠기는 conical 위부분에서 apical 부분까지 계속 증가한다(평균 Ra value=1.2 ${\mu}m$). 또 다른 표면 처리 방법으로는 blasting 후에 etching을 한 SLA 표면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anodized 표면과 SLA 표면의 조직학적 반응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24개 임프란트를(anodized surfaced implant-12개 , SLA-12개, 8mm ${\times}\;{\Phi}$ 4.3) 6마리 토끼의 오른쪽과 왼쪽 femur에 식립하였다. 12주후에 동물들을 희생하여 EXACT cutting-grinding system을 이용하여 샘플을 절단하고 800, 1200 및 4000 번 연마제(abrasive) paper로 20-50 ${\mu}m$ 까지 grinding하였다. 샘플은 Multiple staining 용액으로 염색하여 SLA 임프란트 군과 비교하였다. 골과 임프란트 사이에 연결을 TDI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로 측정하였다. SLA 임프란트 군 경우에는 골과 임프란트 사이의 연결이 $74{\pm}19%$ 이고, 양극 산화한 임프란트 군 경우에는 $77{\pm}9%$이었다. 양극 산화한 티타늄 임프란트의 골 접촉률이 SLA 표면 임프란트 경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SLA 3D 프린팅 방식 기반의 미세 유체 시스템 제작을 위한 소수성 표면 처리 연구 (A Study on Hydrophobic Surface Treatment for Microfluidic System Fabrication Based on SLA 3D Printing Method)

  • 허재욱;배서준;임도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2권1호
    • /
    • pp.105-111
    • /
    • 2024
  • SLA (Stereo Lithography Apparatus) 방식은 액체 상태의 광경화성 레진(Resin)이 자외선 레이저에 닿으면 고체가 되는 원리를 활용한 3D 프린팅 방식으로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SLA 3D 프린팅 출력물의 표면 특성 중 소수성과 투명도를 개선하여 미세 유체 시스템의 제작에 활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SLA 출력물은 소수성 코팅 방법을 이용해 표면 소수성의 특성을 개선할 수 있었으나, 소수성 코팅 방법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환경에서의 코팅 유지력은 차이를 보였다. 또한, 미세 유체 시스템의 제작에 요구되는 충분한 투명도와 소수성의 특성을 함께 확보하기 위해 선행된 연구에서 제안한 투명도 확보 방법에 소수성 코팅을 적용하여 접촉각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Teflon 코팅법이 이산화 티타늄 코팅법과 비교하여 우수한 투명도의 확보가 가능하며, 다양한 환경에 노출되었을 때 높은 코팅의 유지력을 가져 미세 유체 시스템의 제작에 활용되기에 적합한 소수성 코팅법으로 제안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미세 유체 시스템의 제작에 적합한 소수성 코팅 방법인 Teflon 코팅법 중 Fluoropel 800을 이용하여 디지털 미세 유체 시스템 중 하나인 액적 접촉 충전 현상(Electrophoresis of Charged Droplet, ECD) 칩을 SLA 3D 프린팅으로 제작, 액적의 조작을 성공적으로 시연함으로써 SLA 3D 프린팅 기술의 미세 유체 시스템의 제작에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표면 처리 방법에 따른 타이타늄의 미세 표면 거칠기, 표면 젖음성, fibronectin 흡착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IOUS SURFACE TREATMENTS FOR TITANIUM ON SURFACE MICRO ROUGHNESS, STATIC WETTABILITY, FIBRONECTIN ADSORPTION)

  • 신화섭;김영수;신상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43-454
    • /
    • 2006
  • Purpose: This study aims to get the fundamental data which is necessary to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implant surface treatment hereafter,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e surface structure and properties of titanium which is suitable for the absorption of initial tissue fluid by researching effects of additional surface treatments fir sandblasted with large git and acid-etched(SLA) titanium on surface micro-roughness, static wettability, fibronectin adsorption Materials and Method: In the Control groups, the commercial pure titanium disks which is 10mm in diameter and 2mm in thickness were treated with HCI after sandblasting with 50$\mu$m $Al_2O_3$. The experiment groups were made an experiment each by being treated with 1) 22.5% nitric acid according to SLA+ASTM F86 protocol, 2) SLA+30% peroxide, 3) SLA+NaOH, 4) SLA+ Oxalic acid, and 5) SLA+600$^{\circ}C$ heating. In each group, the value of Ra and RMS which are the gauges of surface roughness was measured, surface wettability was measured by analyzing with Sessile drop method, and fibronectin adsorption was measured with immunological assay. The significance of each group was verified by (SPSS, ver.10.0 SPSS Inc.) Kruskal-Wallis Test. (α=0.05) And the correlation significance between Surface micro-roughness and surface wettability. surface roughness and fibronectin adsorption, and surface wettability and fibronectin adsorption was tested by 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 All measure group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rface micro-roughness, surface wettability, and fibronectin adsorption. (p<0.05) There was no significance in correlation among the surface micro-roughness, surface wettability, and fibronectin adsorption. (p>0.05) Conclusion: Surface micro-roughness and surface wettability rarely affected the absorption of initial tissue fluid on the surface of titanium.

