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GR

검색결과 241건 처리시간 0.024초

학교급식에서 제공되는 숙주나물의 Staphylococcus aureus 성장예측모델 개발 및 섭취유효기간 설정 (Development of a Predictive Growth Model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Shelf-life Estimation of Cooked Mung Bean Sprouts Served in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 박형수;김민영;정현숙;박기환;류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1호
    • /
    • pp.1618-1624
    • /
    • 2009
  • 본 연구는 학교급식에서 제공되는 숙주나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표준레시피를 이용하여 조리한 숙주나물에 대하여 예측 미생물학을 이용하여 숙주나물의 성장예측 모델을 개발한 후 보관기간을 설정하였고, 식초를 첨가하여 조리한 숙주나물의 S. aureus 성장과 비교하였다. 표준레시피를 이용하여 조리한 S. aureus는 성장하기에 적절한 pH(6.32)로 측정되었고, 온도 변화(5, 15, 25, 35$^{\circ}C$)에 따라 빠르게 증식하였다. 성장예측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Gompertz model을 적용하여 생육 지표(LT, SGR)를 구한 결과 5$^{\circ}C$를 제외하고 0.90 이상의 높은 $R_2$값을 나타내어 이차모델의 변수 값으로 사용하기에 적합성이 높았다. Response surface model을 이용한 2차 모델에서는 LT, SGR의 R²값이 모두 0.94 이상으로 나타나 관측값과 예측값의 상관관계가 밀접하였다. MSE는 각각 0.020, 0.002로 나타났고, Bf와 Af의 경우에도 이상적인 값인 1에 가까운 값으로 나타나 관측값과 예측값 간의 높은 정확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S. aureus 성장예측모델은 통계적으로 적합성이 높다고 할 수 있으며, 사용 가능한 모델로 판단된다. 숙주나물의 보관기간은 S. aureus의 성장조건과 독소가 생성되는 6.0 log CFU/g을 근거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10$^{\circ}C$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 보관할 것을 권장한다. 25$^{\circ}C$ 이상에서 보관할 경우에는 12시간 이전, 35$^{\circ}C$ 이상에서는 6시간 이전에 섭취하여야 할 것이다. 숙주나물에 식초를 첨가한 결과 pH는 4.78로 나타나 S. aureus의 증식에 불리한 조건이었고, 균의 증식도 온도 변화와 상관없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거나 감소하였다. 따라서 기온이 높은 계절에는 식초를 이용하면 S. aureus에 대한 증식억제 효과를 나타내 숙주나물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불가사리(Asterias amurensis) 추출물을 첨가한 사료의 급이가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의 성장, 혈액성상 및 식세포 활성산소 생산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upplemental Asterias amurensis Extract in the Experimental Diets on Growth, Blood Chemistry and Superoxide Production of Kidney Phagocytes of Sebastes schlegeli)

  • 박희연;임치원;김연계;최태진;윤호동;이가정;서연경;김지영;박기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4호
    • /
    • pp.362-366
    • /
    • 2007
  • 수산 해적생물인 불가사리의 주정추출물을 농도별로 사료에 첨가하여 조피볼락의 성장, 혈액성상 및 식세포 활성산소 생산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불가사리추출물의 함량이 다른 사료를 급여한 조피볼락의 1일성장율(SGR), 사료계수(FCR), 비만도(CF), 생존율(SR)을 비교한 결과, 실험군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불가사리추출물에 의한 먹이 기피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사료를 코팅을 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불가사리추출물이 조피볼락의 체내 대사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혈청 중의 glucose, total cholesterol의 함량과 GOT를 측정한 결과, glucose와 total cholesterol의 함량은 불가사리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혈청 GOT는 실험군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는 불가사리추출물이 독성이 거의 없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불가사리추출물 첨가사료의 급이가 조피볼락의 면역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식세포의 활성산소 생산량을 측정한 결과, 불가사리추출물의 첨가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불가사리추출물은 면역증강 기능성 사료첨가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Effects of Dietary Arachidonic Acid (20:4n-6) Levels on Growth Performance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Juvenile Eel, Anguilla japonica

