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 constricta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초

Indirect Evidence on Sex Reversal of Sinonovacula constricta (Bivalvia: Euheterodonta) and Gomphina veneriformis (Bivalvia: Veneridae)

  • Shin, Yun Kyung;Park, Jung Jun;Choi, Ji Sung;Lee, Jung Sick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8권2호
    • /
    • pp.73-78
    • /
    • 2014
  • This study attempts to propose the possibility of the sex reversal in Sinonovacula constricta and Gomphina veneriformis by confirming the changes in the sex ratio with the shell length in the same population level. For analysis of sex ratio, 100 individuals of S. constricta (SL 26.5-95.0 mm) and 2385 individuals of G. veneriformis (SL 15.1-60.1 mm) were used. Sex was analyzed histologically. Both species displayed the tendency of increase in the female proportion with increase in shell length. In this study, changes in the sex ratio in accordance with the growth of S. constricta and G. veneriformis are determined to be indirect evidence that signifies their sex reversal.

새만금지역 갯벌 환경(패류, 저질)에서의 중금속 분포특성 (Heavy Metals in Sediments and Burrowing Bivalves (Sinonovacula constricta Lamarck) from Tidal Flats along the Saemankeum Area, Korea)

  • 황갑수;신형선;김강주;여성구;박성민;임규재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41-354
    • /
    • 2002
  • Heavy metal concentration/distribution in sediments and bivalves from the tidal flats in Saemankeum coastal area, western Korea, were investigated, Among 6 sampling sites, S2, S5 and S6 showed the higher levels of Zn, Cr, Ni, Cu and Cd contamination and S1 did the higher level of Pb contamination than other sites, while S-4 showed the lowest levels of these metal contamination. Overally, the levels of Zn, Cu and Pb concentrations in Sinonovacula constricta were estimated to be relatively high. The shell lengths of the collected mussels were linearly related to their dry weights of the whole soft parts, but the mussels collected from S3 were in a poor nutrition, resulting in the distinctively high levels of metal concentrations in the body. It was shown that in S. constricta, Cr, Ni, Cu and Zn are distributed equally into the whole soft parts or a little more into the flesh, after absorption, while Fe, Cd, Pb and Mn are transferred more into the non-flesh parts than into the flesh parts. In S. constricta,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the flesh increase with those in the whole soft parts. The bioaccumulation factors(heavy metal concentration in S. constricta/heavy metal concentration in sediment) showed that, of the examined metals, Cd is the most cumulative in the body of S. constricta, followed by Zn and Cu, while Mn, Cr, Ni and Pb are not cumulative.

이매패류(Sinonovacula constricta) 먹이원 NGS 분석 적용에 대한 연구 (Application of NGS Analysis for the Food Source of Bivalve)

  • 허유지;조현빈;정은송;김현우
    • 생태와환경
    • /
    • 제54권3호
    • /
    • pp.257-26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가리맛조개(S. constricta)의 토사물을 현미경 검경과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 기법으로 먹이원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형태학적 및 분자학적 방법에 따른 먹이원 분석을 비교하였다. 가리맛조개(S. constricta)의 먹이원은 분석방법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먹이원생물은 위 내에서 분해되어 현미경 분석을 통한 생활사 확인과 정량적 분석이 가능하였으나 형태학적 및 해부학적 특성 파악이 불완전하였다. NGS 분석은 유기물 형태로 잔존하는 생물의 DNA 확인이 가능하여 현미경 검경 결과와의 상호보완적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Reproductive Cycle and First Sexual Maturity of Sinonovacula constricta(Lamarck, 1818)(Bivalvia: Pharidae) in Western Korea

  • Kim, Tae-Hoo;Lee, Ki-Young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97-104
    • /
    • 2008
  • The gonad index, reproductive cycle and first sexual maturity of Sinonovacula constricta collected from Simpo, Kimje-gun, Korea were investigated by histological analysis. The gonad index(GI) in both sexes of S. constricta increased from April and reached a maximum in July when the water temperature rapidly increased. And then, the GI values gradually decreased by spawning from August through October. Monthly variations in the GI showed a close relationship with ovarian development. The reproductive cycle in females and males can be classified into five successive stages: early active stage(March to June), late active stage(May to July), ripe stage(July to September), partially spawned stage(August to October), spent/inactive stage(October to March). The percentage of first sexual maturations in female and male clams of 50.1-60.0 mm in shell length was over 50%, and for clams over 70.1 mm in shell length, it was 100%. Because harvesting clams < 50.1 mm in shell length could potentially cause a drastic reduction in recruitment, a measure including a prohibitory fishing size should be taken for adequate improved fisheries resource management.

