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GI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4초

Development of a Novel Multiple Cross-Linking Spiral Amplification for Rapid and Sensitive Detection of HPV16 DNA

  • Zhang, Donghong;Liu, Dongliang;Liu, Bing;Ma, Xiul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4호
    • /
    • pp.610-620
    • /
    • 2021
  •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the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HNSCC) that is caused by high-risk human papillomavirus (HR-HPV) and has posed a significant challenge to Otolaryngologists. A rapid, sensitive, and reliable method is required for the detection of HR-HPV in clinical specimens to prevent and treat HPV-induced diseases. In this study, a multiple cross-linking spiral amplification (MCLSA) assay was developed for the visual detection of HPV-16. In the MCLSA assay, samples were incubated under optimized conditions at 62℃ for 45 min, and after mixing with the SYBR Green I (SGI) dye, the positive amplicons showed bright green fluorescence while the negative amplicons exhibited no obvious change. The specificity test revealed that the developed MCLSA technique had high specificity and could effectively distinguish all five HPV-16 strains from other pathogenic microorganisms. In terms of analytical sensitivity, the limit of detection (LoD) of MCLSA assay was approximately 5.4 × 101 copies/tube, which was 10-fold more sensitive than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LAMP) and RT-PCR. The detection results of laryngeal cancer specimens collected from 46 patients with suspected HPV infection in the Liaoning region demonstrated that the positive detection rates of MCLSA and hybridized capture 2 kit were 32.61% (15/46). The true positive rate of the MCLSA assay was higher than that of RT-PCR (100% vs. 93.33%) and LAMP (100% vs. 86.67%). Therefore, the MCLSA assay developed in the present study could be a potentially useful tool for the point-of-care (PoC) diagnosis of HR-HPV, especially in resource-limited countries.

분야별 가뭄지수를 활용한 우리나라 가뭄 전이 특성 및 가뭄 피해 양상 분석 (Analyses of drought propagation characteristics and damage pattern using meteorological, agricultural, and hydrological drought indices)

  • 손호준;김지은;오미주;김태웅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321-321
    • /
    • 2023
  • 가뭄은 수개월 혹은 수년간 지속적이며, 점진적으로 광범위하게 피해를 미치는 자연재해이다. 강수 부족과 같은 비정상적 기상환경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상학적 가뭄이 지속되어 토양 수분량 감소 및 식생에 영향을 미치는 농업적 가뭄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하천유출량 및 가용수자원이 감소하는 수문학적 가뭄으로까지 진행된다. 이처럼 분야별 가뭄이 장시간 지속됨에 따라 다른 종류의 가뭄을 발생시키는 현상을 가뭄 전이라고 하며, 가뭄이 전이되지 않은 비전이 사상보다 지역에 큰 피해를 야기한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가뭄 전이와 관련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기상학적, 농업적 및 수문학적 가뭄에 대한 가뭄 전이를 모두 고려하여 가뭄의 전이 및 비전이사상간의 피해 양상을 비교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 단위의 시군구별 SPI(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GI(Standardized Groundwater level Index) 및 PHDI(Palmer Hydrological Drought Index)를 사용하여 각각 기상학적, 농업적 및 수문학적 가뭄을 판단하였다. 각 분야별 가뭄간의 시간적 중복여부를 통해 가뭄의 전이 여부를 판단하고, 가뭄의 전이 특성(풀링, 감쇠, 지체, 연장)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가뭄 전이 사상과 비전이 사상이 발생한 시기의 가뭄 피해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지역별 가뭄 전이 사상 및 비전이 사상간의 피해 양상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과거 충청북도 충주시는 2011년의 기상학적 가뭄(비전이 사상) 발생시 피해 인구가 없었으나, 2019년의 기상학적 가뭄에서 수문학적 가뭄으로 전이가 발생하여 999명의 피해 인구가 발생하였다. 즉, 동일한 지역에서 다른 시기에 발생한 가뭄 피해 및 동일한 연도에서 인접한 지역의 가뭄 피해를 분석한 결과, 비전이된 가뭄 사상에 비해 전이된 가뭄 사상에서 더욱 큰 피해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가뭄 예·경보를 위한 지하수위 모니터링 및 예측기법 개발 (Development of groundwater level monitoring and forecasting technique for drought early warning)

