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24-7

검색결과 6,861건 처리시간 0.035초

백약(白藥)이 포함된 이중탕(理中湯)약침액의 LPS로 유발된 마우스 대식세포의 nitric oxide 및 hydrogen peroxide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hite Ginseng-Ejung-tang Acupuncture Solution on Nitric Oxide and Hydrogen Peroxide Production in LPS-induced Mouse Macrophages)

  • 이지영;김영진;박완수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8권1호
    • /
    • pp.61-69
    • /
    • 2011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White Ginseng-Ejung-tang acupuncture solution (EJ) on nitric oxide (NO) and of hydrogen peroxide production in RAW 264.7 mouse macrophages stimulated by lipopolysaccharide (LPS). Methods : Cell viability was measured by modified MTT assay. NO production was measured by Griess reagent assay. Hydrogen peroxide production was measured by dihydrorhodamine 123 (DHR) assa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examined by using a Student's t-test. Results :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as follows. 1. EJ did not show cell toxicity against RAW 264.7 cells for 24 hr incubation at the concentrations of up to $200\;{\mu}g$/mL in RAW 264.7 cells. 2. EJ significantly inhibited NO production for 24 hr incubation in RAW 264.7 cells (p <0.05). 3. EJ significantly inhibited the LPS-induced production of NO for 24 hr incubation in RAW 264.7 cells (p <0.05). 4. EJ significantly inhibited the LPS-induced production of hydrogen peroxide for 16, 24, 40, 48, 64, and 72 hr incubation in RAW 264.7 cells (p <0.05).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EJ has an anti-inflammtory property related with its inhibition of NO and hydrogen peroxide production in LPS-induced macrophages.

RAW264.7 대식세포에서 LPS 매개 iNOS/NO 생성에 대한 protopanaxadiol saponin 및 protopanaxatriol saponin의 억제효과 (Prototypes of Panaxadiol and Panaxatriol Saponins Suppress LPS-mediated iNOS/NO Production in RAW264.7 Murine Macrophage Cells)

  • 김진익;난딘셋세그 나르나투야;최용원;강대욱;김동완;이경;고성룡;문자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2호
    • /
    • pp.1422-1430
    • /
    • 2016
  • 본 연구는 RAW264.7 세포에서 lipopolysaccharide (LPS) 처리에 의한 염증매개인자의 유도에 대한 고려인삼 사포닌 분획인 20(S)-protopanaxadiol saponins (PDS)과 20(S)-protopanaxatriol saponins (PTS)의 조절효능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RAW264.7 세포에 PDS 또는 PTS를 $150{\mu}g/ml$의 농도로 LPS ($10{\mu}g/ml$ 처리 이전이나 처리 이후 또는 LPS와 동시에 처리하였으며, 처리된 세포에서 nitric oxide (NO)의 방출량, 유도성 nitric oxide synthase (iNOS) 및 cyclooxygenase-2 (COX-2)의 발현 량을 분석하였다. PDS에 비하여 PTS는 RAW264.7 세포에 LPS와 동시에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했을 때 LPS 처리에 의해 유도된 NO의 생성을 강하게 감소시켰다. RAW264.7 세포에 LPS ($10{\mu}g/ml$를 2시간 동안 처리한 후에 PDS 또는 PTS를 $150{\mu}g/ml$ 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하면 두 인삼 사포닌 성분 모두 NO의 생성을 강하게 감소시켰다. RAW264.7 세포에 PDS 또는 PTS를 $150{\mu}g/ml$ 농도로 2시간 동안 처리한 후에 LPS ($10{\mu}g/ml$를 24시간 동안 처리했을 경우에도 두 인삼 사포닌 성분 모두 LPS 처리에 의해 유도된 NO 생성을 강하게 감소시켰다. LPS 처리에 의한 NO 생성을 저해하는 효과는 PDS에 비하여 PTS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PDS와 PTS 모두 $150{\mu}g/ml$ 처리농도에서 LPS ($10{\mu}g/ml$처리에 의해 유도된 iNOS와 COX-2의 발현 역시 상당히 감소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RAW264.7 대식세포에서 PDS와 PTS 두 인삼 사포닌 성분은 LPS 처리에 의한 염증활성화에 강한 억제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하며, 전염증성 효소인 iNOS와 COX-2 발현의 감소조절을 통하여 NO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항 염증효과가 나타남을 제시한다.

