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neumoniae

검색결과 342건 처리시간 0.02초

임상에서 분리한 Streptococcus pneumoniae에서 Levofloxacin 내성유전자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Analysis of Levofloxacin Resistant Genes in Clinically Isolated Streptococcus pneumoniae)

  • 최재민;박선희;윤지아;한양금;이인수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09-113
    • /
    • 2012
  • 임상에서 분리한 총 174 균주의 S. pneumoniae를 대상으로 검체별, 연령별, 성별 분리빈도 및 levofloxacin의 내성도를 조사하였으며,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통해 다제내성도를 확인하였다. S. pneumoniae가 가장 많이 분리된 검체는 객담으로서 총 174 균주의 89.7%인 156 균주가 분리되었다. 특히 남성과 51세의 고령환자에서 분리빈도가 높았으며, 분리된 levofloxacin 내성 8 균주 모두는 penicillin, tetracycle, erytromycin, clindamycin 및 trimethoprim-sulfamethoxazoe 대한 다제내성도 함께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리된 levofloxacin 내성균주 SP32 (MIC $64{\mu}g/mL$)와 SP96 (MIC $8{\mu}g/mL$)의 QRDR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SP32와 SP96 균주의 GyrA에서 Ser-81$\rightarrow$Phe로, SP96에서 Ser-11$\rightarrow$Gly으로 아미노산 치환이 각각 확인되었고, ParC에서는 두 균주 모두 Ser-79$\rightarrow$Phe으로 치환된 돌연변이가 확인되었다.

Klebsiella pneumoniae 균주의 세포외막에서 분리한 2-furaldehyde dehydrogenase의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zation of the Outer Membrane-Associated 2-Furaldehyde Dehydrogenase from Klebsiella pneumoniae)

  • 이준우;강사욱;하영칠;한홍의
    • 미생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97-206
    • /
    • 1988
  • Klebsiella pneumoniae의 세포외막으로부터 2-furaldehyde를 2-furoic acid로 산화시키는 2-furaldehyde dehydrogenase를 분리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 효소는 $\beta$-$NAD^{+}$를 특이적으로 요구하였다. 분리과정중의 효소활성도는 2-furaldehyde를 기질로 사용하고 $\beta$-$NAD^{+}$를 조효소로 사용하면서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에 의해 측정 되었다. 세포외막은 Percoll의 밀도흉배에 의한 초원심분리방법과 $Mg^{2+}$, Triton X-100으로 용해시킨 후, 초원심분리시키는 방법으로 수집되었다. 세포외막단백질은 EDTA와 lysozyme을 처리함으로서 얻어졌고, 효소는 QAE-Sephadex Q-504 S Sephadex G-100-을 사용하면서 column chromatography 방법에 의해 분리되었다. 본 효소는 $85^{\circ}C$, PH9.5, 그리고 1.5% (vol/vol) Triton X-100의 존재하에서 최대활성을 보여주었다. 효소의 분자량은 nondenaturing polyacrylamide gel e electrophoresis의 결과, 88, 000.으로 추정되었고, 2-furaldehyde에 대한 효소의 Km값은 4.72 mM 이였다.

  • PDF

하수처리수에서 분리된 장내세균의 광범위 베타락탐분해효소의 유형 (Types of Extended-Spectrum β-Lactamase Produced in Enteric Bacteria Isolated from Sewage Plant Drain Water)

  • 김군도;이훈구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76-682
    • /
    • 2010
  • 본 연구는 임상검체만이 아닌 주변 생활환경에도 광범위 베타 락탐분해효소를 생성하는 균주(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ESBL)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만약 존재할 경우 그 균주를 분리하고 ESBL유형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부산 광안리 하수처리 방류수에서 이중 디스크 확산 검사 결과 양성반응을 나타낸 29균주를 선별하였다. 이중 sodium azide에 내성을 가진 피전달 균주인 Escherichia coli J5에 교차접합이 이루어진 15균주를 대상으로 indole, methyl-red, Voges-Proskauer, Simmon's citrate 시험과 decarboxylase-dihydrolase 및 여러 종류의 당 발효 시험 등 생화학 검사를 실시한 결과 Klebsiella pneumoniae(13균주)와 Escherichia coli(2균주)가 동정되었다. 등전점, PCR, 유전자서열 분석을 실시하여 ESBL 유형을 결정하였다. Klebsiella pneumoniae의 ESBL 생성유형은 SHV-12(4균주)와 SHV-12/TEM-1(9균주)의 2종류로 구분되었고, Escherichia coli의 ESBL 생성유형은 TEM-1(2균주)로 판명되었다.