  • PDF

Ultrastructure of Oocytes During Oogenesis and Oocyte Degeneration Associated with Follicle Cells in Female Sinonovacula constricta(BIVALVIA: PHARIDAE) in Western Korea

  • Chung, Ee-Yung;Ko, Cheol-Hwan;Kang, Hee-Woong;Choi, Ki-Ho;Jun, Je-Cheon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2권4호
    • /
    • pp.313-319
    • /
    • 2008
  • The ultrastructure of oocytes during oogenesis and oocyte degeneration associated with follicle cells in female Sinonovacula constricta(Lamarck, 1818) were investigated by electron microscope observations. Ovarian follicles are surrounded by a matrix of vesicular connective tissue cells(VCT cells). VCT cells contain large quantities of glycogen particles and several lipid droplets in their cytoplasm. It is suggested that VCT cells act as a source of nutrients for vitellogenesis during oogenesis. In early vitellogenic oocytes, several coated vesicles, which appear at the basal region of the oocyte, lead to the formation of membrane-bound vesicles via endocytosis. The uptake of nutritive materials in coated vesicles formed by endocytosis appears through the formation of coated pits on the oolemma during vitellogenesis. During the late stage of oogenesis, yolk precursors(yolk granules), mitochondria and lipid droplets are present in the cytoplasm of late vitellogenic oocytes. In particular, proteinaceous yolk granules containing several different components are intermingles and form immature yolk granules. In the mature oocyte, small immature yolk granules are intermingled and form large mature yolk granules. Vitellogenesis occurs through a process of autosynthesis, involving combined activity of the Golgi complex, mitochondria and rough endoplasmic reticulum in the cytoplasm of vitellogenic oocytes. The process of heterosynthesis is where extraovarian precursors are incorporated into oocytes by endocytosis at the basal region of early vitellogenic oocytes before the formation of the vitelline coat. Follicle cells appear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vitellogenesis and oocyte degeneration. The functions of attached follicle cells to the oocyte during oocyte degeneration are phagocytosis and digestion of phagosomes originating from oocyte degeneration. After digestion of phagosomes, it is assumed that the function of follicle cells can permit a transfer of yolk precursors necessary for vitellogenesis and allows for the accumulation of glycogen and lipid during oocyte degeneration, which can be employed by vitellogenic oocytes. Follicle cells of S. constricta may possess a lysosomal system for induction of oocyte breakdown and might resorb phagosomes in the cytoplasm for nutrient accumulation during oocyte degeneration.

간석지산 이매패에서의 흡충류 유충에 관한 연구 (Trematodes larva in 3 species of bivalves )Corbicula japonica, Sinonovaculla constrica and Ruditaps philippnarum))

  • 김영길;윤권식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03-213
    • /
    • 2003
  • 해산 이매패류에서의 흡충류의 기생종과 병해를 조사 할 목적으로 2001년 4월부터 2002년 10월 사이에 우리나라 서해안 내륙지와 인접한 전북 고창의 부창만내 주진천의 일본재첩과 부안군 계화도의 가리맛조개, 그리고 육지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어청도와 말도 및 개야도에서 채집한 바지락을 조사하였다. 일본재첩에서는 조개내의 생식소에서 한국산 미 기록종인 Cercaria corbiculae가 검출되었는데, 그 크기는 $278{\times}98{\mu}$, sporocyst는 $890{\times}275${\mu}$이었고, 0.83%의 낮은 기생율을 나타냈다. 계화도산 가리맛조개의 외투막에서 크기가 0.351×0.182mm의 Parvatrema duboisi의 피낭 유충을 검출 하였다. 가리맛조개는 이 종의 새로운 중간 숙주가 되며, 조개에서의 기생율은 48.3%이었고, 조개 1개당 1-9마리가 기생되었으며, 수온과 조개의 크기에 따른 기생율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어청도와 말도 및 개야도산 바지락에서 꼬리 긴 cercaria의 일종인 Cercaria tapidis가 조개의 생식소와 외투막에서 검출되었으며, 어청도산 바지락의 연평균 기생율은 7.7%, 기생율이 가장 높은 달은 수온 $11^{\circ}C$인 12월에 16.7%, 가장 낮은 달은 수온 $19^{\circ}C$인 7월에 4.8%로 육지와 접한 금강하구의 솔리산 바지락에서의 연평균 기생율(5.75%)이나 월별 기생율이 오히려 내륙과 연결된 간석지산 바지락 보다 약간 높았다. 바지락의 크기별 기생율은 각장 3.6-4.0cm가 48.3%로 가장 높은 기생율을 나타낸 반면, 각장 4-5cm의 큰 조개에서는 0.8%의 낮은 기생율을 나타냈다.