  • 이정주;김태호;전근일;김현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13-13
    • /
    • 2020
  • '20년 3월 현재 전국 3,502개 읍면동 중 73개 읍면동이 지하수를 상수원으로 급수 중이며, 48개 산업단지에서 지하수를 주 수원으로 사용 중이다. 또한 급수 소외지역의 물 공급을 위해 주로 사용되는 소규모수도시설 14,811개 중 12,073개(81.5%)는 지하수를 이용하고 있으며, 그 위치는 전국에 산재해 있다. 이처럼 지하수는 댐, 저수지 및 하천과 더불어 생·공용수의 중요한 수원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급수 소외지역의 주요 수원인 지하수위 현황을 이용한 가뭄 모니터링 및 전망 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국가 지하수관측망 중 10년 이상 장기 관측 자료를 보유한 253개 관측소의 일단위 관측자료를 기반으로, 과거 관측수위 분포를 핵밀도함수로 추정하고 Quantile Function을 이용해 현재 수위의 높고 낮은 정도를 Percentile 값으로 산정하였다. 관측소별 지하수위 Percentile은 티센망을 이용해 167개 시군별로 공간평균하고 Percentile의 범위에 따른 가뭄등급을 설정하여 지하수 가뭄 정도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지하수 가뭄을 전망하기 위해 강수와 지하수위의 거시적인 응답특성을 이용하였다. 관측소별로 추정된 핵밀도함수의 누적확률을 표준정규분포의 Quantile로 변환하여 표준지하수지수I(Standardized Groundwater level Index, SGI)를 산정하고, 시군별로 공간을 일치시킨 1~12개월 지속기간별 표준강수지수(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와의 상관관계를 이용해 NARX(nonlinear autoregressive exogenous) 인공신경망 예측모형을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기상청 정량전망 강수량을 이용해 전국의 1~3개월 후 지하수 가뭄을 빠르게 전망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 생·공용수 분야 국가 가뭄 예·경보의 미급수지역 가뭄현황 및 전망에 활용중이다.

  • PDF

돼지인공수정용 정액액상보존제 Kp 의 개발에 관한 연구 I. Kp 의 pH 조절과 냉동정자에 의한 보존성 검정 (A Study on Development of Boar Semen Extender Kp for Swine AI I. Stabilization of pH Change and In Vitro Survival of Frozen-Thawed Boar Sperm in Kp Extender)

  • 김선의;정구민;서동삼;김득중;김인철;김현종;신영수;임경순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05-410
    • /
    • 1998
  • 본 연구는 독자 개발한 돼지액상정액희석제 Kp(한국생명과학연구소)에 pH를 안정화하여 보존 중 정자의 운동성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EDTA, Tris, Citrate buffer의 적정 첨가농도를 결정하고자 실시하였다. Basic Kp와 BTS (Mini-tube, Germany; BT-Sg), BTS (Tri-bio, USA; BTSa), Modena (SGI, USA)를 17$^{\circ}C$ 에서 각각 보관한 경우 모든 희석액에서 시간 경과에 따라 pH가 증가하였고, Basic Kp 는 희석 당일의 pH가 다른 희석액에 비해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돼지액상정액의 생리적인 pH인 6.8~7.5에 비해서도 높은 수준이었다. 정액내의 pH 저하를 방지해 주고 정액의 생리적인 pH를 유지하기 위하여 Basic Kp에 EDTA, Tris, Citrate buffer를 단계적으로 첨가하면서 시간 경과에 따른 pH 변화를 살펴 본 결과 1.25g /L EDTA, 1.42g /L Tris, 1.00g /L Citrate를 첨가한 경우 (Modified Kp) pH는 l일째 6.88에서 6일째 7.33으로 유지되었다. 특히, Modified Kp에 첨가된 buffer 의 농도는 Modena와 다른 희석제에 첨가된 농도에 비해 1/2 에서 1/4 정도로 낮은 수준이었다. Modified Kp 와 Basic Kp, BTSg, BTSa 및 Modena로 냉동-융해된 돼지 정자를 희석하여 보존한 경우 정자의 운동성은 Modified Kp가 다른 희석액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87.0% vs. 71.0~48.0% in day 1; 13.3% vs. 6.3~0% of day 6),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Modified Kp는 낮은 농도의 EDTA, Tris, Citrate buffer 첨가에도 불구하고 돼지정자의 생리적인 pH 수준을 잘 유지할 수 있었으며, 수입되어 냉동-융해된 돼지 정자에 사용하는 희석제 BTSg, BTSa, Modena 보다도 정자의 운동성에 효과적이었다.