Digoxin을 투여한 만성 심방세동 환자에서 24시간 Ambulatory ECG의 유용성 (The Clinical Value of the 24-hour Ambulatory ECG Monitoring in Patients with Chronic Atrial Fibrillation)

  • 양창헌;김영조;심봉섭;이현우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6권1호
    • /
    • pp.99-107
    • /
    • 1989
  • 저자들은 1987년 9월부터 1989년 4월사이 약 19개월간 영남대학병원 내과에 입원하여 만성 심방세동 진단하에 치료받고 있던 환자 34명을 대상으로 digoxin치료를 받은 20명과 치료를 받지 않은 10명에 대한 24시간 ambulatory ECG를 시행하여 두 집단간의 심박수의 변화 및 가장 긴 정지기등을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대상환자 34례의 평균 심박수의 평균치는 $75.7{\pm}13.8$회/min.($mean{\pm}S.D.$), 가장 빠른 심박수는 $148.0{\pm}32.4$/min.($mean{\pm}S.D.$), 가장 느린 심박수는 $48.1{\pm}8.4$회/min.($mean{\pm}S.D.$)이었고 가장 빠른 심박수와 가장 느린 심박수의 차이의 평균치는 $99.9{\pm}29.0$회/min.($mean{\pm}S.D.$), 가장 긴 정지기는 $2.95{\pm}1.06sec.$($mean{\pm}S.D.$)이었으며 이중 4명은 가장 긴 정지기가 4.0sec.이상으로 sick sinus syndrome을 배제할 수 없어서 비교대상집단에서는 제외시켰다. 2) 대상환자 34례중 27례에서 심실성 기외수축이 있었으며 100회/24hours이내가 11례(40.7%)로 가장 많았고, 변성전도(aberrant conduction)는 전례에서 다 나타났다. 3) Digoxin(0.25mg/day)으로 치료받은 20례의 평균 심박수의 평균치는 $78.4{\pm}13.7$회/min.($mean{\pm}S.D.$), 가장 빠른 심박수는 $152.5{\pm}33.1$회/min.($mean{\pm}S.D.$), 가장 느린 심박수는 $48.9{\pm}8.5$회/min.($mean{\pm}S.D.$) 이었고 가장 빠른 심박수와 가장 느린 심박수의 평균치는 $103.6{\pm}31.7$회/min.($mean{\pm}S.D.$), 가장 긴 정지기는 $2.55{\pm}0.50$sec.($mean{\pm}S.D.$)이었다. 4) Digoxin으로 치료받지 않은 10례의 평균 심박수의 평균치는 $78.0{\pm}10.7$회/min.($mean{\pm}S.D.$), 가장 빠른 심박수는 $154.5{\pm}26.8$회/min($mean{\pm}S.D.$), 가장 느린 심박수는 $50.6{\pm}7.1$회/min.($mean{\pm}S.D.$)이었고 가장 빠른 심박수와 가장 느린 심박수의 평균치는 $103.9{\pm}22.2$회/min.($mean{\pm}S.D.$), 가장 긴 정지기는 $2.66{\pm}0.39sec.$($mean{\pm}S.D.$)이었다. 5) Digoxin으로 치료받은 20명과 치료받지 않은 10명의 두 집단간의 평균 심박수, 가장 빠른 심박수, 가장 느린 심박수, 가장 빠른 심박수와 가장 느린 심박수의 차이, 가장 긴 정지기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5). 이상을 요약하면 하루 0.25mg의 digoxin투여로 만성 심방세동 환자의 심박수는 잘 조절되었으며 만성 심방세동 환자의 치료유무 결정 및 치료약제에 대한 반응등을 평가하는데 ambulatory ECG가 유용하고 안전한 검사법으로 사료된다.