Klebsiella pneumoniae nif-lac 융합변이주의 질소고정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질소원의 효과 (The Effects of Nitrogen Sources on the Expression of Nif Gene in Klebsiella pneumoniae Nif-Lac Fusants)

  • 김성훈;손형진;김창진;민태익
    • 미생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0-24
    • /
    • 1985
  • Klebsiella pnellmoniae의 nif-lac융합변이주를 사용하여 질소고정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질소원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Klebsiella pnellmoniae UN4482를 heat induction하여 만든 Mudllysate를 K. pnellmoniae U UN2979에 접종시켜 nif-lac융합체 약 80여주를 분리하고 이들을 LX series로 명하였다. 이들의 ${\beta}-galactosidase$ 한성은 $NH_4^+$의 존재하에 크게 억제되었다. Serine, glutamine, asparagine같은 아미노산을 켈소원으로 사용했을때 K. pnellmoniae의 성장은 양호하였으며. NFHM배지에서nif-lac융합주LX-9, LX-22의 ${\beta}-galactosidase$의 환성은 억제 효과도 높았으나, glutamine, histidine, arginine 같은 amino acid는 위와 반대 의 효과플 나타냈다. Casitone, prote-ose peptone같은 유기섣소원(2 mg/ml )의 균성장에 대한효과는 전반적으로양호했으나LX-9, LX-22 의 ${\beta}-galactosidase$활성에 대한 억제효과는 각 칠소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한편, 질소원이 없는 최소배지에서의 LX-9와 L LX-22의 ${\beta}-galactosidase$의 활성은 초기 4 시간내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 PDF

Brachial Artery Thrombosis in an 8-year-old Boy with Antiphospholipid Antibodies Induced by Mycoplasma pneumoniae Infection: a Case Report

  • Woo, Jung Hee;Kwon, Jung Hyun;Je, Bo-Kyung;Shin, Jae Seoung;Seo, Won Hee;Jang, Gi Young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6권1호
    • /
    • pp.60-65
    • /
    • 2019
  • 항인지질항체는 자가면역 질환에서 발생할 수 있고, 때로는 마이코플라즈마와 같은 감염 후에도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후 항인지질항체의 발현과 혈전의 발생은 매우 드물게 보고되어왔다. 본 8세 환아는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입원 치료 중 손가락의 변색 및 감각 저하가 발생하였고 혈액검사 결과 항인지질항체 양성으로 확인되었다. 이로 인해 상완동맥 혈전증이 발생하여 혈전제거술을 시행하여 제거하였다. 양성이었던 항인지질항체는 5개월 내 다시 정상화되었다.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의 합병증은 피부 병변을 포함하여 체내 많은 장기에 다양한 증상을 보이지만, 그 중 항인지질항체의 발현으로 인한 혈전의 발생은 치명적이므로,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의 치료에 있어 고려해야 할 합병증의 사례를 보고한다.

임상에서 분리된 CTX-M형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s를 생산하는 Escherichia coli와 Klebsiella pneumoniae의 유행 (Prevalence of CTX-M-type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s Producing Escherichia coli and Klebsieilla pneumoniae Isolates in General Hospitals in 2005)

