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BI2K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4초

치주질환 심도에 따른 치아동요도와 교합력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OOTH MOBILITY AND BITE FORCE ACCORDING TO THE PERIODONTAL DISEASE SEVERITY)

  • 최종우;이만섭;권영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3권2호
    • /
    • pp.331-344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tooth mobility and bite force according to periodontal disease severity. Tooth mobility and biting force due to change of viscoelastic property of periodontium were influenced by inflammation of periodontal tissue. 30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eriodontal disease severity is evaluated with SBI and attachment loss. SBI and attachment loss were examined by periodontal probe. Tooth mobility was tested two times to each tooth using periotest (Siemens Co, Germany) and bite force was evaluated with MPM-3000 (Nihon Kohden Co, Japan). Statistical analysis was applied to correlation ($r^2$) and regression analysis.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As the attachment loss increased, tooth mobility increased with significance, and they had highly positive correlation ($r^2=0.68$) on entire dentition. 2. As the SBI increased, tooth mobility increased with significance, and they had positive correlation ($r^2=0.37$) on entire dentition. 3. As the attachment loss increased, bite force decreased with significance, and they had highly negative correlation ($r^2=0.42$) on maxillary anterior dentition but low negative correlation ($r^2=0.20$) on the other portion of dentition. 4. As the SBI increased, bite force decreased with significance, and they had highly negative correlation ($r^2=0.31$) on maxillary anterior dentition but low negative correlation ($r^2=0.16$) on the other portion of dentition. 5. As tooth mobility increased, bite force decreased with significance, and they had highly negative correlation ($r^2=0.32$) on maxillary anterior dentition but low negative correlation ($r^2=0.16$) on the other portion of dentition.

  • PDF

소아 장중첩증의 새로운 임상적 분류의 제안 (A Suggested New Clinical Classification for Pediatric Intussusception)

  • 박문호;손수민;최병규;김여향;이희정;최원정;김애숙;황진복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9권1호
    • /
    • pp.39-47
    • /
    • 2006
  • 목 적: 임상적, 방사선과적인 소견을 근거로 소아장중첩증의 새로운 분류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3년 3월부터 2005년 7월까지 장중첩증으로 진단된 88예를 대상으로 의무 기록 정보를 분석하였다. 분류를 위해 환자의 나이, 장중첩증의 위치, 증상의 유무, 치료 방법, 비후된 장간막 림프절의 유무, 초음파 소견 이상의 6가지 요소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결 과: 1) 장중첩증의 발병 연령에 따라 신생아형 1예(1.1%)와 소아형 87예(98.9%)로 나눌 수 있었다. 2) 소아형은 발생 위치에 따라 소장형 14예(16.1%)와 소장-대장형 73예(83.9%)로 분류되었다. 소장형은 증상이 있는 군 12예와 증상이 없는 군 2예로, 증상이 있는 군은 일과성 장중첩증 8예(66.7%), 수술군 3예(25.0%), 관장 정복 1예(8.3%)였으며, 무증상 군은 복부 컴퓨터 단층 촬영에서 우연히 관찰된 2예였다. 소장-대장형은 수술군 19예(26.0%)와 비수술군 54예(74.0%)로 분류되었다. 3) 일과성 소장형 장중첩증 8예를 수술을 받은 소장형 6예, 정복된 소장-대장형 54예, 수술을 받은 소장-대장형 19예와 비교 분석한 결과, 일과성 소장형 장중첩증의 연령은 $38.0{\pm}22.9$개월로 다른 형태에 비해 의미 있게 높았고(p=0.003), 혈변은 전체 8예 중 1예(12.5%)로 의미 있게 낮았으며(p=0.022), 기면은 모든 예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단순 복부 엑스선 사진상 일과성 소장형 장중첩증에서 복부 종물(p=0.015)과 기계적 장폐쇄증(p=0.001)은 상대적으로 낮게 관찰되었으며, 초음파상에서 종물의 크기는 일과성 소장형에서 $20.8{\pm}2.7mm$로 의미 있게 작은 크기를 보였다(p=0.0001). 4) 비후된 장간막 림프절 유무와 치료 방법 및 동반 질환과의 관련성 연구에서는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초음파상 과녁 모양인 경우 11예 중 7예(63.6%)가 일과성 소장형 장중첩증이었고, 나머지는 모두 정복이 가능하였으며 4예 중 3예는 소장-대장형이었으나, 1예는 회장-회장-대장형이었다. 도넛 모양인 23예 중 저에코성 외곽 테두리의 두께가 8.9 mm 이상인 8예(34.8%) 모두에서 수술을 요하였고, 8.5 mm 미만인 15예(65.2%) 모두는 정복이 가능하였다. 결 론: 소아 장중첩증은 영상학적인 소견과 임상적 특성에 따라 새롭게 분류될 수 있으며, 각 유형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유도하는데 중요한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열이 있는 3개월 이하의 영아에서 세균성 감염의 예측에 대한 연구 (Study of Serious Bacterial Infections in Febrile Infants Younger than Three Months of Age)

