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etter style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1초

VDT 화면에서 한글의 글자크기와 서체에 따른 탐색속도와 오류율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search speed and error rate according to Korean letter size and font on search task with VDT)

  • 황우상;이동춘;이상도;이진호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9-38
    • /
    • 1997
  • The research on the factors which effect on legibility is mainly utilized as the basic data of selecting the standard guideline of VDT screen. But the research on Korean is scarcer than that of English. Furthermore, it is unreasonable to apply the results of the foreign language to Korean, beaus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ypography of English and that of Korean. Therefore, more systematic and ergonomic research of the Korean typography on VDT screen is needed. In this paper, an experimental study on search speed and error rate is designed and performed according to different Korean letter size and font on search task with VDT. The experimental screen based on popular Ming and Gothic style is made up of total 12 artificial screens, each 6 different font size. As the criteria of the performance, searching speed(s.s.) and error rate (e) are selected, and CFF value is measured to evaluate user's visual fatigue. The results of experiment in font show that the Korean Gothic style is superior to the Korean Ming style in user's visual performance. The letter size that gives user the optimal performance ranges from the visual angle 39.8' to 55.5' in Ming style, from the visual angle 39.8' to 52.6' in Gothic systle. In visual fatigue experiment, the better performance of letter size is, the less tired user feels. And the smaller letter size is, the more tired user feels.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font and user's visual fatigue.

  • PDF

Korean EFL Learners' Sensitivity to Stylistic Differences in Their Letter Writing

  • Lee, Haemoon;Park, Heesoo
    • 영어영문학
    • /
    • 제56권6호
    • /
    • pp.1163-1190
    • /
    • 2010
  • Korean EFL learners' stylistic sensitivity was examined through the two types of letter writing, professional and personal. The base of comparison with the English native speakers' stylistic sensitivity was the linguistic style markers that were statistically found by Biber's (1988) multi-dimensional model of variation of English language. The main finding was that Korean university students were sensitive to stylistic difference in the correct direction, though their linguistic repertoire was limited to the easy and simple linguistic features. Also, the learners were skewed in the involved style in both types of the letters unlike the native speakers and it was interpreted as due to the general developmental direction from informal to formal linguistic style. Learners were also skewed in the explicit style in both types of letters unlike the native speakers and it was interpreted as due to the learners' heavy reliance on one particular linguistic feature. As a whole, the learners' stylistic sensitivity heavily relied on the small number of linguistic features that they have already acquired, which happen to be simple and basic linguistic features.

위수개론 (Introduction of Asite in Japan)

  • 전용범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4호
    • /
    • pp.127-136
    • /
    • 2001
  • The decay of the Old Chinese Dynasty, Tang in the 10th century caused the collapse of the political order of Southeast Asia and the neighboring countries began to try to go their own way. Japan abolished the system called "Yudangsa" and nourished the culture of Japanese style. The fang age had a respect of the′Japanese Character Culture", in which when we expressed the sound, they developed the Japanese letters ,that is, reduced Chinese characters, and systematized them as linguistic symbols and developed them into one of letter design styles. The Japanese letters which was mainly the media of the expression of the female literature were delicately shaped ′as natural materials, which finally resulted in Japan′s oldest letter modeling, Asite Letter Design Style. The Japanese letters were blended with ′Reeds around the Lake", "Sea Birds", "Birds′flying", and "Rocks", mixed with the overall shapes of the objects and assimilated into one part, and became a means for the main entertainment of the nobility such as "Singing Festival", "Conference", and "Ceremonial Events" According to the relics, the Japanese feeling of a small cosmos was represented with the fabulous skills of artifacts. In audition, "Play Painting"in the countryside is also a kind of Asite the ordinary people accepted as wit and satire. What we will have to notice is about exchange of the Chinese letter designs, when the thought focused ′on the letter design, Jobcheso was popular. The letter design Jobcheso is -a kind of letter design which represents -natural objects and was popular at the time of Yukjo Dynasty, and there are some documents of that period left both in Japan and Korea. "Hyojedo" in Korea is suppos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letter design. Asite- is also considered to have been "Japanese Letter Jobcheso."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origin of the letter designs in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circle, in terms of the letter design of Jobcheso.