  • 김윤태;김태운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42-351
    • /
    • 2006
  • 병원내 항생제 다제 내성을 일으키는 CTX-M형 ESBL을 생성하는 E. coli와 Klebsielia pneumoniae의 생성현황을 조사하고 이들 균주로 인한 감염증치료와 역학적 조사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효소의 유전형을 규명하였다. 2005년 7월-12월에 부산에 소재하고 있는 2개의 종합병원에서 분리된 E. coli와 K. pneumoniae 각각 153주, 52주를 수집하였다. 그 중에서 ESBL을 생성 하는 균주를 검출하기 위해 Double disk synergy test를 시행하여서 E. coli 23주와 K. pneumoniae 13주를 분리하였다. 균주의 동정은 Vitek system GNI card(bioMerieux Vitek Inc., Hazelwood, Mo., U.S.A.)로 확인하였고, 항생제감수성시험은 disk diffusion method 와 agar dilution method를 사용하였다. 분리된 균주들의 내성을 일으키는 ESBL유전형을 규명하기 위하여 Isoelectric focusing(IEF), polymerase chain reaction test, DNA sequencing을 시행하였다. A병원의 13주와 B병원의 10주로 총 23주의 E. coli(15.0%)와 A병원의 7주와 B병원의 6주로 K. pneumoniae 13주(25.0%)가 double disk synergy test 양성으로 ESBL 생성균주로 판정하였다. ESBL 생성 36균주를 대상으로 bla$_{TEM}$, bla$_{SHV}$, bla$_{CTX-M}$ 유전자 검출을 위한 PCR을 시행한 결과 bla$_{TEM}$ 유전자는 13주(36.1%), bla$_{SHV}$ 유전자는 13주(36.1%), bla$_{CTX-M}$ 유전자는 32주(88.9%)가 양성반응을 보여서 bla$_{CTX-M}$ 유전자를 가진 균주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그리고, bla$_{TME}$, bla$_{SHV}$ 두 가지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균주는 1주(2.8%)만 나타났고 bla$_{TEM}$, bla$_{CTX-M}$두 가지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균주는 9주(25.0%), bla$_{SHV}$, bla$_{CTX-M}$ 두 가지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균주가 10주(27.8%)로 나타나 bla$_{CTX-M}$을 포함하는 복합유전자가 많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CTX-M형 ESBL을 생성하는 E. coli와 K. pneumoniae에 대한 cefutaxime의 MIC는 256 $\mu$g/m1 이상으로 ceftazidime의 16-256 $\mu$g/mL 이상보다 높은 분포를 보였다. 즉, CTX-M형 ESBL 유전자를 지닌 균주에 대한 cefotaxim의 MIC는 ceftazidime의 MIC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높은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의 대학병원 뿐 만 아니라 일반종합병원에서도 CTX-M형 ESBL 생성 E. coli와 K. pneumoniae가 존재하며 확산 중임을 시사한다. 앞으로 CTX-M형 ESBL의 만연과 변종 CTX-M형 ESBL의 출연을 감시하기 위한 정기적인 연구와 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한다.

부패하는 두부로부터 미생물의 분리ㆍ동정 및 특성조사 (Characterization and Identification of Bacteria from Putrefying Soybean Curd)

  • 주길재;허상선;최용희;이인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92-298
    • /
    • 1998
  • 부패하는 두부에서부터 각종 미생물 18종을 분리하여 동정한 결과, B. cereus, X. luminescens, A. calcoaceticus, Kl. pneumoniae, S. typhimurium, Pantoea sp., Bacillus sp., Cardiobacterium sp., E. coli, St. aureus, Yersinia sp. 등 11종의 각기 다른 미생물로 나타났다. 실온에서 두부의 부패 과정중 이들 미생물의 존재 함량은 B. cereus J55 23.37%, X. luminescens J48 22.37%, A. calcoaceticus J61 22.26%, X. Luminescens J48 22.73%, A. calcoaceticus J61 22.26%, Kl. pneumoniae J62 21.25%, S. typhimurium J51 2.87%, Pantoea sp. J57 2.65%, S. typhimurium J51 2.87%, Pantoea sp. J57 2.65%, Bacillus sp. J58 1.43%, Cardiobacterium sp. J54 1.26%, E. coli J53 1.20%, St. aureus J60 0.93%, Yersinia sp. J50 0.05%로 존재하였다. 이들 미생물을 각각 두부에 접종하여 두부 부패성을 조사한 결과, B. cereus J55, X. luminescens J48, Ac. calcoaceticus J61, Kl. pneumoniae J62 등 4종류의 균주는 두부부패를 진행시켰으며 심한 변패취를 내었고 액즙이 혼탁하여 미생물의 증식을 인지할 수 있었으며 또한 proteinase의 활성 및 amylase의 활성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나머지 7균주는 두부 부패에 큰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11종의 미생물에 대하여 각종 항생제 내성을 조사한 결과, amicacin, gentamicin, tobramycin 등 aminoside계 항생물질에 대해서는 높은 감수성을 나타내는 반면, penicillin G, oxacillin, cephalothin, cefazolin, cefamandole 등 $\beta$-lactamine계 항생제에 대해서 높은 내성을 가지고 있었다.