  • 전명원;이지영;장영택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0권2호
    • /
    • pp.215-222
    • /
    • 2003
  • 목 적 : 3개월 이하의 영아가 열이 있는 경우에 세균성 질환의 가능성이 크고 단순한 바이러스에 의한 질환과 감별이 어려워 여러 가지 검사 및 입원 치료를 하게 되는데, 고위험군과 저위험군을 분류하여 불필요한 검사와 치료를 줄이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었으나 통일된 방법은 없었다. 따라서 저자들은 열이 있는 3개월 이하의 영아들을 대상으로 심각한 질환과의 관련성 및 치료 방향을 살펴보려고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1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전주 예수병원에 발열(항문 체온 ${\geq}38.0^{\circ}C$)을 주소로 내원한 3개월 이하의 영아들을 대상으로 내원 당시 검사기록을 기준으로 고위험군과 저위험군을 분류하고 이에 따른 심각한 세균성 질환과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결 과 : 1) 총 378명의 환아 중 고위험군 216명(57.1%), 저위험군 162명(42.9%)이었고, 고위험군으로 분류된 항목 중에서는 말초 혈액 검사 이상이 100명(26.2%), 소변 검사이상이 99명(26.3%), 뇌척수액 검사 이상이 75명(22.3%)이었다. 2) 심각한 세균성 질환이 105명(27.8%), 심각한 질환이 172명(45.5%) 발생하였다. 이중 요로 감염이 98명(25.2%), 패혈증 10명(2.6%), 세균성 수막염 2명(0.6%), 무균성 수막염 77명(22.8%)이었다. 3) 고위험군 중 76명(35.2%)이 심각한 세균성 질환이었고 저위험군 중 29명(17.9%)이 심각한 세균성 질환이었다. 따라서 위험 예측기준의 민감도는 72.4%, 특이도는 48.7%, 음성 예측치는 82.1%, 양성 예측치는 35.2%이었다. 결 론 : 3개월 이하의 발열이 있는 영아를 고위험군과 저위험군으로 분류하는 것은 심각한 세균성 질환을 예측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나, 본 병원에서는 저위험군에서도 상당수의 심각한 세균성 질환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저위험군이라 하여 외래에서 추적 관찰만 하는 것은 신중하게 결정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후방연장 계속가공의치와 가철성 국소의치 지대치의 치주조직 상태에 관한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Periodontal Conditions Following insertion of Distally Extending Cantilever Bridges or Removable Partial Dentures)

  • 김정찬;최광춘;한수부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3권2호
    • /
    • pp.352-357
    • /
    • 1993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and compare the periodontal conditions of distally extending cantilever bridges(CB) and removable patial dentures(RPD). 78 patients treated with removable partial dentures were divided into 2 groups; bilateral free-ending (type 1) and unilateral free-ending(type 2). 43 patients treated with distally extending cantilever bridges were divid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position of missing molars and number of including abutment tooth (or teeth) (type 1-4). Prosthodontic status of the abutment teeth were assessed; overcontoured crown, overhanged margin, embrasure closure, and others. Their Periodonted status were assessed with Plaque Index Gingial Index(GI) Sulcus bleedy Index (SBI), Tooth mobility(TM) & Posher depth(PPD). 35.9% of RPD group and 38.1 of CB grouphad disconfort on mastication with prosthetics. 16.7% of RPD group and 6.1% of CB group showed on opposing sites. Overhanged margins were 58.3% for RPD group and 86.6% for GB group. 45.5% of RPD group and 72% of CB group had embrasure closure on the abutment teeth. 30.5% of GB group had oversized pontic. Gb group showed much higher clinical parameters than RPD groups, but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Type 2 of RPD group showed lower GI and SBI, but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Type 3 of CB group showed the highest GI and SBI and type 2 showed the highest tooth mobility, but there is no differences between the same type of groups. In conclusion, only minor differences in periodontal conditions were recorded in RPD and CB group.