  • Bae, Jun-Young;Kim, Dae-Jung;Yoo, Kwang-Yeol;Kim, Sun-Gyu;Lee, Jeong-Yeol;Bai, Sungchul 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4호
    • /
    • pp.508-514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etary arachidonic acid (AA, 20:4n-6) levels on growth performance and body composition in juvenile eel, Anguilla japonica. Six semi-purified experimental diets were formulated to be isonitrogenous and iso-caloric containing 55.0% crude protein and 15% crude lipid (18.3 kJ of available energy $g^{-1}$). Six different levels of AA were added to the basal diet, with 0, 0.2, 0.4, 0.6, 0.8 or 1.2% on a dry matter (DM) basis, respectively ($AA_{0.07},\;AA_{0.22},\;AA_{0.43},\;AA_{0.57},\;AA_{0.78}\;or\;AA_{1.23}$). After a conditioning period, fish initially averaging 27${\pm}$0.5 g (mean${\pm}$SD) were randomly distributed into each aquarium as triplicate groups of 20 fish each. One of six experimental diets was fed on a DM basis to fish in three randomly selected aquaria at a rate of 2-3% of total body weight twice a day. At the end of the 12-week feeding trial, weight gain (WG) and feed efficiency (FE) of fish fed $AA_{0.78}$ and $AA_{1.23}$ die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of fish fed $AA_{0.07},\;AA_{0.22},\;AA_{0.43}$ diets (p<0.05). Specific growth rate (SGR) of fish fed the $AA_{0.78}$ die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f fish fed $AA_{0.07},\;AA_{0.22},\;AA_{0.43}$ diets (p<0.05).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WG, SGR and FE among fish fed $AA_{0.57},\;AA_{0.78}\;or\;AA_{1.23}$ diets (p>0.05). Whole body AA deposition of fish fed the $AA_{1.23}$ die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for the other diets (p<0.05). Broken-line model analysis on the basis of WG and SGR indicated that the dietary AA requirement could be greater than 0.69% but less than 0.71% of the diet in juvenile eel. The growth-promoting activity of AA observed in the present study provides strong support for the contention that dietary AA is essential for juvenile eel.

선발과 비선발 참돔 (Pagrus maior) 계통의 성장 양상 비교 (Comparative Growth Performance of the Selected and the Non-selected Red Sea Bream (Pagrus major) Lines)

  • 노충환;홍경표;오승용;최희정;박용주;명정구;김종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400-404
    • /
    • 2004
  • Growth performances of the selected and the non-selected red sea bream (Pagrus major) lines were evaluated up to marketable size. The offspring were mass-produced either from the selected line (the fourth generation of broods from mass selection) or the non-selected line (the second generation of wild broods). Early (59 to 103 days old, trial I) and late growth performances (4 to 24 months old, trial II) were evaluated based on communal rearing in land-based tanks and sea cages, respectively. In trial I, the selected line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values in both weight gain (WG) and specific growth rate (SGR) when compared to those observed in the non-selected line (P<0.05). In trial II comprising of three growth phases (4-9, 9-16 and 16-24 months old), selected line showed only slightly improved in WG and SGR at the beginning two growth phases (4-9 and 9-16 months old) (P>0.05), however, displayed significantly higher values at the last growth phase (16-24 months old) (P<0.05). Overall WG and SGR throughout the experiment (4-24 months)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elected line than the non-selected line (P<0.05). Consequently, mean body weight of the selected line at 24 months old was 1.4-fold (40.8{\%}\;increased) as compared to that of the non-selected line. This present result indicates that mass selection of this species against the growth traits might be quite effective, and the present advance has important Implication in the productivity enhancement of red sea bream aquaculture.

치어기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에 있어서 어분 대체원으로써 탈피대두박을 이용하여 생산한 오징어 간분의 평가 (Dietary Squid Liver Powder (SLP) with Dehulled Soybean Meal (DHSM) as a Fish Meal (FM) Substitute for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김영철;배승수;이준호;박건현;이정열;배승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43-249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roper inclusion levels of squid liver powder (SLP) and dehulled soybean meal (DHSM) as a fish meal (FM) replacement in the diets for olive flounders. All the experimental diets were formulated to be isonitrogenous (50% crude protein, CP) and isocaloric (17.1 kJ energy $g^{-1}$ diet). Four diet were formulation of FM with SLP (DHSM) were tested at 0, 25, 50, 75% (SLP(DHSM)$_0$, SLP(DHSM)$_{25}$, SLP(DHSM)$_{50}$ and SLP(DHSM)$_{75}$, respectively). Triplicate groups of 12 fish with an average body weight of 5.56$\pm$0.1 g (mean$\pm$S.D.) were fed one of three experimental diets for 7 weeks. Weight gain (WG) and the specific growth rate(SGR) of fish fed SLP(DHSM)$_0$ and SLP(DHSM)$_{25}$ die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SLP(DHSM)$_{50}$ and SLP(DHSM)$_{75}$ diets (P<0.05). Also, WG and SGR of fish fed SLP(DHSM)$_{50}$ had significantly higher WG and SGR than that of fish fed SLP(DHSM)$_{75}$ (P<0.05). The feed efficiency (FE) and protein efficiency ratio (PER) of fish fed SLP(DHSM)$_0$ and SLP(DHSM)$_{25}$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ed SLP(DHSM)$_{50}$ and SLP(DHSM)$_{75}$ (P<0.05). The whole-body crude lipid content of fish SLP(DHSM)$_{75}$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ish fed SLP(DHSM)$_{50}$ (P<0.05).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whole-body moisture, crude protein and crude ash of fish fed all diets. Based on these growth performance results, the SLP(DHSM) combination replace up to 25% FM protein by the ANOVA test in juvenile olive flounder diets.

