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ADE TOLERANCE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5초

해남 달마산 상록활엽수림 식생과 생태적 특성 (The Vegeta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Warm Temperate Forest in Dalma Mountain, Haenam)

  • 조지웅;이계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81-193
    • /
    • 2022
  • The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stable forest management according to climate change by identifying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Mt. Dalma warm temperate forest. 30 survey plots were established for vegetation structure analysis, and communities which classified by applying TWINSPAN analysis and DCA analysis techniques. Four plant communities were subdivided into Quercus acuta-Eurya japonica community, Quercus acuta community, Quercus salicina-Camellia japonica community, and Quercus acuta-Camellia japonica community. The tree layers were dominated by Quercus acuta and Quercus salicina, and the subtree layers were dominated by Camellia japonica and Eurya japonica, and the Sasa borealis. The species diversity index were in the range of 0.849 to 0.969, and the degree of Evenness index were 0.514 to 0.569, and the similarity index were 59.57 to 75.47%. The species composition in the community indicated that the deciduous broad-leaved and coniferous trees have already been eliminated in competition with evergreen broad-leaved trees. Tree species with good cold resistance such as Quercus acuta and Quercus salicina were dominant species under current climatic conditions, but the dominant species might be changed to more shade-tolerance evergreen broad-leaved through the succession.

능유바위솔의 분화 재배시 광도, 분용토, 시비 수준에 따른 생육과 품질의 변화 (Growth and Quality Affected by Light Intensity, Potting Media and Fertilization Level in Potted Orostachys 'Nungyu bawisol')

  • 천영신;이상우;정경진;하수현;배종향;윤재길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57-364
    • /
    • 2011
  • 능유바위솔을 분화로 재배하고자 할 때, 적정 광도 와 내음성정도, 적정 분용토, 그리고 적정 시비조건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능유바위솔은 52% 차광에서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82% 차광까지는 생육이 감소하기는 하지만 상품성은 유지되어 내음성이 뛰어난 것으로 판단되었다. 90% 이상의 차광에서는 고사주가 발생하였으며, 엽색도 탈색되고 잎이 위로 서는 등 관상가치가 크게 저하되었다. 분용토로는 마사토 : 유비상토 : 강모래(6 : 2 : 2, v/v/v) 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다. 특히 지상부 생체중의 경우 다른 용토에서는 약 4~8g 범위였으나, 마사토 : 유비상토 :강모래(6 : 2 : 2, v/v/v)에서는 16g으로 2배 이상의 생육량을 보였다. 시비조건은 Hyponex 액비를 1,000~2,000배액으로 1회/주 처리했을 때, 생체중 및 초폭, 분지수 등에서 가장 좋게 나타났다. 특히 생체중의 경우 대조구(무처리)가 16g인데 비해 1,000배액 1회/주와 2,000배액 1회/주 처리에서 약 29g으로 80% 정도 생장량이 증가하였다. 엽색에서는 액비의 농도가 높을 수록 엽색이 짙어지는 경향이 보였다.

경기도 용인 지역 전나무 임분의 구조 및 천연 갱신 (Stand Structure and Seedling Recruitment of Abies holophylla Stands in Yong-In Area, Gyeonggi)

  • 박필선;전윤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1호
    • /
    • pp.153-162
    • /
    • 2010
  • 본 연구는 경기도 용인 지역 전나무(Abies holophylla Maxim.) 임분의 구조를 분석하고, 이 지역 전나무 임분의 지속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용인시의 정수리, 대대리, 호동 지역 전나무 임분에서 매목조사를 실시하고, 관목층의 구조와 치수의 발생을 조사하였다. 산림 관리나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정수리와 대대리 임분에서 전나무는 중요도 40%로 임분을 우점하고 있었으며, 연속적인 연령과 직경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반면 호동 지역 임분은 간벌과 택벌 등의 산림 작업이 이루어졌던 지역으로 전나무가 흉고직경 10-45 cm 범위에 분포하나 대부분 25-30 cm 직경급에 몰려 있고, 단일수관층을 가지고 있었다. 전나무의 연령과 흉고직경의 상관 관계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긴 하였으나 높지 않았고($R^2$=0.2, P=0.03), 비슷한 연령대라도 다양한 흉고직경 값을 가졌다. 정수리 임분의 연속적인 직경 분포와 다층수관구조는 전나무가 조림 후 지속적으로 갱신이 이루어져 왔음을 보여주었다. 전나무의 치수는 ha당 2000-33000본까지 발생하였으나, 2-5 cm 직경급의 전나무는 ha당 70-150본 정도로 치수 단계에서 유령목으로 자라나는 동안의 생존율은 낮았다. 지속적인 천연갱신과 연간 약 0.6 cm의 직경생장율은 조사 지역의 환경이 전나무 서식에 비교적 적합한 지역임을 나타낸다. 또한 전나무 임분은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보여 내음성 수종인 전나무를 대상으로 한 택벌림 경영의 가능성을 제시해주고 있다.