  • PDF

염증성 치은에 대한 Nd:YAG laser 조사효과에 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f the effect of Nd:YAG laser irradiation on inflamed gingiva)

  • 조형수;김현섭;임기정;김병옥;한경윤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6권2호
    • /
    • pp.531-541
    • /
    • 1996
  • Periodontal disease is characterized by destruction of supporting tissues caused by invasion of plaque bacteria and defense mechanism of host. Many dentists are very interested in laser therapy on various intraoral soft tissue lesions including inflammatory periodontal pocket. In order to determine the therapeutic effect of intrapocket irradiation of a pulsed- Nd : YAG laser on the inflammatory periodontal pockets, bilateral 60 teeth with 4-6mm in probing pocket depth and gingival inflammation were selected and evaluated by sulcus bleeding index(SBI), and plaque index(pI) for baseline record. Intrapocket irradiation($300{\mu}m$ fiber optic, I.5W power, for 2 min.) of a pulsed-Nd : YAG laser(EL.EN.EN060, Italy) was applied on half of them. As the control group, the same procedure except power-off was repeated on the contralateral 30 teeth. At 1-, 2-, 3-, and 4-week after intrapocket manipulation, every tooth was reevaluated by the same clinical indice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lased group and control group was statistically analyzed by paired t-test and Chi-square test in Microstat program.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Until I-week and 2-week after intrapocket manipulation, SBI was lowered in both lased group and control group, compared to baseline SBI, but from 3-week after, the recovering tendency toward baseline was noted, and at only 2-week after, the number of teeth showing lowered SBI was significantly more in lased group than in control group(p<0.05). 2. PI of both lased group and control group was lowered through whole experimental period from I-week to 4-week after, compared to baseline PI(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ased group and control group(p>0.1). The results suggest that intrapocket irradiation of a pulsed-Nd:YAG laser may lead somewhat remission of gingival inflammation, but for more favorable therapeutic result the thorough root planing should be necessarily accompanied with gingival curettage.

  • PDF

II급 치근이개부병변에서 비흡수성막과 흡수성막을 이용한 조직유도재생술의 임상적 비교 (A Clinical Comparision of Nonresorbable and Resorbable Membrane in the Treatment of Human Class II Furcation Defects)

  • 장채윤;이재목;서조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1권4호
    • /
    • pp.689-711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linical results of guided tissue regeneration(GTR) using either a nonresorbable ePTFE membrane or a resorbable membrane made from a synthetic copolymer of glycolide and lactide(PLGA) in the treatment of human class Ⅱ furcation defects. The ePTEE membranes were applied to 16 patients with maxillary molar buccal class Ⅱ furcation defects as Group I, PLGA membranes were applied to 15 patients with maxillary molar buccal class Ⅱ furcation defects as Group Ⅱ, ePTFE membranes were applied to 20 patients with mandibular molar buccal class Ⅱ furcation defects as Group Ⅲ and PLGA membranes were applied to 20 patients with mandibular molar buccal class Ⅱ furcation defects as Group Ⅳ and bone graft materials(DFDBA) were applied in all groups. Probing depth, gingival recession, clinical attachment level, tooth mobility and sulcus bleeding index(SBI) were measured at baseline, 3, 6 and 12months postoperatively. In addition, membrane exposure levels were measured at surgery, 1, 2 and 6weeks postoperatively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evalu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all group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bing depth reduction, gain of clinical attachment and mobility reduction at values of 3, 6 and 12months postoperatively compared to values of baseline,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BI except Group I and gingival recession(p<0.05). Membrane exposure levels were increased at 1, 2 and 6weeks postopratively compared to value of baseline in Group I(p<0.05).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PTFE and PLGA membrane in probing depth, clinical attachment level and SBI. There were minimal gingival recession and membrane exposure in Group Ⅳ and pain and swelling were the most common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 Group Ⅱ, Ⅲ(p<0.05).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both nonresorbable membrane and resorbable membrane were effective similarly in the treatment of class Ⅱ furcation defects, without statistical differences in clinical measurements.