  • PDF

조선초(朝鮮初) 익안대군발원사경(益安大君發願寫經)에 관한 연구(硏究) (The study on the script prayed by Ik-An prince(益安大君) in early Choseon Dynasty)

  • 권희경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59-183
    • /
    • 2001
  • 이 연구는 조선 초에 제작된 익안대군(益安大君) 방의(芳毅)발원의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제 5권 사경의 경우 발원문에 관한 연구 및 표지화, 변상화, 서체에 관한 고찰이다. 발원문에 관한 연구는 정확한 연대와 발원에 실제적으로 참석한 인물에 관한 연구에 집중하였다. 이 사경 발원문에는 정확한 연대에 대한 기록은 없고, 개국정난정사지원공익안대군(開國靖難定社止功原益益安大君) 방의동실정혜옹주최씨(芳毅同室貞惠翁主崔氏)라는 기록이 보여 상당한 혼란을 가져오게 한다. 표지화는 연화 - 당초문의 표면에 있어서는 고려 말로 호림미술관소장의 묘법연화경 7권분의 표지화로부터 시작된 굵은 태선으로 윤곽선을 그리는 양식적 특징이나 묘선의 경직화가 보다 심화된다. 이러한 특징은 조선적인 것으로 보아도 무방할 것 같다. 변상화는 향우(向右)의 설법화에 나타난 수미단의 계단에 산화가 그려지고 있는 점등이라든지 도식화된 지운(地雲)등에서는 고려말 조선초의 양식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석가의 형상이나 광배는 태종 15년(1415)에 제작된 내소사소장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7권본 한질의 변상화에서 보여주는 특징과 거의 같아 이러한 점은 조선적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서체에 있어서는 충선왕 이후, 고려후기 사경 중에 나타나고 있는 송설체(松雪體)가 엿보인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조선초 왕실발원 사경의 양식적 특징을 명확히 함으로서 년대 불확실한 고려사경의 년대추정에도 어떤 기준을 미련 하고자 했다.

신문광고 헤드라인 서체 활용사례 연구 (A Study on Utilization of Fonts for Headline of Newspaper Advertising)

  • 김영국;원종윤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5호
    • /
    • pp.95-104
    • /
    • 2006
  • 수많은 정보들 중에서도 특히 광고는 기업 혹은 단체에서 목적 달성을 위해 치밀한 계획 하에 많은 자금을 투자하여 만드는 정보이다. 헤드라인을 완성하면 광고의 80%를 완성한 것과 마찬가지라는 데이비드 오길비(David Ogilvy)의 말처럼 인쇄광고에서 헤드라인은 광고의 다른 어떤 구성요소들 보다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헤드라인을 작성할 때에는 무의식적으로 시선을 끌 수 있는 감성적인 부분까지 고려해야하므로 헤드라인 서체 선정의 중요성은 가중된다. 많은 학자들이 타이포그래피를 frozen sound또는 written sound라고 한다. 이는 타이포그래피는 이미 하나의 letter의 역할을 뛰어넘어 문자에 감성을 불어 넣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광고 제작 시 적절한 헤드라인 서체 선정은 커뮤니케이션과정에서 리스크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합리적 디자인의 도출로 연결되어 광고주와 광고 수용자에게 만족을 부여한다. 그러나 광고. 제작 시 최적의 헤드라인 서체를 선정하기 위한 의사결정 방법은 그리 많지 않은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2005년 1월$\sim$3월까지의 신문광고 헤드라인 서체 사용 경향을 파악하였고, 그 결과 헤드라인 서체의 사용이 특정한 몇 가지 서체에 치우쳐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용자들의 서체 사용에 대한 인식과 서체 환경이 많이 변화하고 있음을 지적하면서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서체 활용 시스템의 필요성을 제안 한다.

  • PDF

아르누보 이미지의 드레스 디자인 연구 - 장식 디테일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ress Design Using Art Nouveau Image - Focus on the Decoration Detail Case -)

  • 이정원;조규화
    • 패션비즈니스
    • /
    • 제12권2호
    • /
    • pp.42-58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ctual design cases of decorative detail in the Art Nouveau style from the end of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and create designs and fashion works to meet our contemporary fashion trends by means of over-decorative style, a characteristic of decorative detail. The characteristics of decorative detail in the Art Nouveau style can be outlined as follows: First, pleats appear with two major feels of solidity, undulated and curvilinear solidity based on gather(ruffle, frill/ flare and flounce) and regular and linear solidity based on linear pleats or tucks. Second, embroidery appears in various patterns developed with stitch of solid feel as well as a variety of coloration effects. Third, attachments are expressed by means of independent motif(applique, gloss effects(beads, sequins), affluent texture and mobility(fur, feather). Moreover, according to technical characteristics and expressive aspects of pleats, embroidery and attachments, it is found that decoration detail in the era of Art Nouveau is over-decoration style. Indeed, it appears in major expressive aspects such as rhythmical solid type, detailed prominence type, superficial touch type and profound volume type.