소나무 묘목(苗木)의 Gap내 생장(生長) 및 생리적(生理的) 적응과정(適應過程) (Growth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Adaptation of Pinus densiflora Seedling in the Canopy Gap)

  • 김영환;이돈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3호
    • /
    • pp.452-460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Gap 갱신이 이루어지는 소나무를 대상으로 인위적으로 조성한 Gap처리구에서 소나무 묘목의 생장 및 광도의 변화에 따른 광합성속도, 중산속도 등 생리적 특성의 변화를 분석하고 Gap 생장환경에 대한 소나무 묘목의 적응과정에 대한 연구를 통해 갱신기작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Open된 생장환경에 비해 광도가 낮고 광질이 다른 Gap처리구에서 소나무 묘목은 근원경보다는 상대적으로 묘고의 생장량이 더 많이 이루어졌고 건중량의 증가비율도 지하부보다는 지상부에서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 비교적 높은 T/R율을 보였다. 소나무 묘목의 지상부 C/F비율(지상부의 비동화기관과 동화기관 건중량의 비율)도 Gap처리구에서는 Open 생장환경에 비해 0.1~0.2정도 높았으며 광포화점은 $300{\mu}mol\;m^{-2}s^{-1}$정도 낮았고 광보상점도 40%정도 낮게 나타나 양수이지만 내음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광도가 $400{\sim}450{\mu}mol\;m^{-2}s^{-1}$보다 낮을 때 소나무 묘목은 비교적 높은 광합성속도와 수분이용효율을 나타내었으며 약한 광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였다.

  • PDF

점봉산(點鳳山) 일대(一帶) 천연활엽수림(天然闊葉樹林)의 주요(主要) 구성(構成) 수종(樹種)에 대한 생태지위(生態地位) 평가(評價) (Evaluation of Ecological Niche for Major Tree Species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of Mt. Chumbong)

  • 김광택;김지홍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3호
    • /
    • pp.380-387
    • /
    • 2001
  • 점봉산 일대 천연활엽수림의 17개 주요 구성 수종을 대상으로 수직적 구조에서의 광선의 강도를 주요 환경경사로 할 경우와 수평적 분포에서의 다차원의 자원을 환경경사로 할 경우의 생태지위의 특성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직적 생태지위폭은 물푸레나무가 가장 크고, 다릅나무가 가장 작으며, 수평적 생태지위폭은 당단풍이 가장 크고, 거제수나무가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수종별 두 가지 생태지위폭 간의 상관관계는 없었다. 수종의 내음성 지수가 높을수록 수직적 생태지위폭과 수평적 생태지위폭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종의 내음성 지수 순위에 따른 수직적 및 수평적 생태지위폭 순위에 대하여 Spearman의 순위상관을 분석한 결과, 수직적 생태지위폭에 대한 순위상관계수는 $r_s=0.432$($P{\leq}0.1$)로 산출되어, 95% 확률수준에서 유의성이 없었는데, 아교목성 생육형을 지닌 까치박달을 제외하면, Spearman의 순위상관계수는 $r_s=0.650$($P{\leq}0.01$)로 산출되어 고도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수평적 생태지위폭에 대한 Spearman의 순위상관계수는 $r_s=0.797$($P{\leq}0.01$)로 산출되어 고도의 유의성이 있는 관계가 성립되었다. 수평적 분포에서의 수종간 생태지위중복도를 바탕으로 cluster분석을 하여 분류된 4가지 수종군은 입지 요구도가 비슷한 수종들로 이루어졌으며, 수종간 정의 상관관계를 갖는 수종들의 연결 양상과 상당히 부합되었다.