  • PDF

3개월 미만 영아의 발열에 대한 원인 및 임상양상에 대한 단일기관 연구; 2008-2010 (Etiology and Clinical Manifestations of Fever in Infants Younger than 3 Months Old: A Single Institution Study, 2008-2010)

  • 석준영;강지은;조은영;최은화;이환종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9권3호
    • /
    • pp.121-130
    • /
    • 2012
  • 목 적 : 본 연구는 발열로 내원한 3개월 미만 영아에서, 그 임상 양상과 원인균을 확인함으로써 심각한 세균감염의 고위험군을 구분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8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발열을 주소로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실에 내원하거나 입원치료 받았던 3개월 미만 영아 313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임상 양상, 검사 결과 및 원인 균주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심각한 세균 감염의 위험 요인을 평가하였다. 그람 염색과 세균 배양, 바이러스 배양, 항원 검사, 또는 중합효소연쇄반응 검사를 시행하였을 때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검체에서 양성으로 확인된 경우 원인 균주로 채택하였다. 결 과 : 전체 313례 중 127례(40.6%)에서 미생물학적 원인이 확인되었으며, 세균 감염이 39례, 바이러스 감염이 88례를 차지하였다. 세균 감염의 원인 균주로는 Escherichia coli (66.7%)와 Streptococcus agalactiae (12.8%)가 가장 많았고, 바이러스 감염은 엔테로바이러스(33.7%),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19.8%), 라이노바이러스(18.8%) 순으로 흔하게 나타났다. 심각한 세균감염군(39례)은 심각한 세균 감염이 아닌 군(274례)에 비하여 백혈구 수($14,473{\pm}6,824/mm^3$ vs. $11,254{\pm}5,775/mm^3$, P=0.002)와 C-반응단백($6.32{\pm}8.51mg/L$ vs. $1.28{\pm}2.35mg/L$, P<0.001)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심각한 세균 감염의 위험 인자로는 남자(OR 3.7, 95% CI 1.5-8.9), 신경계 증상이 있는 경우(OR 4.8, 95% CI 1.4-16.8), 가족 중 호흡기 증상이 없는 경우(OR 3.6, 95% CI 1.2-11.3) 등이 있었다. 결 론 : 본 연구를 통해 발열로 내원한 3개월 미만 영아에서의 흔한 원인 균주 및 심각한 세균 감염의 위험 인자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향후 발열로 내원한 영아에 대한 치료 방침의 결정에 기초적인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우리나라 성인에서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에 대한 항체 평가 (Evaluation of Antibodies Against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in Korean Adults)

  • 이지현;김한울;이소영;김경효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4권3호
    • /
    • pp.125-133
    • /
    • 2017
  • 목적: 1995년 한국에서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Hib]) 백신이 도입된 이후, 2013년 국가예방접종에 포함되었다. Hib 백신 도입 시기 이후 다른 나라의 일부 연구에 따르면, 침습적 Hib 질환은 소아보다 성인, 특히 노인 및 면역 저하 환자에서 더 자주 발생한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85세의 한국 성인에서 항-polyribosylribitol phosphate (PRP) 항체의 양적 및 질적 측정을 통하여 질병 감수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혈청은 39명의 건강한 성인(20-50세)과 면역 저하 상태가 아닌 30명의 노인(75-85세)에서 수집하였다. 모든 피험자는 7일 이내에 항생제를 복용하지 않았다. 항-PRP 면역글로불린 G (immunoglobulin G [IgG]) 항체가 및 혈청 살상능 역가(serum bactericidal index [SBI])는 효소결합면역흡착측정법과 혈청 살상능 평가분석을 통해 측정하였다. 결과: 항-PRP IgG 항체가의 기하평균 및 SBI의 기하평균은 성인군에서 각각 $0.88{\mu}g/mL$ (95% 신뢰 구간, 0.17-3.85) 및 354 (95% 신뢰구간, 50-2,499)이었고, 노인군에서는 각각 $1.67{\mu}g/mL$ (95% 신뢰구간, 0.53-5.24) 및 449 (95% 신뢰구간, 146-1,376)이었다. 소아에서 Hib 감염에 대한 방어 농도로 인정하고 있는 0.15 및 $1.0{\mu}g/mL$을 적용하였을 때, 항체 양성률은 성인군에서 87.2%, 노인군에서 100%였다. SBI의 양성률($SBI{\geq}4$)은 성인군에서 82.1%, 노인군에서 100%였다. 결론: 대부분의 성인군과 노인군에서 양적으로나 기능적으로 Hib 질환에 대한 방어 면역력을 가지고 있었으나 모두는 아니었다. 높은 면역력과 낮은 Hib 순환율은 인구에서 Hib에 대한 자연면역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Hib 면역과 질병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하다.