문화성향과 분석적-종합적 사고유형의 조합에 따른 전역/국소처리에서의 차이 (Differences in Global/Local Processing of Combined Groups of Cultural Dispositions and Analytic-Holistic Thinking Styles)

  • 주미정;이재식
    • 인지과학
    • /
    • 제23권2호
    • /
    • pp.269-293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성향과 인지양식의 조합 조건에 따라 전역/국소처리에서 어떠한 차이가 관찰되는지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Singelis 등[1]의 문화성향 질문지(INDCOL)와 Choi 등[2]의 인지양식 질문지(AHS)에 기초하여 실험참가자들의 네 유형의 문화성향(개인주의, 집단주의, 수평 성향 및 수직 성향) 점수와 인지양식 유형(분석적 또는 종합적 사고)에 따라 집단을 분류하고, 복합자극 유형(화살표로 구성된 복합도형 또는 알파벳 낱자로 구성된 복합문자)에 대한 전역/국소처리에서의 반응시간과 오반응율에서의 차이를 집단에 따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반적으로 복합문자보다는 복합도형의 경우, 그리고 국소처리 조건보다는 전역처리 조건에서의 반응시간이 더 빨랐다. (2) 개인주의 성향과 수평 성향이 인지양식 유형과 각각 결합된 경우 전역/국소처리에서 집단간 반응시간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3) 집단주의 성향과 수직 성향이 인지양식과 각각 결합된 집단의 경우에는 전역/국소처리에 대한 문화성향과 인지양식의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모두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개인주의 성향 또는 수평 성향보다는 집단주의 성향 또는 수직 성향이 종합적 사고 유형과 결합될 때 더 큰 전역선행성 효과를 가져 온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모유지의 예서 해석 및 참고 의의 (Analysis and Reference Significance of Mo Youzhi's Letter)

  • 장국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2호
    • /
    • pp.67-71
    • /
    • 2024
  • 莫友芝(모유지)(1811-1871)는 청나라 말기의 저명한 학자, 시인, 서예가이다. 모유지는 일생 동안 경력이 풍부하고 시야가 넓으며 특히 증국 번 막부에 들어간 10년 동안 많은 정치, 문화 엘리트를 사귀었다. 모유지는 총명하고 부지런하며 학문에 열중했으며 당시 각계각층의 유명인들과 교유할 수 있는 기회가 있어 재능을 충분히 발휘했다. 청대에는 금석학이 전례 없이 번영했고, 서예에서는 비학(碑學)이 서단의 절대적인 주도가 되었으며, 전예서는 진한(汉漢) 이후 처음으로 크게 번영하였다. 시대에 순응한 모유지는 학문에 몰두하고 한묵을 돌보며 자신만의 서예의 길을 걷는것이 사실이다. 그의 글씨 중 전서, 예서, 해서, 행, 특히 전서 예서가 정교하다. 본 고는 예서를 바탕으로 전형적인 풍격과 비정형 형태을 각각 설명하고 예서와 다른 서체 간의 관계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당대 예서 창작에 대한 예서의 참고 의의를 간략하게 요약하였다. 논술 과정에서 서예를 근거로 관련 문헌을 탐독하고 모유지의 인생 경험을 결합하여 객관적이게 진술하였다.