배합사료의 단백질 및 지질 함량이 어린 돌기해삼 Stichopus japonicus의 성장 및 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Protein and Lipid Levels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Sea Cucumber Stichopus japonicus)

  • 서주영;최진;김근업;조성수;박흠기;이상민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9-25
    • /
    • 2008
  • 본 연구는 어린 돌기해삼 Stichopus japonicus 사료의 적정 단백질과 지질 함량을 조사하기 위해 단백질(10%, 20%, 30% 및 40%)과 지질(3%, 7% 및 11%)이 달리 함유된 12 종류의 실험사료를 제조하였다. 평균 체중 1.1 g의 치삼을 각 수조마다 50마리씩 3반복으로 수용하여 8주간 수행하였다. 사육실험 종료 후, 생존율은 86% 이상으로 실험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증중율과 일간성장율은 동일한 지질함량에서 단백질 30%에 지질 3% 함유 사료 공급구가 다른 실험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치삼의 수분, 지질 및 회분 함량은 사료의 단백질과 지질함량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단백질함량은 실험구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단백질 30%에 지질 3% 함유 사료 공급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단백질 20%에 지질 11% 공급구에서 가장 낮았다. 지방산 조성은 사료의 지방산에 영향을 받아 지질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18:2n-6은 증가하였고 n-3HUFA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해삼의 최대 성장에 필요한 단백질함량은 30%이고, 지질함량은 3%로 판단된다.

수육에서의 Staphylococcus aureus 성장 예측모델 (Predictive Model for Growth of Staphylococcus aureus in Suyuk)

  • 박형수;박경진;박기환;박지연;류경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87-494
    • /
    • 2010
  • 본 연구는 수육에 쉽게 오염될 수 있는 S. aureus에 대한 성장 예측모델을 적용하고, 이를 비교하여 수육을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한 적절한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온도에 따른 S. aureus의 성장곡선은 5, 15, $25^{\circ}C$의 보관온도에서 측정하였다. 수육에 오염된 S. aureus의 성장결과를 기초로 온도에 따라 Baranyi model과 Gompertz model을 이용하여 SGR와 LT를 산출하였다. 두 모델에 대하여 R2과 RMSE를 산출하여 통계적인 적합성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Baranyi model에서는 각각 0.98, 0.27, Gompertz model에서는 각각 0.84, 0.84로 나타나 Baranyi model이 온도변화에 따라 S. aureus 생육을 예측하기 위한 이차모델의 변수 값으로 사용하는데 더 적합하였다. RSM을 이용한 2차 모델에서는 $R^2$이 5, 15, $25^{\circ}C$에서 각각 0.88, 0.99, 0.99로 나타나 실험값과 예측값의 상관관계가 높았다. 또한 RMSE는 온도별로 각각 0.11, 0.24, 0.10로 나타났고, $B_f$는 각각1.12, 1.02, 1.03로, $A_f$는 각각 1.17, 1.03, 1.03로 나타나 통계적 적합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개발된 모델을 이용할 경우 수육의 다양한 조리환경과 온도에 따른 S. auresus 성장을 추정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평가에서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 그라우팅 재료별 특성에 따른 설계사양에 관한 연구 - LW 공법 및 MSG 공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sign Specification for Characteristics of Grout Materials - Focus on LW method and MSG method -)

