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F(spacing factor)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콘크리트의 실제 공극구조 특성을 반영한 간격분포지수 제안 (Proposal of Spacing Distribution Index Reflected Actual Air Void Characteristics in Concrete)

  • 전성일;안지환;권수안;윤태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6A호
    • /
    • pp.449-456
    • /
    • 2011
  • Power에 의해 제안된 간격계수는 기하학적 모델을 바탕으로 구성된 공극 간격의 평균적 개념으로, 실제 콘크리트의 공극구조 특성을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격계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콘크리트의 실제 공극구조 특성을 반영한 간격분포지수를 제안하였으며, 간격계수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이 지수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격계수는 AE제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간격분포지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간격분포지수가 간격분포곡선의 면적 값을 이용한 것으로 간격별 빈도수가 높은 것이 크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또한 간격계수 $300{\mu}m$이하의 범위에서 간격분포지수는 더 넓은 범위를 나타내었다. 이에 간격분포지수 사용 시 내구성지수 80% 이상이 되는 임계지점을 찾는데 좀 더 용이할 것으로 예상되며,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추정하는데 있어 좀 더 신뢰성 있는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간격분포지수는 공극 간격분포의 면적 값으로 실제 콘크리트의 공극구조특성을 반영한 지수이다. 추후, 동결융해실험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추가적인 검증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콘크리트의 공극 간격 데이터를 활용한 실측간격계수 개발 (Development of Actual Measurement Spacing Factor Using Spacing Data of Air Void in Concrete)

  • 이진범;전성일;권수안;안지환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701-709
    • /
    • 2011
  • 콘크리트의 공극구조를 평가하기 위한 대표적인 모델 중 하나가 Power가 제안한 간격계수(SF : spacing factor)인데, 이 PSF(power spacing factor)는 평균단일공극 개념을 사용하여 갇힌 공극의 존재 여부에 따라 그 결과값이 실제와 상이하게 나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실측된 공극 간격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수화한 AMSF(실측간격계수 : actual measurement spacing factor)를 개발하였으며, 콘크리트 혼합물의 화상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PSF와 AMSF를 비교 평가하였다. 이 연구 결과, PSF와 AMSF는 전반적으로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PSF가 $400{\mu}m$ 이상일 때 전반적으로 AMSF가 좀 더 큰 값을 나타내고 있어, 공기량이 작은 콘크리트 혼합물의 경우 PSF는 실제보다 좀 더 작은 값으로 예측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갇힌 공극의 유무에 따른 PSF와 AMSF 각각을 분석한 결과, AMSF는 갇힌 공극을 포함하지 않고 분석한 값이 더 크게 나타났고, PSF는 실제와 다르게 갇힌 공극을 포함하지 않고 분석한 값이 더 작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PSF가 이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는 이유는 평균단일공극 개념을 사용하기 때문이며, 이 분석 결과를 통해 AMSF가 좀 더 실제에 가까운 분석기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