사경은(寫經院)과 염승익(廉丞益) 발원(發願)의 사경(寫經)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7권본 1부 (A Study on the set the seven roalls of the Saddarma Pundarika Sutra Prayed by Yeom Seong-Ik and Script Center)

  • 권희경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21
    • /
    • 2003
  • 사경은 남계원(南溪院) 석탑의 출토품으로 1915년 남계원석탑(南溪院石塔)을 개성시(開城市)의 덕암동(德岩洞)의 원 위치로부터 경복궁으로 옮길 때 발견된 감지은니사경(紺紙銀泥寫經)의 염승익발원(廉丞益發願)의 사경(寫經)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7권본 1부는 권자본(卷子本)으로 세로 31.1cm이며, 표지화와 변상화(變相畵)가 안팍을 이루고 있는데 폭은 27.2cm이다. 이 사경은 또한 1행 14자로 쓰여지고 있는데, 이러한 특징은 표지화 변상화의 양식과 더불어 고려국왕별원 금 은자사경의 양식과 같다. 이 사경을 발원한 인물은 충렬왕대의 권신이던 염승익이다. 염승익은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에 의하면, 기인을 동원하여 지은 자신의 집을 대장경사경소(大藏經寫經所) 금자대장사경소(金字大藏寫經所)로 내놓았다는 기록이 있다. 그러므로 이 사경은 염승익이 자신과 그 일가권속의 복락을 빌기 위해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7권부 1부를 금자대장사경소(金字大藏寫經所)에서 제작하고, 충렬왕(忠烈王) 9년 남계원석탑(南溪院石塔)을 수리할 때 탑에 함께 봉안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사경의 가장 중요한 점은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의 기록처럼 금자대장소로 내놓았다는 점이라 할 수 있다. 금자대장소란 장소적 의미가 강조된 것으로 금경사와 더불어서 금자원과의 차이를 밝힐 수 있는 중요한 단서라고 할 수 있는 점이다. 그러나 이 사경이 충렬왕대 고려국왕발원 금 은자사경의 특징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비록 개인발원사경이라 할지라도 금자대장사경소(金字大藏寫經所)에서 제작되었기 때문에 금자원(金字院)(혹은 은자원(銀字院))의 스타일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는 점과 이러한 점을 통해 남겨진 기록들과 발문을 중심으로 사경원 금 은자원의 성격을 밝히는데 힘썼다.

현풍(玄風) 곽씨(郭氏) 언간(諺簡)의 격조사(格助詞) 생략(省略)에 대한 고찰(考察) (A Study on the Ellipsis of Case markers through the Hangul letters of Hyun-Poong Kwak's family)

  • 전병용
    • 동양고전연구
    • /
    • 제33호
    • /
    • pp.413-435
    • /
    • 2008
  • 본고의 목적은 17세기 전반기(前半期)에 쓰인 '현풍(玄風) 곽씨(郭氏) 언간(諺簡)'을 대상으로 격조사(格助詞)의 생략 양상과 기능을 분석하는 데 있다. 판본 자료가 주로 불특정한 다수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반해 언간 자료는 특정한 개인에게 메시지를 전달한다는 점에서 판본 자료보다 '생략'이 더 자주 나타난다. 그 가운데에서 '격조사'의 생략이 두드러진다. 이러한 생략에는 '간결성', '비격식성', '신속성', '문체적 효과' 따위의 기능이 있다. 위에 제시한 생략의 네 가지 기능을 중심으로 격조사 생략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격조사 가운데 주격조사와 대격조사의 생략이 가장 자주 일어난다. 문장의 운율효과를 높일 때나 연어와 관용어 표현에서 이러한 생략이 일어났다. 또한 한문을 직역한 번역체에서도 생략이 나타났다. 처격조사는 주격조사와 대격조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생략이 덜 일어나는 편이다. 처격조사 가운데에서도 '-에/-의'가 '-에셔/-의셔/-셔'보다 생략이 더 잘 되었다. '-에/-의' 다음에 동작성이 약하거나 동작성이 없는 동사가 오고, '-에셔/-의셔/-셔' 다음에 동작성이 강한 동사가 오는 것과 관련이 있는 듯하나 단정할 수 없다. 여격조사는 주격, 대격, 처격에 비해 실현이 잘 되었다. 다만 존칭 체언이 '아바님'이나 '어마님'일 경우 존칭의 여격조사('-')가 결합되지 않고 평칭의 여격조사('-의게/-게')가 결합된다는 점이 특기(特記)할 만하다. 속격조사는 현대국어에서와 마찬가지로 생략이 잘 되었으며 중세국어 언해문에서 보았던 주격적 속격이 꽤 남아 있었다. 구격조사 '-로'는 시간관련 어휘와 결합에서 [과거]의 '어제'에는 붙지 않고, [현재]의 ''과 [미래]의 ''에는 결합하는 경우가 많았고 간혹 생략되는 경우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