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CK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8초

사육상에서 까치, 물까치, 직박구리의 과실먹이 섭식행동 (Fruit Dieting Behavior of Black-billed Magpies, Azure-winged Magpies, and Brown-eared Bulbuls in the Cage)

  • 송장훈;신길호;조영식;박장현;이한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1호
    • /
    • pp.85-89
    • /
    • 2012
  • 조류 종별로 과수원의 과실을 가해하는 행동 특성을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 조류별로 특징적인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까치는 부리로 과피를 수직으로 쪼며 물까치와 직박구리는 큐티클층에 부리가 미끄러진 흔적과 과실 내부에 주머니 모양으로 원형 흔적을 남겼다. 봉지재배를 하는 배와 사과 과실은 조류의 종류에 따라 다른 섭식행동을 유발시킬 수 있다. 까치의 경우 봉지의 존재 여부를 떠나 과실을 가해 할 수 있으나 물까치와 직박구리는 건전한 봉지로 씌워져 있을 경우 가해하지 않았다. 그리고 사육상 시험에서 물까치와 직박구리는 온주밀감과 사과 과실보다는 배 과실을 더 선호하였다. 물까치와 직박구리의 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해서 봉지재배를 하는 과실의 경우 봉지가 훼손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제주지역에 물까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해서 감귤 과실피해를 막아야 한다.

고등어(Scomber japonicus)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 (Egg Development and Morphology of Larva and Juvenile of the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 박충국;연인호;최낙현;허승준;한경호;이원교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2권3호
    • /
    • pp.207-213
    • /
    • 2008
  • 고등어를 습식법으로 인공 수정한 난을 대상으로 난발생 및 자치어 발육과정을 관찰하였다. 수정란의 형태는 구형의 분리부성란으로 유구는 1개를 가지고 있었으며, 난경은 $0.94{\sim}1.02\;mm$(평균 $0.95{\pm}0.03\;mm$)였다. 부화에 소요된 시간은 수온 $20{\pm}0.5^{\circ}C$에서 51시간이 소요되었다. 부화 직후 자어의 전장은 $2.52{\sim}3.0\;mm$(평균 $2.75{\pm}0.04\;mm$)로 난황을 달고 있었고, 입과 항문은 아직 열려 있지 않았으며, 근절은 $28{\sim}31$개였고, 눈에는 흑색소포 소포가 착색되어 있었다. 부화 후 2일째의 전기 자어는 $3.12{\sim}3.63\;mm$(평균 $3.39{\pm}0.05\;mm$)로 난황이 완전히 흡수되었다. 부화 18일째 후기 자어는 전장이 $8.45{\sim}12.32\;mm$(평균 $10.85{\pm}4.36\;mm$)로 꼬리말단이 굽어지기 시작하면서 가슴지느러미, 등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의 줄기가 형성되었다. 부화 25일째에는 $44.12{\sim}58.72\;mm$(평균 $55.95{\pm}6.74\;mm$) 외부 형태가 성어와 같은 치어기에 도달하였다.

  • PDF

석회석광산의 식생녹화방법에 관한 고찰 -일본 이부키광산과 부코우광산의 사례연구- (Study on the Revegetation Methods for the Rehabilitation and Restoration of the Disturbed Slopes in Limestone Mines -Case study of Ibuki mine and Bukou mine in Japan-)

  • 이준우;김남춘;남상준;박종민;차두송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6권6호
    • /
    • pp.72-85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basis of the ecological restoration on the limestone mines in Korea, through the research of the revegetation measures of the disturbed slopes in Japanese limestone mines and the analysis of the case of Ibuki and Bukou limestone mines to realize the restoration works successfully. According to the number of mines to carry out the revegetation works increase every year, the revegetation area and amount of planting also go on increasing in Japan. In the small mines the environmental problem is not recognized seriously, but some mines have muchly invested in the revegetation of the damaged land by mines. Ibuki mine in Shiga-gen is practicing the four principles for the restoring of the revegetation in the disturbed slopes by mines. Firstly, the mean slope preserves $37^{\circ}$ in the last rock cut slopes. Secondly, the last rock cut slopes to rehabilitate are covered with the soil dressing 30cm high. Thirdly, the grasses in the mining area are digged up beforehand, and then they are reused to the revegetation works of rock cut slopes. Lastly, from the upper rock cut slopes the revegetation works begin, the process of the above are repeated, as the result, the restoring works will be completed. Upon the ground of these principles, the complex of the original vegetation and the native species seeding, that is, the revegetation technique of Ibuki have established. In the difficult area to revegetate, sodding works, heaping up vegetation-sack, seed-spraying, heaping up soil-sacks and planting works are adapted variously. Bukou mine in Saitama-gen try to maintain the revegetation, the screening and the stability of the enormous mining rock cut slope, and for these works, the activity of 'Chichibu Working Group of Rock Wall for Limestone Mines' contributes largely. The chief technique of the revegetation in Bukou mine is following; after the making the berm on the rock cut slopes, the soil dressing is filled in it, and the trees is planted for the screening of the rock cut slopes. They devide the rock cut slopes into four typical types, and choose the different ways to make the berm and fill the soil dressing in characteristic. Most of the planting trees are consist ofthe native species of Mt. Bukou through the stages of the nursery and transplantation. Not only the revegetation of the demaged land but also the breeding of the conservational plants also are their important business.

