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 주택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4초

경제성장과 카지노 건설로 '고공행진'

  • 이시정
    • 주택과사람들
    • /
    • 통권196호
    • /
    • pp.34-39
    • /
    • 2006
  • 부동산 투자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이 '입지'라면 그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타이밍'일 것이다. 2006년, 투자처로서 싱가포르가 매력적인 이유는 이 두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시아의 뉴욕'이라 불리는 싱가포르의 부동산 시장은 10년 간의 긴 침체기를 벗어나 이제 막 기지개를 켜고 있다.

  • PDF

가시성확보 BIPV 커튼월시스템의 실내 시환경 예측 시험 평가 (Indoor Visual Environmental Estimate Experiment Evaluation of See Through BIPV Curtainwall System)

  • 차광석;조보람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08-108
    • /
    • 2011
  • 공동주택에서 2025년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Zero Energy 건축물 구현과 친환경에 대한 탄소배출 저감 문제로 재생에너지 생산시스템의 추가 적용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공동주택 적용 및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BIPV시스템 개발을 통하여 설치면적 확보와 세대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거실 창호의 경우 주방향이 남향, 남동 또는 남서향으로 배치되어 태양광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창호는 건물외피의 역할과 재실자가 조망과 정보취득을 얻을 수 있는 중요한 통로가 되기 때문에 단열 문제나 시야 차폐의 문제는 발생하지는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a-si타입 모듈 2개를 10% 투과율로 Bsck Coating 색상을 달리한 모듈과 c-si BIPV 모듈을 커튼월 창호시스템으로 개발, 일반 2중 창호시스템과 비교 평가를 위해 실제 Test bed 건물에 시공하여 시환경 및 실내 창측면 온도변화 측정 분석을 진행하였다. 현재 국내외 출시되고 있는 a-si see through 모듈은 10~30%의 투과율로 창 마감재로 대체가 가능하나 건축 환경(시환경,열환경)에 대한 분석은 전무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환경과 창유리면의 열 부하, 자외선, 적외선 차폐 및 가시광선의 투과율에 대한 평가와 Back Coating에 따른 색온도 평가를 통해서 a-si BIPV의 공동주택 세대 발코니 창호 적합성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bullet}$ 실내조도는 청천공 정오기준 가시성 확보 모듈의 경우 2,300 ~ 3,500lx를 나타내고 있어 대비 현상이나 창측의 급격한 조도 변화가 적은 시환경 구축이 가능 ${\bullet}$ 12시경 휘도는 창측면, 실내 벽체, 코너 바닥면을 대상으로 a-si BIPV 모듈을 적용한 경우 휘도비가 12:1로 KS나 IESNA의 광원과 근접면의 비 20:1 범위에 모두 존재,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c-si의 경우는 그림자로 인한 대비 현상이 발생, 작업 시환경 문제 발생. ${\bullet}$ 이중시스템 창호와 비교하여 단열 성능 떨어짐. 발전시간대 창유리 면 온도 상승 으로 하절기 냉방부하 증가. ${\bullet}$ 자외선은 100% 가까이 차단, 적외선은 13~42%만 투과되고 가시광선은 13% 투과율을 나타내어 일반 창에 칼라 코팅을 적용하는 것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냄.

  • PDF

장수명 공동주택 설계 프로세스 구축을 위한 보금자리주택 계획사례 연구 - 내곡지구 현상설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Bogeumjari Nae-gok District for Advanced Design Process in Long-life Housing)

  • 한남수;이영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73-82
    • /
    • 2011
  • Recently, apartments have had several fundamental problems in planning uniformity caused by fixed space programs and difficulties of maintenance. So decision-makings become more important in design process which were essential to performance realization of long-life hous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lans of the Bogeumjari Nae-gok based on the applied designs, and suggests improvements for advanced design process of the long-life housing in the domestic market. This research procedure are as follows: (1) Analyze design guide, district land development plan and local code which have influence on design limitation. (2) Compare partial plans of joined designs and analyze each design characters (3) Implement case studies of design process due to design timetable and design elements of Nae-gok. In result, this study suggests significant fundamental materials for advanced decision-making in design process of long-life housing: details credibility and noise control, etc. This research could be useful in making integrated design process applied for long-life housing.

대도시권 지역의 미래 주택입지 선호도, 대구광역시권을 사례로 (Preference on the locations of Future House in Metropolitan Area, In Case of Taegu-si and Its Neighboring Areas)

  • 조성호;박규택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16-228
    • /
    • 2002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대도시권 지역에서 자신들의 미래 주택지를 어떻게 선택하는지에 대한 의사결정 과정을 분석하였다. 직관적 평가에 의한 일반적 기준의 중요도는 교통, 시설, 교육 사회, 자연환경 그리고 경계 순위로 나타나지만 개인들이 판단한 중요도 순위간의 일치도는 매우 낮다. 교통과 교육 사회에 대한 중요도 순위는 평균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에 자연환경과 경계의 순위는 넓게 분산되어 있다. 주택입지 대안에 대한 선호도는 대구 중심과 교외의 중간입지, 대구교외 입지 그리고 대구중심 입지 순위로 선호되고 있다. 세부적 기준의 관점에서 입지 대안들의 선호도는 일반기준에 비해 다양성을 보이고 있다. 민감도 분석에 따르면 시설과 교통의 중요도가 증가하면 중심입지의 선호도가 증가하는 반면에 교외입지 선호도는 감소하고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자연환경의 중요도가 증가하면 교외입지의 선로도가 증가하고 중심입지의 선호도는 감소한다. 경제의 중요도가 증가하면 종간과 교외의 입지에 대한 선호가 증가하는 반면에 중심입지의 선호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 PDF

장수명 공동주택 인터페이스의 친환경적 설계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method of the environmental Interface of Long Life Housing)

  • 손영민;왕우철;최영호
    • KIEAE Journal
    • /
    • 제9권3호
    • /
    • pp.3-1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to design for the environmental Interface of Long Life Housing. Research,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interface, is underway at the research organization of Long Life Housing. Infill system should accommodate the various changes in the space. So dismantlement, replacement, and repair of the act are essential. In this process, A lot of substance, which can damage or spoil the environment, may be produced. However, the eco-friendly aspects of the interface design of infill system is not made in the approach or evaluation. Therefore,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roblem of Interface of Long Life Housing in terms of eco-friendly, and it try to find a design method, complemented in the next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