  • PDF

돼지의 자궁내 인공수정기술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Intrauterine Insemination Technique in Pig)

  • 공일근;정금택;이정우;정수룡;오인석;유대중;이효상;김기수;배인휴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12
    • /
    • 2002
  • 본 연구는 2001년 5월과 7월에 순천지역의 한 농장을 대상으로 종모돈 64두와 미국의 SGI회사로부터 직수입된 동결정액을 가지고 인공수정시 정액의 형태와 방법이 종모돈의 번식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한 바, 그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일반적인 액상정액을 이용한 인공수정과 자궁내 이식기구를 이용한 동결정액의 이용이 번식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분만율에서는 액상정액을 이용한 처리구 (86.4%)가 동결정액을 이용한 처리구 (67%)보다 높게 나타났다. 산자수와 이유두수는 동결정액을 이용한 처리구 (9.7 및 9두)가 액상정액을 이용한 처리구 (9.29 및 8.8두)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2. 동결정액을 모돈의 산차별로 구분하고 인공수정하여 얻은 분만율에서는 3∼5산차에서 6두를 공시하여 6두 모두 임신에 성공하여 100%의 분만율을 보였으나, 6∼10산차에서는 4두를 공시하여 1두만이 분만되었다. 그리고 산자 수와 이유두수에서 0∼2산차 (11.3 및 9.3두), 6 ∼ 10산차 (8 및 8두)로 산차가 높을수록 전체적인 번식성적이 낮아지는 수치를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동결정액을 이용한 인공수정시 자궁심부까지 주입하는 자궁내 인공수정 기술을 이용함으로 임신율과 산자수수 및 이유 두수에서 신선정액을 자궁경관에 주입하는 인공수정방법과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대등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동결정액은 자궁내 인공수정기술 방법과 함께 이용 할 수 있는 그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일부 목재의 연소 시 발생되는 연기의 위험성 평가 (Risk Assessment of Smoke Generated During Combustion for Some Wood)

  • 정영진;진의
    • 공업화학
    • /
    • 제33권4호
    • /
    • pp.373-38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화재 시 연기안전 등급 평가를 표준화하기 위해 Chung's equations 1, 2와 3을 확장하여 Chung's equations-V인 연기성능지수-V와 연기성장지수-V를 산정하였다. 5종류의 목재를 선별하여 ISO 5660-1의 규격에 의한 콘칼로리미터(cone calorimeter)법으로 연기지수들을 측정하였다. Chung's equation-VI에 따라 연기위험성지수-VI에 의한 연기위험성을 등급화 하였다. 연기위험성지수-VI는 PMMA(1) ≈ 단풍나무(1.01) < 물푸레나무(1.57) < 전나무(4.98) < 오동나무(46.15) < 적삼목(106.26)의 순서로 증가하였다. 단풍나무, 물푸레나무의 연기위험성이 가장 낮고, 오동나무, 적삼목이 가장 높은 것으로 예측되었다. 시험편 5종의 일산화탄소 평균생성속도는 0.0009~0.0024 g/s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목재는 기준 물질인 polymethyl methacrylate보다 불완전연소 물질임을 나타내었다. 선정된 목재들의 연기특성은 체적밀도가 높을수록 연기성능지수-V (SPI-V)이 증가하였고, 연기위험성지수-VI (SRI-VI)가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