생후 3개월 이하의 발열이 있는 환아에서 세균성 감염의 예측을 위한 저위험 예측기준의 유용성 (Usefulness of Low Risk Criteria for Serious Bacterial Infection Among Febrile Infants Younger than Three Months of Age)

  • 김소현;정지아;김혜순;유은선;손세정;서정완;이승주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8호
    • /
    • pp.967-972
    • /
    • 2002
  • 목 적 : 생후 3개월 이하의 발열이 있는 환아는 세균성 감염의 가능성이 높으나 임상증상이 뚜렷하지 않기 때문에 입원시켜 패혈증에 대한 전반적인 검사와 배양검사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항생제 투여를 필요로 하게 된다. 저자들은 3개월 이하의 발열이 있는 환아에서 임상증상과 응급검사만을 이용하여 심각한 세균성 감염을 배제할 수 있는 저위험 예측기준을 설정하고,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8년 3월부터 2001년 7월까지 $37.4^{\circ}C$ 이상의 발열을 주소로 이화의대 목동병원에 입원한 생후 3개월 이하의 환아 5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환아의 입원 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저자들의 위험예측기준에 따라 이들을 저위험군과 고위험군으로 분류하였고 심각한 세균성 감염은 혈액, 소변, 뇌척수액에서 균이 배양된 경우와 임상적으로 명백한 세균 감염으로 정의하였다. 위험 예측기준의 민감도, 특이도, 음성 예측치, 양성 예측치를 구하였다. 결 과 : 1) 527명의 대상아 중에서 110명(21.0%)에서 심각한 세균성 감염이 있었다. 본 위험예측기준의 민감도는 93.6%였으며, 저위험군으로 분류된 환아 중 2.7%에서 심각한 세균성 감염이 있어 음성예측치는 97.3% 였다. 2) 고위험군으로 분류된 환아 중 심각한 세균성 감염은 요로감염이 78.6%로 가장 많았고 패혈증 16.5%, 세균성 뇌수막염 8.7%, 그 외 살모넬라 위장염, 골수염, 세균성 고관절염이 각각 1례씩 있었다. 3) 각 월령군간에 민감도와 음성예측치는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3개월 이하의 발열이 주소인 환아에서 저자들의 저위험 예측 기준은 심각한 세균성 감염을 조기에 배제하는데 유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저위험군에서도 반드시 추적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Clinical effect of calcium chelating and deproteinizing agent containing dental conditioning gel on alleviation of periimplant mucosa inflammation

  • Yang, Kwang-Heon;Lee, Jue-Yeon;Jung, Jin-Hyung;Shin, Hyun-Seung;Cho, In-Woo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3권9호
    • /
    • pp.618-627
    • /
    • 2015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clinical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chelating and deproteinizing agent containing dental conditioning gel on alleviation of peri-implant mucosa inflammation. Methods: 36 patients with functionally loaded implants for at least 1 year and have clinical signs of peri-implant mucositis were recruited. At baseline, all implants received subgingival prophylaxis with ultrasonic scaler. In the test group, patients were provided a chelating and deproteinizing agent dental conditioning gel (Clinplant$^{(R)}$) and were given instructions to applicate it around the implants using an interdental brush for 2 weeks. Chlorhexidine and saline were provided to the positive control group and negative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 modified sulcus bleeding index (mSBI), modified plaque index (mPI), and probing pocket depth (PPD) were evaluated at baseline, 1 week, and 2 weeks. Results: In the Clinplant$^{(R)}$ and chlorhexidine group, mSBI (-0.81, -0.85 respectively; p<0.01), mPI (-0.46, -0.5 respectively; p<0.01), and PPD (-0.58, -0.48 respectively; p<0.01) at 2 weeks were significantly reduced from baseline. In the saline group, all the clinical parameters were reduced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saline may be attributed to the influence of prophylaxis at baseline.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e beneficial clinical effects of chelating and deproteinizing agent containing dental conditioning gel to decrease peri-implant mucosa inflammation equivalent to chlorhexidine. This dental conditioning gel might be useful for alleviation of peri-implant mucosa inflam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