  • PDF

폐렴구균 DNA 백신의 면역병리학적 측면에서의 안전성 평가 (Evaluation of Safety of Streptococcus pneumoniae DNA Vaccine in Immunopathological Aspect)

  • 이주희;한용문
    • 약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33-39
    • /
    • 2006
  • We have previously reported the minimum criteria that can be applied to evaluate efficacy and safety of a DNA vaccine with use of Streptococcus pneumoniae DNA vaccine (SPDNA). The SPDNA was formulated by inserting the DNA sequences that are codons specific for the carbohydrate epitope in the capsule of S. penumoniae by phage display peptide library. Administration of the SPDNA into mice induced both humoral and cell-mediated immunities. The induction was protective even in the absence of CD4+ T lymphocyte in mice. Profiles of cytokine and isotyping of antibody displayed tendency of the Th1. In continuation of these studies, we examined if the efficacy of the SPNDA was provoked by the peptide recognized by codons specific for the capsule. Results showed that the peptide vaccine formulae (SPP) induced protective antibody in mice as did the SPDNA. Involvement of the cell-mediated immunity was also determined. Possible side effects of autoimmune diseases such as myositis and C3a production and tumor-formation were undetectable in mice given 7 times of SPDNA vaccination during entire of 92 days. Even after the frequent immunization, immunogenicity of the SPDNA was observed as determined for antibody production, suggesting that there was no immunotolerance provoked. All together, these examining factors would be applied to measurement of a DNA vaccine safety regarding the immunopathological aspect.

Panosialins, Inhibitors of Enoyl-ACP Reductase from Streptomyces sp. AN1761

  • Kwon, Yun Ju;Sohn, Mi-Jin;Oh, Taegwon;Cho, Sang-Nae;Kim, Chang-Jin;Kim, Won-G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2호
    • /
    • pp.184-188
    • /
    • 2013
  • In the continued search for inhibitors of enoyl-acyl carrier protein (ACP) reductase, we found that four acylbenzenediol sulfate metabolites from Streptomyces sp. AN1761 potently inhibited bacterial enoyl-ACP reductases of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pneumoniae, and Mycobacterium tuberculosis. Their structures were identified as panosialins A, B, wA, and wB by MS and NMR data. They showed stronger inhibition against S. aureus FabI and S. pneumoniae FabK with $IC_{50}$ of 3-5 ${\mu}M$ than M. tuberculosis InhA with $IC_{50}$ of 9-12 ${\mu}M$. They also exhibited a stronger antibacterial spectrum on S. aureus and S. pneumoniae than M. tuberculosis. In addition, the higher inhibitory activity of panosialin wB than panosialin B on fatty acid biosynthesis was consistent with that on bacterial growth, suggesting that they could exert their antibacterial activity by inhibiting fatty acid synthesis.

Streptococcus pneumoniae가 생산하는 pneumolysin의 EGFP 융합으로 인한 용혈활성 변화 (C-terminal Fusion of EGFP to Pneumolysin from Streptococcus pneumoniae modified its Hemolytic Activity)

  • 정경태;이재헌;조혜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99-104
    • /
    • 2018
  • Streptococcus pneumoniae는 pneumolysin과 같은 병원성 인자를 가지고 있으며, 지역사회에서 전파되는 심각한 병원성균에 포함된다. Pneumolysin (PLY)은 콜레스테롤 의존적으로 세포막에 구멍을 형성하는 세포독소로서 백신의 주요한 표적 항원이다. PLY의 연구를 위하여 Streptococcus pneumoniae D39 균주에서 추출한 genomic DNA를 주형으로 하여 PCR을 시행하였다. 합성된 PLY 유전자 DNA를 pQE-30 vector에 삽입하고, E. coli M15에 형질전환 시킨 후 LB 배지에 IPTG를 첨가하여 PLY 단백질을 생산하였다. 재조합 단백질은 $Ni^{2+}$-agarose column을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또한, EGFP를 PLY C-말단에 부착한 융합단백질도 동일한 방법으로 클로닝하여 재조합 단백질을 생산하였다. 500 ng/ml 농도의 재조합 PLY는 1.0% 적혈구 현탁액을 100% 용혈시켰으며, 240 ng/ml 농도는 50% 용혈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재조합 PLY-EGFP는 용혈 활성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으나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였을 때 적혈구 막에 결합되어 있었다. 즉, EGFP의 PLY C-말단 부착은 PLY의 세포막 결합능은 유지시켰으나 용혈기능은 방해하였다. PLY C-말단은 용혈기능에 아주 중요한 영역이며, 세포막 결합은 PLY의 다른 영역이 보다 중요하게 작용할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육안으로 관찰이 가능한 결합능은 가졌으나 용혈 기능이 결여된 PLY-EGFP를 대조군으로 활용함으로써 두 재조합 단백질은 폐렴 유발에 있어서 PLY 작용 연구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