감자 眞正種子의 器內小塊莖 形成에 의한 耐暑性 系統 選拔 (Selection of Heat-tolerant Potato Clones by In Vitro Tuberization from True Potato Seeds)

  • 김현준;김영화;유승렬;김병현;김정간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77-81
    • /
    • 1997
  • 감자 실생개체들의 내서성계통을 조기 선발하기 위해 CIP575015 $\times$Katahdin CIP 575015 x B6603-6, 84 I 35-4 $\times$Katahdin, CIP 575015 $\times$Nooksack 그리고 CIP575015 $\times$Superior 등 5조합을 교배하여 획득된 총 750립의 진정종자를 기내에서 각각의 조합을 온도별로 처리하여 괴경 형성 반응을 조사한 결과 온도가 2$0^{\circ}C$에서 3$0^{\circ}C$로 증가할 경우 평균 괴경형성율이 2$0^{\circ}C$에 비해 평균 43% 정도가 감소하였으며 특히 CIP575015 $\times$Katahdin조합은 21%로 가장 낮았다. 반면에 CIP575015 $\times$B6603-6 조합은 3$0^{\circ}C$에서도 58%의 괴경형성율을 보여 고온에서도 괴경형성이 잘되는 내서성 조합으로 생각되었다. 기내 고온조건하에 선발된 계통을 고온기 포장에서 내서성을 검정하기 위해 기내소괴경에서 생산된 괴경을 저지대 난지인 강릉 포장에 재배하였다. 조합별 괴경특성 및 수량을 조사한 결과 2$0^{\circ}C$에서 선발된 계통 중 1계통, 3$0^{\circ}C$에서 선발된 계통중 3계통의 내서성계통을 선발하였다. 수량성에서는 89ML75-8 계통이 수미품종 대비 88%의 증가로 다수성이었으며, 89ML64-11 계통은 건물율이 18.8%로 수미 품종보다 11%가 증가되어 전분용으로 유망시 되었다.

  • PDF

생활계(生活系) 폐기물(廢棄物) 봉투(封套) 파봉을 위한 회전(回傳)칼날팔각(八角)드럼식(式) 파봉장치(裝置) 개발(開發)에 관(關)한 연구(硏究) (Development of Bag Rupturing Device with Octagonal Rotating Blade Drums for MSWs)

  • 이병선;나경덕;한상국;최우진;박은규;김동호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8권5호
    • /
    • pp.63-71
    • /
    • 2009
  • 재활용선별시설에서 파봉공정은 연계된 선별공정을 위한 필수 공정으로 주로 인력에 의한 작업과 일부 기계식 파봉장치가 도입되었다. 그러나, 기계식 파봉장치의 경우 재활용 대상폐기물을 파쇄하여 선별효율의 저하 및 폭발 등 작업자의 안전문제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파봉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는 회전칼날팔각드럼식 파봉 정량공급 장치를 개발하여 성능평가 및 환경성 검토를 통한 현장 적용 가능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처리용량은 드럼회전수 8.2 rpm, 벨트컨베이어 속도 1.25 m/min에서 5.6 ton/hr로 설계용량인 5.0 ton/hr를 만족하였으며, 최대 처리용량은 8.8 ton/hr으로 나타났다. 봉투 속 봉투의 파봉효율은 95.6% 및 겉봉투의 경우에는 100%로 나타났으며, 특히 재활용대상폐기물 중 가장 쉽게 파손되는 유리병의 원형보존율은 약 96.5%로 정가되었다. 본 장치의 소음, 진동 및 비산먼지 농도 등에 대한 환경성 정토결과 환경오염배출허용 법적기준치를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파봉장치를 재활용선별시설에 적용할 경우 기존의 인력파봉과 기계식파봉에서 발생되었던 문제점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의암호 말조개, Unio douglasiae (Unionidae) 의 번식생태 (Reproductive Ecology of the Freshwater Bivalve, Unio douglasiae (Unionidae) in Lake Uiam)

