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 TIPS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3초

Somatic embryogenesis from the axillary meristems of peanut (Arachis hypogaea L.)

  • Singh, Shweta;Hazra, Sulekha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3권4호
    • /
    • pp.333-340
    • /
    • 2009
  • Developmental anomalies in the plumule meristem of peanut (Arachis hypogaea L.) somatic embryos resulted in poor shoot differentiation and reduced plant recovery. Existing meristems with caulogenic potential have never been tested for embryogenesis in peanut. The present experiment was designed to test the mature zygotic embryo axis derived plumule with three meristems for somatic embryogenesis. Embryogenic masses and embryos developed from the caulogenic meristems in the axils. Exposure of 2 weeks in primary medium with $90.5{\mu}M$ 2,4-D suppressed the shoot tip differentiation temporarily which then regained the ability to form the shoot on withdrawal of 2,4-D. Exposure of 4 weeks in primary medium with $90.5{\mu}M$ 2,4-D suppressed the shoot tip differentiation irreversibly. No shoot formation was noted from the tips in any of the cultures which were in secondary medium with $13.6{\mu}M$ 2,4-D. Development of somatic embryos directly from axillary meristems was confirmed histologically. Conversion frequency of these embryos was 11%. Thus, in this report, we describe a method to obtain somatic embryos from the determined organogenic buds of the axillary meristem, by culturing the nodal explant vertically on embryo induction medium. It also displays the possibility of obtaining both embryogenic and organogenic potential in two parts of the same explant simultaneously. The possibility of extending this approach for genetic transformation in in vivo system through direct DNA delivery or Agrobacterium injection in meristems can also be explored. Using Agrobacterium rhizogenes, we have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of gene transfer in the axillary meristems of seed-derived plumule explant.

로프 트롤 그물의 기본성능에 관한 모형실험 (A Model Experiment on the Basic Efficiency of Midwater Rope Trawl Net)

  • 예영희;이병기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9권3호
    • /
    • pp.200-213
    • /
    • 1993
  • A model experiment on a midwater rope trawl net which is used in the North Pacific to catch alaska pollack is carried out in the circulating tank to examine the basic efficiency of the net. The prototype is the net used by M/S Hanil(1, 179GT, 2, 700PS), a Korean trawler. The model net was made according to the Tauti's Similarity Law of Fishing Gear in 1/100 scale by considering the condition of the tank. To measure the basic efficiency of the standard model net, the vertical opening and width between some points marked on the net were measured, and the hydrodynamic resistance were determined. Then the constructive conditions of the net were varied as follows and the factors were measured again to compare the efficiency of those nets with that of the standard net(A-1 type) front weight multiplied 1.5 times: A-2 type. buoyancy and depressing force multiplied 1.7 times: A-3 type. front weight multiplied 1.5 times on A-3 type: A-4 type. depressors rigged at ground rope: B type. cod-end stuffed with cashmylon wad: C type. The results obtaine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vertical opening at the center of head rope was steeply decreased with the flow velocity increasing and the vertical opening H(m) can be expressed in H=1.2v super(-1.2)(v : flow velocity in m/sec). The width of the net varied a little when the flow velocity was over 0.4m/sec, and the width of net mouth showed about 37% of the distance between the fore tips of net pendant. The shape of net mouth was almost a circle at 0.2m/sec and then steeply flatted elliptically with the flow velocity increasing and the area of mouth S(m super(2)) can be expressed in S=(1.65-2.3v)$\times$10 super(-2). The hydrodynamic resistance of the net increased almost linearly with the flow velocity increasing and the resistance R(kg) can be expressed in R=3.2$\times$d/l$\times$abv. where d/l denotes the mean of d(diameter of netting twine) and l(length of a leg in a mesh) from wing tip to the end of bag-net except cod-end on the side pannel, and a denotes the strectched circumference of the net at the fore end of a meshed part and b the stretched length of the whole net from wing tip to the end of cod-end. 2. In the condition-varied nets, the vertical opening of head rope showed some increase in every type net except the C type, and the increase showed the greatest in the B type by 30~54%, whereas it showed decrease in the C type by 5~10%. Variation of the area of net mouth showed almost the same tendency as the vertical opening and the increase showed the greatest in the B type by 20%, whereas it showed decrease in the C type by 12%. Hydrodynamic resistance showed some increase in every type compared with the standard net, and the rate of increase indicated 5~10% in the A-2, A-3 and A-4 type, 22% in the B type and 3% in the C type.