SLA 3D 프린팅 소재의 후처리에 따른 표면특성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in Surface Properties According to Post-treatment of SLA 3D Printing Materials)

  • 배서준;임도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0권1호
    • /
    • pp.132-13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광경화 3D 프린팅 방식인 SLA (Stereo Lithography Apparatus) 방식 출력물의 후처리 방법에 따른 표면 특성의 변화를 체계적으로 비교하고, 용도에 맞는 후처리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SLA 방식 출력물은 연마를 통해 표면의 불규칙한 미세구조를 규칙적으로 변화시켜 투명도를 일부 개선할 수는 있었으나, 유리와 같은 충분한 투명도를 확보하기는 어려웠다. 연마에 따른 접촉각 특성 변화는 연마 시간이 증가할 수록 그리고 사용된 사포의 입도가 작을 수록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샘플 간 편차가 크고 평균 77~90°의 접촉각을 나타내어 대부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연마 이외 다양한 방법을 통한 표면처리 방법이 시도되었으며, 시판되는 차량용 흠집제거제나 실리콘 오일 등을 도포하여 쉽고 간단하게 투명도를 개선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입도 사이즈를 줄이며 순차적으로 연마한 후 흠집제거제를 사용함으로써 유리와 같은 높은 투명도를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연마와 다양한 방법을 통해 표면처리를 하더라도 접촉각은 90° 이상을 확보하기 어려웠으며 소수성의 특성을 필요로 하는 경우, 본 연구에서 사용된 다양한 방법 외 소수성 코팅과 같은 추가적인 처리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SLA을 이용한 소수성 표면 제작 (Fabrication of Hydrophobic Surfaces with Stereolithography)

  • 홍성호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37권1호
    • /
    • pp.1-6
    • /
    • 2021
  • This paper presents the experimental results of hydrophobic surfaces developed using a stereolithography-based additive-manufacturing technique. The additive manufacturing technique can be used to manufacture objects with complex geometries from computer-aided design data. Several additive manufacturing methods, such as selective laser sintering, fused deposition modeling, stereolithography apparatus (SLA), and inkjet-based system, have been developed. The SLA is a form of three-dimensional printing technology used to create prototypes, patterns, and production parts in successive layers through photochemical processes. Light causes chemical monomers and oligomers to cross-link together to form objects composed of polymers. Moreover, this method is economical for fabricating surfaces with high output resolution and quality. Here, we fabricate various surfaces using different shapes using an SLA. The surfaces with micro-patterns are fabricated for 10 cases, including the biomimetic surface. The fabricated surfaces with various micro-patterns are evaluated for hydrophobicity performance based on the static contact angle. The contact angle is measured three times for each case, and the averaged value is use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arrangements in a staggered structure have a larger contact angle than those in a line when the same micro-pattern is applied. Moreover, the mimetic surfaces exhibit more hydrophobic characteristics than those of artificial micro-patterns.

전기화학적 임플란트 표면처리기술 (Electrochemical Surface Engineering for medical implants)

  • 김두헌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4-114
    • /
    • 2016
  • 임플란트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타이타늄 금속 표면을 처리하여 골융합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 단위의 거칠기가 형성된 표면에 나노패턴화된 나노 거칠기를 전기화학적으로 형성시키는 방식(ENF: Electrochemical Nanopattern Formation)을 소개한다. SLA 표면처리 된 임플란트 표면에 100nm 수준의 나노패턴화된 그릿을 기존의 마이크로 그릿의 손상 없이 고르게 형성시켜 표면적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이를 임플란트의 새로운 표면처리기술로 응용하기 위하여 기존의 표면처리기술과 비교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