  • PDF

오미자 추출액 첨가 요구르트의 식중독균 증식 억제 효과 (Effect of Omija(Schizandra chinensis) Extract on the Growth Inhibition of Food Borne Pathogens in Yoghurt)

  • 홍경현;남은숙;박신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42-349
    • /
    • 2003
  • Escherichia coli O157:H7, Staphylococcus aureus와 Salmonella enteritidis는 식품에 의해 전염되는 식품질환성 병원균으로서 세계적으로 알려진 식중독 미생물이다. 오미자 물 추출액 첨가 drink yoghurt에 오염된 식중독 유발균인 Esc. coli O157:H7, Sta. aureus와 Sal. enteritidis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오미자 물 추출액이 식중독 유발균에 대한생육 저해 활성을 검토하였고, 시험 균주의 최종 균체 농도가 $10^{5}$ CFU/mL 수준이 되도록 오미자 물 추출액 첨가 drink yoghurt에 Esc. coli O157:H7, Sta. aureus와 Sal. enteritidis를 각각 접종하여 37$^{\circ}C$에 배양하면서 시간별로 시험 균주들의 생존 균수를 측정하였다. 시험 결과 시험에 사용된 오미자 물 추출액의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모든 시험 균주에서 강한 증식 억제력이 나타났다. 대조구에 비해 오미자 물 추출액 0.4 ,0.6, 0.8과 1.0% 첨가구에서 Esc. coli O157:H7은 각각 0.13, 0.89, 1.99와 2.55의 log cycle 감소 현상을 보였고, Sta. aureus는 각각 0.45, 3.74, 4.13과 5.24의 log cycle이 감소되었으며, Sal. enteritidis는 각각 0.22, 3.44, 4.02와 4.07의 log cycle 감소가 나타나 모든 시험 균주에서 뚜렷한 성장 억제 효과가 관찰되었다. 오미자 물 추출액의 식중독 유발균에 대한 성장 저해 효과는 Sta. aureus, Sal. enteritidis, 그리고 Esc. coli O157:H7의 순으로 강하게 나타났다. 오미자 물 추출액을 0.4, 0.6, 0.8과 1.0% 첨가한 drink yoghurt 내에서 3.55${\times}$$10^{5}$ CFU/mL 수준으로 접종한 Esc. coli O157:H7은 24시간 배양시 1.00${\times}$$10^1$∼3.00${\times}$$10^1$ CFU/mL로 감소되었으며, 48시간 배양하였을 때에는 생육이 완전히 억제되었다. 그리고 1.24${\times}$$10^{5}$ CFU/mL 수준의 Sta. aureus를 접종한 경우 24시간 배양 후 아주 미약한 생존 균수의 감소를 보였으나 48시간 배양시 4.00${\times}$$10^2$∼8.50${\times}$$10^2$ CFU/mL 수준으로 감소하였고, Sal. enteritidis를 1.81${\times}$$10^{5}$ CFU/mL 수준으로 접종한 경우 24시간 배양 후부터 전연 증식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와 같이 오미자 물 추출액 첨가에 의해 drink yoghurt 내에서 식중독 유발균들의 증균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할 수 있었다.