  • PDF

관수빈도에 따른 Kentucky Bluegrass 생육 (Irrigation Frequency for Kentucky Bluegrass (Poa pratensis) Growth)

  • 이상국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23-128
    • /
    • 2012
  • Kentucky bluegrass 는 경기장과 골프장의 Tee 나 Fairway 등에 가장 많이 사용이 되는 한지형잔디 초종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Kentucky bluegrass 는 뿌리층이 얕고 그늘에 약한 단점들이 있다. Kentucky bluegrass 의 가장 큰 단점중의 하나는 성장을 위해 수분이 많이 요구되는 초종이다. 올바른 수분관리는 잔디의 시각적 색감과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아주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이다. 잔디의 성장을 위해 수분을 공급하는 관수 방법에는 light and frequent (LI) 적은양을 빈번하게 관수하는 방법과, deep and infrequent (DI) 많은양을 필요시에 공급하는 두가지의 방법이 있다. 본 실험은 Kentucky bluegrass 의 생육을 위한 관수빈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을 위해 무관수, 매주 4회, 그리고 매주 1회의 3가지 관수방법이 사용되었다. 무관수 처리구의 경우 인위적인 관수는 수행되지 않았으며 Kentucky bluegrass 의 생육을 위해 수분공급은 강수량에 의해서만 이루어졌다. 본 실험결과 2011년 기상조건하에서 강우량에 의존한 무관수는 7,8 월에 최소수용품질을 나타내기 어렵다고 판단되며, 관수빈도에 따른 Kentucky bluegrass 생육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Biotic and spatial factors potentially explain the susceptibility of forests to direct hurricane damage

  • Kim, Daehyun;Millington, Andrew C.;Lafon, Charles W.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3권4호
    • /
    • pp.364-375
    • /
    • 2019
  • Background: Ecologists continue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potentially affect the pattern and magnitude of tree damage during catastrophic windstorms in forests. However, there still is a paucity of research on which trees are more vulnerable to direct damage by winds rather than being knocked down by the fall of another tree. We evaluated this question in a mixed hardwood-softwood forest within the Big Thicket National Preserve (BTNP) of southeast Texas, USA, which was substantially impacted by Hurricane Rita in September 2005. Results: We showed that multiple factors, including tree height, shade-tolerance, height-to-diameter ratio, and neighborhood density (i.e., pre-Rita stem distribution) significantly explained the susceptibility of trees to direct storm damage. We also found that no single factor had pervasive importance over the others and, instead, that all factors were tightly intertwined in a complex way, such that they often complemented each other, and that they contributed simultaneously to the overall susceptibility to and patterns of windstorm damage in the BTNP. Conclusions: Directly damaged trees greatly influence the forest by causing secondary damage to other trees. We propose that directly and indirectly damaged (or susceptible) trees should be considered separately when assessing or predicting the impact of windstorms on a forest ecosystem; to better predict the pathways of community structure reorganization and guide forest management and conservation practices. Forest managers are recommended to adopt a holistic view that considers and combines various components of the forest ecosystem when establishing strategies for mitigating the impact of catastrophic winds.

Half-cell 기반 multi-wires 접합 공정에서 접합 특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효율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Affecting Soldering Characteristics and Efficiency of Half-cell Soldering Process with Multi-wires)

  • 김재훈;손형진;김성현
    •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 /
    • 제7권3호
    • /
    • pp.65-70
    • /
    • 2019
  • As a demand of higher power photovoltaic modules, shingled, multi-busbar, half-cell, and bifacial techniques are developed. Multi-busbar module has advantage for large amount of light havesting. And, half-cell is high power module for reducing resistive losses and higher shade tolerance. Recently, researches on multi-busbar is focused on reliability according to adhesion and intermetallic compound between Sn-Pb solder and Ag electrode. And half-cell module is researched to comparing with full-sized cell module for structure differenc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factors affecting to efficiency and adhesion of multi-wires half-cell module according to wire thickness, solder thickness, and flux. The results of solar simulator and peel test was that peel strength and efficiency of soldered cell is not related. But samples with flux including high solid material showed high efficiency. The results of FE-SEM and EDX line scan on cross-section between wire and Ag electrode for different flux showed thickness of solder joint between wire and Ag electrode is increasing through solid material increasing. Flux including high solid material would affect to solder behavior on Ag electrode. Higher solid material occurred lower growth of IMC layer because solder permeate to sider of wire ribbon than Ag electrode. And it increased fill factor for high efficiency. In soldering process, amount of solid material in flux and solder thickness are the factor related with characteristic of soldered photovoltaic cell.