  • 송미영;임지례;이완옥;김성태;김대희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71-178
    • /
    • 2015
  • 의암호에 서식하고 있는 말조개의 성장과 산란생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2014년 3월부터 2015년 2월까지 상대성장식, 생식소 발달단계에 따른 생식주기와 군성숙도의 월별변화를 조사하였다. 각장에 대한 각고, 각폭, 전중, 육중간의 상대성장식에서 상관계수 ($R^2$) 는 0.814-0.944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말조개의 생식소는 소화맹낭의 주변부와 족부로 연결되는 망상결체조직에 분포하며 자웅이체로, 성숙한 난과 정자는 수관을 통해 아가미 반새에서 수정되어 수정란을 아가미의 보육낭에서 부화시켜 체외로 방출하는 난태생종이었다. 서식 지역의 월별 평균수온은 $3.9-25.9^{\circ}C$ 범위였다. 월별 비만도는 0.16-0.22 범위로 하계인 8월-9월에 낮은 값을 보이다가 10월부터 증가하여 11월과 1월에 0.22로 정점을 보였다. 월별 육중량비는 21.3-31.4%로 비만도의 월별 변화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생식소지수는 0.00-4.00 범위를 나타내었고, 4월-7월까지 정점을 보인 후 8월부터 급격히 감소하였다. 생식년주기는 분열증식기 (11-1월), 성장기 (2-3월), 성숙기 (2-5월), 산란기 (4-9월), 회복기 (8-12월)로 구분되어 하계산란종이었다. 의암호산 말조개의 산란기는 4-9월 (주산란기 4-7월) 이였으며, 군성숙 각장은 29.4 mm였다.

감마선 조사(照射)에 의한 쌀 저장에 관한 연구(제1보) (Studies on the Preservation of Korean Rice by Gamma-irradiation(I))

  • 김형수;최영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1-61
    • /
    • 1969
  • 쌀 저장중 곤충과 미생물에 의한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팔달, 농광 두 품종을 현미와 백미로 도정하고 Polyethylene bag에 포장후 6-400K rad 의 $Co^{60}$${\gamma}$선을 조사하여 8개월간 실온에 저장하면서 곤충, 미생물의 발생상태와 방사선조사에 의한 쌀중 수분과 Amylose, Reducing Sugar, Rancidity 의 변화를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Polyethylene bag에 저장된 쌀은 대조구도 곤충의 발생이 없었으나 가마니에 저장된 것은 5월달부터 곤충이 발생되었다. 2)400K rad 조사로는 쌀중 Yeast와 곰팡이의 살균에 부족하였고 Yeast는 쌀 표면에, 곰팡이는 균사가 쌀 입자에 깊이 뿌리박고 있었다, 3) 저장중 쌀의 수분은 방사선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4) 선량증가와 저장기간에 따라 전분중 Amylose의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5) Free reducing Sugar의 함량은 방사선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고 저장중 감소하였다. 6) Rancidity는 선량과 저장기간에 따라 증가하였다.

  • PDF

들깻잎의 수확후 품질 및 성분변화 (Postharvest Changes in Quality and Biochemical Components of Perilla Leaves)

  • 홍영표;김성렬;최우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55-258
    • /
    • 1986
  • 들깻잎(Perilla ocimoides L.)의 수확후 저장온도에 따른 채소로서의 shelf-life와 저장기간중의 생화학적인 성분변화를 품질변화와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들깻잎은 실온$(20^{\circ}C)$에서 $2{\sim}3$일간, 저온$(3^{\circ}C)$에서는 6일간 저장이 가능하였고 비닐포장에 의하여 실온에서는 12일, 저온에서는 20일간 저장이 가능하였다. 신선한 들깨잎의 비타민 C 함량은 생체중으로 23mg%이었고 저장 4일째까지는 모든 처리구에서 16mg%이상이었으나 그 후에는 크게 감소하였으며 비닐포장에 의하여 저장 8일후에 실온에서 7mg%, 16일후에 저온에서 8mg% 유지되었다. 엽록소함량은 실온의 대조구에서는 저장중에 감소하였으나 저온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다. 환원당 및 전당함량은 실온저장에서는 비닐포장에 의하여 낮아졌고 저온저장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처리간의 차이는 뚜렸하지 않았다. 단백질과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저장중에 서서히 증가하였고 비닐포장처리구보다 대조구에서 높은 단백질수준을 유지하였다. 핵산함량, peroxidase, polyphenoloxidase 활성의 변화 등을 측정하였고 들깻잎의 품질변화와 관련하여 고찰하였다.