안구의 광학적 구조에 관한 연구 (Study of Ocular Optical Components)

  • 서용원;최영준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39-144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연령에 따른 안광학적 요소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16세에서 79세 사이의 한국인 남녀 63명(남자 32명, 여자 31명)을 대상으로 Keratometer로 각막 전면의 곡율반경을 측정하였고 Refractometer로 조절마비제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굴절이상을 측정하였다. 또한 A-mode Ultrasonography로 전방의 깊이, 수정체의 두께, 유리체의 깊이, 안축의 길이 등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전방의 깊이는 20대에서 3.0 mm~4.0 mm의 분포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연령의 증가에 따라 그 깊이가 감소하여 70대의 노인층에서는 2 mm~3.50 mm의 분포를 나타냈다. 수정체의 두께는 20대에서는 약 2.64 mm 정도였으나 70대에서는 4.62 mm 정도로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그 크기가 커짐을 알 수 있었다. 유리체의 깊이는 약 17 mm 정도에서 큰 변화가 없었다. 안축의 길이는 40세 미만의 젊은층이 24.47 mm인데 비해 40대 이후의 노년층의 24.11 mm로 감소하고 있었으며 각막곡율반경은 젊은층이 7.79 mm, 노년층이 7.72 mm로 나이가 듦에 따라 그 크기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SoS를 위한 SIW 망에 집적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어레이 안테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icrostrip Patch Array Antenna Integrated on SIW Network for SoS)

  • 기현철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63-68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24GHz ISM 밴드(24-24.25GHz)에서 SIW를 이용한 SoS(System on Substrate)구현을 위한 제반 설계를 하고자하며 그 일환으로 SIW, 전환기 및 MPAA를 SoS형태로 동일 기판에 집적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기판은 비유 전율이 3.48이고 두께가 20mil인 Rogers사의 Ro4350을 사용하였다. 최적 설계결과 길이 11.55mm의 SIW의 삽입손실은 0.32dB를 보였으며 $50{\Omega}$ 마이크로 스트립으로 신호전환 하는 데 0.19dB의 삽입손실이 발생하였다. SoS형태로 동일 기판에 집적된 MPAA의 특성은 단독 MPAA의 특성과 매우 유사했다. 그러나 집적된 MPAA는 단독 MPAA에 비해 이득 면에서는 SIW와 전환기의 삽입손실 만큼(0.58dB) 감소했으며 SLL은 0.7dB만큼 감소하였다. 반면에 대역폭은 670MHz에서 800MHz로 19.4%만큼 증가하였다.

개불의 지질에 관한 연구 -지질, 지방산 및 Sterol 조성에 관하여- (Studies on Lipids of Urechis unicintus -on the Composition of Lipids, Fatty acid and Sterol-)

  • 조용계;김경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55-259
    • /
    • 1983
  • 개불지질의 성상을 밝힐 목적으로 그 지방산조성 및 sterols 조성에 대하여 분석 검토 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지질과 부검화물함량은 각각 $1.9\%,\;14.3\%$였으며, 요오드값은 111이었다. (2) 조지질의 조성은 인지질이 $39.8\%$, 유리 sterols이 $27.7\%$, triglyceride가 $21.4\%$였다. (3) 지방산조성은 $C_{20:4}$$19.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C_{16:0},\;C_{20:1},\;C_{18:1}$이 각기 $13.7\%,\;11.3\%,\;10.4\%$였으며 또 polyene산 monene 산 및 포화산으로 계산하면 각각 $39.7\%,\;31.9\%$$26.6\%$였다. (4) 5종의 sterols이 검출되었는데 cholesterol이 $57.6\%$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brassicasterol이 $20.3\%$, 24-methylene cholesterol of $17.7\%$, 22-dehydro cholesterol of $3.0\%$, 22-trans-24-norcholesta-5,22-dien-3-${\beta}$-ol 이 $1.4\%$였다.

  • PDF

반 정량 식품빈도 조사법 (SQFFQ)과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한 영양평가 Software 개발 (Software for Nutritional Assessment Using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nd the 24-hour Recall Method)