  • PDF

오이 캘러스 분화시 광의 영향, 형태발생 및 단백질함량 (Light Influences, Morphogenesis and Protein Content on Callus Differentiation of Cucumber (Cucumis sativus L.))

  • 이은모;조만현;송남현;우인식;이영복;곽상수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13-217
    • /
    • 2000
  • 기내에서 무균적으로 생장시킨 오이 유묘의 경단조직과 하배축을 배양하여 캘러스 분화 및 생장에 대해 조사했다. 오이 경단조직을 생장조절물질이 첨가하지 않은 배지에서는 유식 물체로 분화하였으나 2,4-D가 0.5∼2 mg/L 첨가된 MS배지에서는 비배발생캘러스와 점액성캘러스가 유도되었고 배발생 캘러스는 분화되지 않았다. 그러나 유묘 육성시 암조건에서 발아 후 5∼7일 된 개체의 하배축을 5∼10mm크기로 절단하여 2,4-D가 1.0 mg/L이 첨가된 MS배지에 50일간 광조건에서 배양했을 때에는 배발생캘러스와 배상체가 분화되었다. 아울러 하배축 유래 비배발생캘러스 중 백색캘러스는 45.1%가 발근된 반면에, 노랑색캘러스는 불과 0.6%만 발근되었으며. 조단백질의 함량은 백색캘러스보다 노랑색캘러스가 월등히 많았다. 배발생캘러스와 배상체에서 발달된 소식물체는 순화과정을 거쳐 비닐하우스 내의 고형배지경에서 양액재배로 정상적인 과실을 수확하였다.

  • PDF

은행(銀杏)나무류(類) 염색체(染色體)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hromosome Types of Ginkgo Species)

  • 김수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2호
    • /
    • pp.131-144
    • /
    • 1995
  • 자웅이주(雌雄異株)이고, 단일종(單一種)(monotype)이며, 경제적(經濟的), 기능적(機能的)으로 유용(有用)한 은행(銀杏)나무의 염색체(染色體)의 구조(構造)와 자웅(雌雄) 성결정(性決定) 염색체(染色體)를 판별(判別)하기 위해서 은행(銀杏)나무(G. biloba)와 추상은행(銀杏)나무(G. biloba var. fastigiata)를 재료(材料)로 하여 전국(全國)에서 7개(個) 지역(地域), 26개체(個體)의 근단(根端)(root tip)을 시료(試料)로 염색체(染色體)를 관찰(觀察)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체세포(體細胞) 염색체(染色體)의 기본수(基本數)는 2n=24, 염색체(染色體)의 상대적(相對的) 길이는 긴 것이 $14.88{\sim}11.17{\mu}m$, 짧은 것이 $8.11{\sim}6.24{\mu}m$, 12쌍(雙)의 염색체(染色體) set는 1쌍(雙)의 m형(型)이며 긴 염색체(染色體)와 비교적(比較的) 짧으며 sm 또는 st형(型) 11쌍(雙)으로 구성(構成)되고, 짧은 염색체(染色體) group은 연속적(連續的) 변이(變異)를 한다. 제1(第一) 긴 염색체쌍(染色體雙)의 short arm에 Satellite가 존재(存在)하고 7번 또는 8번째(sm 또는 st형(型)), 염색체쌍(染色體雙)의 한 쪽 또는 양 쪽 long arm에 Satellite가 존재(存在)하거나, 또는 제일(第一) 짧은 st형(型) 염색체쌍(染色體雙) 양 쪽 또는 한 쪽 long arm에 Satellite가 존재(存在)하기도 한다. 은행(銀杏)나무(G. biloba)의 제일(第一) 긴 염색체쌍(染色體雙)에 있는 Satellite는 가끔 2중(二重) Satellite복립부수체(複粒附髓體)인 것이 관찰(觀察)되었으나, 추상은행(銀杏)나무(G. biloba var. fastigiata)에서는 이중(二重) Satellite가 관찰(觀察)되지 않았다. 행형식(核型式) $2n=24=2^{2s}A^m+2B^{st\;or\;sm}+2C^{st}+2D^{st}+2E^{st}+2F^{st\;or\;sm}+2G^{sm}+2^{2s}H^{sm}\;or\;(^{1s}H^{sm}+H^{sm})+2I^{st}+2J^{st}+2K^{st}+2^{2s}L^{st}\;or\;(^{1s}L^{st}+L^{st})$ 염색체(染色體) 구조상(構造上)으로는 암나무와 숫나무의 성염색체(性染色體) 구별(區別)이 확실하지는 않지만, 숫나무의 염색체(染色體)에서는 제일(第一) 긴 염색체쌍(染色體雙)의 한 쪽 염색체(染色體) short arm에 이중(二重) Satellite가 존재(存在)하나, 암나무에서는 존재(存在)하지 않는다. 대체적으로 작은 염색체(染色體) group에서 Satellite 염색체(染色體)가 2개(個) 있는 것은 숫나무보다 암나무에서 더 많이 관찰(觀察)되었다. 추상은행(銀杏)나무(G. biloba var. fastigiata)에서는 작은 염색체(染色體) group에서, 숫나무에서는 1개(個)의 Satellite chromosome만 관찰(觀察)되었다.