Mid-term (2009-2019) demographic dynamics of young beech forest in Albongbunji Basin, Ulleungdo, South Korea

  • Cho, Yong-Chan;Sim, Hyung Seok;Jung, Songhie;Kim, Han-Gyeoul;Kim, Jun-Soo;Bae, Kwan-H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4권4호
    • /
    • pp.241-255
    • /
    • 2020
  • Background: The stem exclusion stage is a stage of forest development that is important for understanding the subsequent understory reinitiation stage and maturation stage during which horizontal heterogeneity is formed. Over the past 11 years (2009-2019), we observed a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in the Albongbunji Basin in Ulleungdo, South Korea in its stem exclusion stage, where Fagus engleriana (Engler's beech) is the dominant species, thereby analyzing the changes in the structure (density and size distributions), function (biomass and species richness), and demographics. Results: The mean stem density data presented a bell-shaped curve with initially increasing, peaking, and subsequently decreasing trends in stem density over time, and the mean biomass data showed a sigmoidal pattern indicating that the rate of biomass accumulation slowed over time. Changes in the density and biomass of Fagus engleriana showed a similar trend to the changes in density and biomass at the community level, which is indicative of the strong influence of this species on the changing patterns of forest structure and function. Around 2015, a shift between recruitment and mortality rates was observed. Deterministic processes were the predominant cause of tree mortality in our study; however, soil deposition that began in 2017 in some of the quadrats resulted in an increase in the contribution of stochastic processes (15% in 2019) to tree mortality. The development of horizontal heterogeneity was observed in forest gaps. Conclusions: Our observations showed a dramatic shift between the recruitment and mortality rates in the stem exclusion stage, and that disturbance increases the uncertainty in forest development increases. The minor changes in species composition are likely linked to regional species pool and the limited role of the life-history strategy of species such as shade tolerance and habitat affinity. Our midterm records of ecological succession exhibited detailed demographic dynamics and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an ecological perspective in the stem exclusion stage.

천연문엽수임내(天然聞葉樹林內) 주요(主要) 구성(構成) 수종(樹種)의 천연경신(天然更新) 양상(樣相) (The Aspect of Natural Regeneration for Major Tree Species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 김지홍;양희문;김광택;이원섭;강성기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7권1호
    • /
    • pp.1-17
    • /
    • 2001
  • 이 연구는 "국유림 경영 현대화 산학 협동 실연 연구"의 일환으로 강원도 평창군 가리왕산 일대 천연활엽수림을 대상으로, 주요 수종별 천연갱신 특성을 평가하여 연구대상 산림의 전반적인 천연갱신에 대한 종합적인 생태적 정보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수종별 천연갱신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거제수나무 : 비산되는 종자이므로 종자 공급에는 문제가 없으나, 종자 발아를 위해서 노출된 광물질토양이 필요하며, 두꺼운 낙엽층은 종자 발아를 제한한다. 발아 후 갱신치수는 다량의 광선을 필요로 한다. 고로쇠나무 : 내음성은 강하나, 치수의 내건성이 약하므로 50% 이상의 피음을 요구하며, 우량 형질의 임목 조성을 위해 높은 초기 밀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맹아정신력은 높다. 난티나무 : 수분 요구도가 높고 내음성이 약하므로 60% 가량의 상층 울폐도를 유지하여 보습과 광선유입이 원활하여야 하며, 치수 활착을 위해서 관목류 및 기타 식생으로부터 경쟁 요인을 제거한다. 들메나무 : 종자 발아를 위해 광물질 토양의 노출이 필수적이며, 치수 활착을 위해서 다량의 수분과 광선이 요구되고, 지피식생에 의한 치수의 피압이 우려되므로 임지정리작업 도입이 필수적이다. 물푸레나무 : 종자 결실의 풍흉이 심하며, 두꺼운 낙엽층은 종자발아를 제한한다. 치수 활착시 지피식생에 의한 피압이 우려되므로 임지정리작업의 도입이 필수적이다. 신갈나무 : 종자공급의 문제(설치류에 의한 피해) 및 두꺼운 낙엽층 및 조릿대 밀생 지역에서는 종자발아가 제한되며, 치수 발생 후, 임관의 50% 이상을 열어줄 필요가 있고, 맹아갱신력이 높다. 음나무 : 두꺼운 낙엽층은 종자발아를 제한하며, 유령목 생육에 다량의 광선이 요구된다. 젓나무 : 내음성은 강하나, 유령목 단계에서 생육은 극히 저조하다. 층층나무 : 동물에 의해서 종자가 산포되지만 종자 피해는 불가피하며, 발아와 치수 활착을 위해서 다량의 광선이 요구된다. 피나무 : 종자 충실률이 낮고 이중 휴면성 때문에 종자 공급에 어려움이 있으며, 두꺼운 낙엽층은 종자발아의 걸림이 되므로 광물질 토양이 필요하고, 맹아갱신력이 매우 높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