  • 이상아;이경신;김형숙;이해정;최혜미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548-558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mputer software program for nutritional assessment using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SQFFQs) and the 24-hour Recall Method. The software for the SQFFQ was divided into input, output, and database. For dietary analyses, recipe and food databases were used. The recipe database included 25 items and the food database was divided into 18 food groups. The food database was composed of 19 general nutrient items, 33 fatty acids, and 18 amino acids. The software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put items related to the individual s ages information, lifestyle, biological values, and dietary habits; 2) individualized data in percent of the Korean RDA, the energy ratios of carbohydrates, proteins and fats, the ratio of animal to plant source intakes, and the distribution of food group intakes; 3) Statistical data on the individual's information, lifestyle, biological values, and dietary intakes including the frequency of intake of cooked foods, the amounts of food, and the number of food groups, and nutrients. In the 24-hour Recall Method, the input and output consisted of the individual s information and cooked dish intakes. The individual s report included the amounts of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number of meal and days, in comparison to the Korean RDA, the energy ratio for carbohydrates, proteins and fats, the ratio of animal to plant source intakes, and the distribution of food group intakes. The statistical report presented the number of food groups and foods, and the nutrient intakes.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SQFFQ, the Spearman Rank Order Correlation and kappa values were used. As a result, correlation coefficients comparing the 24-hour Recall Method appeared to be more than 0.5, except for vitamin $B_1, B_2$, niacin, and vitamin E. The kappa values for energy and carbohydrate intakes were both 0.7, and protein, fat, vitamin C, folate, Ca, and iron intakes ranged from 0.3 to 0.7.

Metal Anion Polymerization에 관한 연구 (제3보). The Temperature Effect on Polymolybdate Ions Equilibrium in 1 M $NaClO_4$Solution (Studies on Polymerization of Metal Anion (III). The Temperature Effect on Polymolybdate Ions Equilibrium in 1 M $NaCIO_4$ Solution)

  • 안상운;박의서
    • 대한화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45-153
    • /
    • 1973
  • 1M $NaCIO_4$용액에서 다중몰리브덴산염 음이온 평형에 대한 온도의 영향을 20~50$^{\circ}$C온도 범위 내에서 고찰해 보았다. 이 온도 범위에서 생성된 다중몰리브덴산염 음이온은 평형 온도에 관계없이 헵타몰리브덴산염($Mo_7O_{24}^{-6}$) 이온과 헵타몰리브덴산염의 양성자화된 꼴($H_LMo_7O_{24}^{(6-L)-}$) 이었다. 실렌의 방법을 사용하여 계산한 헵타몰리브덴산염 형성에 대한 평형상수는 지적한 평형 온도에서 각각 다음과 같다. $8H^{+}+7MoO_4^{2-}=Mo_7O_{24}^{6-}+4H_2O$, $k_{7.8}=2.77{\times}10^{53}:20^{\circ}C= 9.29{\times}10^{51}:40^{\circ}C$,$k_{7.8}= 4.22{\times}10^{52}:30^{\circ}C = 9.29{\times}10^{51}:50^{\circ}C$ 위 반응에 대하여 반트호프 방정식을 이용하여 계산한 엔탈피 변화는 31.50kcal/mole이었다. 프로톤화헵타몰리브덴산염 이온 형성에 대한 평형상수 계산법을 유도하여 프로톤화헵타몰리브덴산염 형성에 대한 평형상수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LH + Mo_7O_{24}^{-6} = H_LMo_7O_{24}^{(6-L)-} : L = 1\;or\;2$, $k_1 = 2.31{\times}10^4=2.53{\times}10^4=2.76{\times}10^4= 3.10{\times}10^4$, $k_2 = 6.19{\times}10^7\;20^{\circ}C = 7.80{\times}10^7\;30^{\circ}C = 1.22{\times}10^8\;40^{\circ}C = 2.03{\times}10^8\;50^{\circ}C$ 다음 단계 반응에 대하여 반트호프 방정식에 의하여 계산한 엔탈피 변화는 다음과 같다. $H^{+}+Mo_7O_{24}^{6-}= HMo_7O_{24}^{5-}\;{\Delta}H^{\circ}=1.900 kcal/mole$, $2H^{+}+Mo_7O_{24}^{6-}=H_2Mo_7O_{24}^{4-}\;{\Delta}H^{\circ}=7.500kcal/mo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