  • PDF

건조 오미자의 저장중 품질변화 (Changes of Quality in Dried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During Storage))

  • 최윤희;정영근;박기훈;박문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51-355
    • /
    • 2001
  • 건조오미자의 장기안전 저장조건을 구명하고자 실내, 창고, 저온저장고 등 저장장소 및 0.05mm P.E, 0.05mm 흑색 P.E, 0.05mm P.E + P.P sack, gauze bag 등 포장재료별 저장기간에 따른 건조오미자의 수분함량, 곰팡이 및 충피해 정도, 안토시아닌색소 함량 및 색도 등의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수분함량은 P.E필름 밀봉저장시 저장 장소별 차이는 적었으나 양파망 저장시는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곰팡이에 의한 피해율은 P.E필름 밀봉 저장시는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양파망에 저장시 저온저장고에서 8개월간 저장후에는 9.0%로 실내나 창고에 저장시보다 2배가량 높았고 10개월 저장후에는 저온저장고 보다 실내나 창고에서 높았다. 안토시아닌 색소함량과 적색도는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였고, 저온저장고에 저장한 것은 실내나 창고에 저장한 것에 비하여 안토시아닌색소 함량과 적색도가 높았 으며 육안으로도 뚜렷이 구분할 수 있을 정도로 색상이 선명하였는데 안토시아닌색소 함량은 P.E 0.05mm + P.P마대 포장으로 저온 저장고에 10개월 저장시 55.7mg/100g 이었으나 실내와 창고저장시는 각각 39.7, 45.0 mg/100g으로 10.7~16.0mg/100g 적었다.

  • PDF

일본 아시오(足尾) 銅鑛山地域의 삼림황폐와 삼림환경 복구사업에 관한 분석 (Forest Environment Degradation and Rehabilitation of Copper Mine Area in Ashio, Japan)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76-285
    • /
    • 2001
  • 1880년대에 이미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대규모 삼림이 황폐되었고. 그 후에 이를 복구하기 위해 막대한 예산을 투자하고 있는 일본 아시오(足尾) 지역을 대상으로 삼림황폐와 황폐산지 복구사업 현황을 분석하였다. 삼림황폐의 원인은 구리 제련과정에서 배출되는 아황산가스. 제련과 광산용 목재의 남벌 대형 산불 험준한 지형 불리한 기후조건 등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분석할 수 있다. 1897년부터 3년 동안 2,399ha의 식수사업을 비롯한 황폐삼림의 복구사업이 지속적으로 추진되었으나, 삼림황폐와 재해발생이 계속되어 1956년에 황폐산지의 총면적은 2,400~3,000ha이었다. 1945년부터 1996년까지$\ulcorner$인력에 의한 방법$\lrcorner$, $\ulcorner$헬리콥터에 의한 방법$\lrcorner$, $\ulcorner$인력과 헬리콥터 조합방법$\lrcorner$에 의한 시공으로 산복 828.19ha와 계간 133개소에 복구공사를 실행하였다. 예산은 약 800억 엔이 투자되었다. 주요 복구공법은 기초공사로서 사방댐과 흙막이공사, 녹화공사로서 식생반공법과 식생대공법 및 식재 공법이며, 인력에 의한 3단계 시공으로 장소별 완전복구를 목표로 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시공지의 녹화율은 약 49% 정도이며. 완전히 녹화된 비율은 전체 시공지의 10%에도 미치지 못한 실정이다. 남아 있는 황폐산지에 대하여 향후 25년 동안 약 213억 엔을 투입하여 산복공사 564ha, 계간공사 183개소를 복구할 계획이지만. 완전히 복구하는 데에는 몇 년이 걸릴지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곳에서의 황폐산림 복구공법은 우리 나라의 폐광지 산비탈을 복구하는 데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