가리맛조개(Sinonovacula constricta: Bivalvia)의 성장과 생산 (경기 남양만 화성조간대) (Growth and Production of Sinonovacula constricta (Bivalvia) from the Hwaseong Tidal Flat in the Namyang Bay, Korea)

  • 고철환;양미라;장원근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권1호
    • /
    • pp.21-30
    • /
    • 1997
  • 본 연구는 한국 조간대의 주요 수산자원인 가리맛조개(Sinonovacula constricta)의 서식밀도, 성장 및 생산량을 알아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가리맛조개를 포함하는 맛류(razor clam 또는 jack knife clam)의 어획량은 연간 약 6,000여톤으로, 이들은 굴, 바지락, 동죽 다음으로 많이 어획된다. 1992년 5월부터 1993년 8월까지 약 1개월의 간격으로 총 14회에 걸쳐 맛류 생산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가리맛조개를 경기도 화성 조간대에서 채집하였다. 가리맛조개의 서식밀도는 1 $m^2$당 92~165개체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고연령군일수록 서식밀도가 낮았으나, 예외적으로 1991년에 가입한 연령군의 서식밀도는 1990년 연령군 보다 낮았다. 패각의 최장길이는 가을과 겨울사이에 두개의 크기군으로 나누어졌으나, 2월 이후에 어린 가리맛조개의 빠른 성장으로 하나로 합쳐지는 양상을 보였다. 어린 가리맛조개의 빠른 성장은 성장곡선에 의해서도 잘 나타났다. 전 생애동안 패각의 길이성장은 von Bertalanffy 성장식, $L_t=89.3{\times}[1-{\exp}\{-0.58{\times}(t+0.73)\}]$으로, 육질부의 건중량은 Gompertz 성장식, $W_t=5.00{\times}{\exp}\{-4.31{\times}{\exp}(-0.043{\times}t)\}$으로 적합되었다. 특히 육질부의 무게는 산란기인 8월에 전체 몸무게의 30% 정도가 감소하였다. 1992년 9월부터 1993년 8월까지 1년동안 가리맛조개의 육질부 총생산량은 약 150g $DW{\cdot}m^{-2}{\cdot}yr^{-1}$로 추정되었다. 각 연령군별로 보면, 1992년생 가리맛조개의 생산량은 87.5 g $DW{\cdot}m^{-2}{\cdot}yr^{-1}$ 1991년생은 53.4 g $DW{\cdot}m^{-2}{\cdot}yr^{-1}$, 1990년생은 59.0g $DW{\cdot}m^{-2}{\cdot}yr^{-1}$ 1989년생은 -30.0 g $DW{\cdot}m^{-2}{\cdot}yr^{-1}$이었다. 가리맛조개의 생산량은 다른 이매패류에 비해 약 2~50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보성 연안해역에서 꼬막과 새꼬막 부유유생 출현의 변화 (Changes in planktonic bivalve larvae of Tegillarca granosa and Anadara kagoshimensis in the Boseong coastal waters of South Korea)

  • 김현정;강준수;정승원;박용주
    • 환경생물
    • /
    • 제37권3호
    • /
    • pp.351-361
    • /
    • 2019
  • 이매패류의 부유유생은 성패(양식자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부유유생의 출현시기 및 출현량에 관한 연구는 자연 채묘량의 증대와 인공종묘의 생산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전자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보성 연안에서 총 21종의 이매패류 부유유생을 확인하였으며, 이 중 구마모토굴(M. sikamea), 왜홍합(X. atratus), 종밋(M. senhousia), 참굴(M. gigas), 가리맛 조개(S. constricta), 새꼬막(A. kagoshimensis), Kurtiella aff. bidentata 그리고 꼬막(T. granosa)이 중요 부유유생으로 관찰되었다. 특히, 보성 연안해역의 주요 수산자원인 새꼬막(A. kagoshimensis)과 꼬막(T. granosa)은 각각 이매패류의 0.51~12.50% (평균 4.00%), 0.01~12.50% (평균 1.92%)의 구성비율을 차지하며 다른 이매패류보다 낮은 출현량을 보였다. 꼬막(T. granosa)과 새꼬막(A. kagoshimensis)의 부유유생은 6월부터 9월까지 관찰되었으나, 각각 8월 초와 8월말에 가장 높은 출현율을 보였다.