  • 천병식;김진춘;남순성;하광현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3권4호
    • /
    • pp.67-79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MSG공법과 LW공법(또는 SGR공법)의 강도발현성, 침투성 등을 비교하여 사질지반, 실트질지반, 점토지반 등 대상지반에 대한 주입재료별(MSG-N, OPC)로 침투한계를 평가함으로서 대상지반별 최적 주입재 선정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용된 그라우트재에 대하여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응결재와 경화재가 일정비율로 혼합된 호모겔 강도 및 밀크 페이스트 강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대상토질별, 침투압력별, 복합지층에서의 주입재별, 대형토조를 이용한 침투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결과, 사질지반 및 실트질 사질지반에서 효과적인 그라우팅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MSG공법 주입재와 같이 초미립자계 주입재를 적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초미립자계 주입재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지반의 종류에 따른 적정한 주입압력을 제시하였으므로 설계 시공기술자들에게 약액주입 지침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LED (Light-Emitting Diode)를 이용한 미세조류 (Chaetoceros calcitrans)의 성장 및 생화학적 조성 변화 (Changes in the growth and biochemical composition of Chaetoceros calcitrans cultures using light-emitting diodes)

  • 안희춘;배재현;권오남;박흠기;박진철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0권4호
    • /
    • pp.447-454
    • /
    • 2014
  • The marine microalgae Chaetoceros calcitrans was cultured under a fluorescent lamp (CON) and light-emitting diodes (LEDs) of various wavelengths (blue, LB; red, LR; green, LG; white, LW); changes in growth, fucoxanthin, chlorophyll-a, amino acid and fatty acid profiles were investigated. LR-exposed cultures exhibited the highest specific growth rate (SGR) (0.34), whereas LG-exposed cultures showed the lowest SGR (0.26). After cultivation for 10 days, the maximum dry cell weight (g/L) of LR-exposed cultur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ose exposed to other light conditions (LR${\geq_-}$CON>LB${\geq_-}$LW${\geq_-}$LG). Eicosapentaenoic acid (EPA)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ON-exposed cultures compared to those exposed to LW (P<0.05), with no marked difference compared to those exposed to LB, LR and LG (P>0.05). The fucoxanthin content was highest in LB-exposed cultures ($6.3{\mu}g/mL$), whereas LW showed the lowest ($3.6{\mu}g/mL$; P<0.05). Chlorophyll-a content was highest in cultures exposed to LB compared to other light sources. These results suggest consistent differences in growth and biochemical composition after exposure to light of different wavelengths.

A Preliminary Study on Effects of Different Dietary Selenium (Se) Levels on Growth Performance and Toxicity in Juvenile Black Seabream, Acathopagrus schlegeli (Bleeker)

  • Lee, Seunghyung;Lee, Jun-Ho;Bai, Sungchul 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12호
    • /
    • pp.1794-1799
    • /
    • 2008
  • This preliminary feeding trial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s of different dietary selenium (Se) levels on growth performance and toxicity in juvenile black sea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Bleeker). Fish averaging $7.0{\pm}0.1g$ ($mean{\pm}SD$) were fed one of the five semi-purified diets containing 0.21, 0.30, 0.52, 1.29 and 12.3 mg sodium selenite ($Na_2SeO_3$)/kg diet (Se 0.21, Se 0.30, Se 0.52, Se 1.29 or Se 12.3) for 15 weeks. After the feeding trial, weight gain (WG), feed efficiency (FE), specific growth rate (SGR) and protein efficiency ratio (PER) of fish fed Se 0.21, Se 0.30, Se 0.52 and Se 1.29 die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however fish fed Se 12.3 diet showed significantly lower WG, FE, SGR and PER than those of fish fed the other diets (p<0.05). Fish fed Se 0.21, Se 0.30, Se 0.52, Se 1.29 and Se 12.3 die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matocrit (PCV), hemoglobin (Hb) and red blood cells (RBC), however fish fed Se 12.3 diet showed lower values of PCV, Hb and RBC than those of fish fed the other diets. Histopathological lesions such as tubular necrosis and polycystic dilation of tubules in the kidney tissues were observed in fish fed Se 12.3 diet. Se was accumulated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the liver, kidney, muscle and gill tissu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preliminary feeding trial, a dietary Se level of 0.21 mg $Na_2SeO_3/kg$ diet could be optimal for proper growth performances, and a dietary Se level of 12.3 mg $Na_2SeO_3/kg$ diet may ultimately be toxic to juvenile black seabream, Acanthopagrus schlegel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