일부 28S rRNA 염기서열을 이용한 백합 상과 패류의 계통분류 (Molecular Phylogeny of Veneroidea (Bivalvia: Heteroconchia) on the Basis of Partial Sequences of 28S rRNA Gene)

  • 김세창;김재진;홍현철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47-161
    • /
    • 2005
  • 백합 상과의 계통분류학적 유연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14 종의 이치 아강 이매패류와 3 종의 익형 아강 패류를 대상으로 28S rRNA의 일부 염기서열을 분석한 뒤 GenBank에 등록된 관련 종들의 염기서열을 취득하여 PAUP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최대 절약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분석된 1,480 개의 형질 (gap 포함) 중 560 개의 형질이 parsimony 결과 informative하였다. 하나의 가장 절약적인 분지도를 구했을 경우 전체 분지의 길이는 2765였고 consistency index (Cl) = 0.4843, homoplasy index (Hl) = 0.5157, Retention index (Rl) = 0.6291 로 나타났다. 동일 종 표본, Corbicula fluminea와 Sinonovacula constricts의 경우 각각 3.1%, 1.2%의 차이를 보였다. Pitarinae-Cyclininae-Meretrinae가 하나의 분지를 이루고 있었고, Samaranginae-Chioninae-Dorsininae가 다른 하나의 분지를 이루고 있었다.

  • PDF

시판되는 어 .패류에 대한 Listeria 속균의 조사연구 (A Study on Listeria Strain Species for Fishes and Shellfishes on Sale)

  • 김동필;조배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48-561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이 지역에서 유통되고 있는 해수 및 어패류를 직접 채취하여 Listeria spp.를 분리 하였으며, 각각의 검체에 대한 균종별 분리율, 생화학적시험과 표준균주를 사용한 pH에 대한 시간별 균의 생육관계를 조사하였으며, L. monocytogenes에 대한 마늘, 향신료, 녹차 등의 농도에 따른 시판용 TSB(0.6%ye, pH 7.3)에서의 시간별 균의 생육관계를 조사하였고, 또한 항균제 10종에 대하여 감수성 시험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총 검 체 200건에서 Listeria spp.가 검출된 것은 32건으로 분리율 16%이었고, 검체별로는 전어(japanese gizzard shad)에서 37.5%(6/16)로 가장 높았으며, 병어(pomfret)와 새우(metapenaeus shell) 에서 각각 31.3%(5/16). 맛(sinonoracula constricta)과 조기 (yellow tailrunner)에서 각각 18.8% (3/16), 해수(sea water)에서 14.3%(8/56), 바지락(little neck clams)에서 12.5%(2/16)이었으며, 홍합(hard- shelled mussels) 소라(top shell), 꼬막(cockle clam)에서는 검출되지 않았고, 균종별로는 L. innocua가 14.0%(28/200), L. monocytogenes와 L. seeligeri는 각 각 1.0%(2/200)가 분리 되었다. 2. L. monocytogenes를 비롯한 4종의 표준균주 모두는 pH 3.0에서 균의 생육이 정지되었고, pH 10.0에서는 미약하지만 균의 생육이 진행되었으며, 산성보다는 알칼리성에서 균의 생육이 활발함을 알 수 있었으며, pH 7.0∼8.0에서는 균의 생육이 가장 왕성하였고,4종의 표준균주 중 L. seeligeri가 최대의 0.D값인 0.627로 가장 높았다. 3. 마늘, 겨자, 와사비, 녹차 등의 농도에 따른 시판용 TSB(0.6%ye 포함, pH 7.3)에서 1. monocytogenes의 생육은 마늘추출물에서 0.D값이 0.078에서 0.210으로 가장 저해를 받았으며, 겨자와 와사비는 균의 생육에 큰 저해를 주지 못하였으나, 녹차 추출물은 미약하지만 18시간 이후에 균의 생육저해에 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 10종의 항균제 감수성시험에서 L . innocua 16주는 ampicillin, kanamycin, penicillin, trimethopriml/sulfamethoxale, vancomycin에 대하여 모두 100%의 감수성을 보였고, ciprofloxacin과 gentamicin은 각각 43.7%, 97.7%로 감수성 이 나타난 반면, tetracycline (5주, 31.3%), cefotaxime(12주, 75%)은 내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nalidixic acid는 100%모두 내성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