  • PDF

참깨 엽화병의 발생과 파이토플라스마의 검출 (Occurrence of Sesame Phyllody Disease in Korea and Detection of Its Phytoplasma)

  • 한무석;노은운;윤정구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39-243
    • /
    • 1997
  • 1990년 8월 충북 보은의 참깨 밭에서 전형적인 엽화병(葉化病; phyllody disease)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꽃이 잎처럼 녹색으로 변하고, 이병엽은 정상엽보다 작고 잔가지가 마치 빗자루 모양으로 총생하였고 개화 및 결실이 되지 않았다. 투과 전자현미경으로 병든 잎의 사관요소에서 phytoplasma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병든 잔가지에서 추출한 DNA를 중합효소 연쇄반응으로 분석한 결과 대추나무 빗자루병에 걸린 나무에서 증폭되는 DNA와 같은 크기의 band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위의 시료는 phytoplasma 벙으로 확인 되었으며 참깨 엽화병으로 명명하였다. 또한 참깨 엽화병을 일으키는 phytoplasma와 대추 나무 빗자루병 phytoplasma를 PCR 증폭 및 제한효소로 절단하여 분석한 결과 이들은 서로 다른 그룹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Chlorsulfuron 과 Imazaquin에 대한 옥수수의 생리적 반응 (Physiological Responses of Corn Plants to Chlorsulfuron and Imazaquin)

  • 김기주;황인택;최정섭;조광연;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4-71
    • /
    • 1996
  • Chlorslulfuron 및 imazaquin의 옥수수에 대한 저해양상의 차이 및 혼합효과를 생리학적인 측면에서 조사한 결과, 1. 수경재배시 배양액에 약제를 처리하였을 경우 CHL은 약제처리 6시간 후부터 생장저해 증상이 관측되었으나, IMA의 경우에는 36시간 이후에 관측되었고, 처리농도가 증가되면 생장저해증상의 발현 속도가 증대되었다. 2. 세포분열은 CHL의 경우 약제처리 3시간 후부터 저해되기 시작하였으나, IMA의 경우에는 세포분열의 저해율과 저해속도가 모두 낮았다. 3. CHL 및 IMA에 의한 세포신장에 대한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4_ 근부의 ALS에 대한 영향은 세포분열의 저해시간보다 빠른 CHL의 처리 l시간 이후부터 저해되었다. 5. CHL과 IMA을 경엽에 동시 혼합처리를 하면 생장저해효과가 상가적으로 나타났으나, 상호 순차적 체계처리는 상승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6. ALS 에 대한 in vitro실험에서도 두 약제의 동시처리시 상가적인 효과가 발현되었다.

  • PDF

Ethalfluralin이 귀리 (Avena sativa L.)의 생장억제(生長抑制)에 미치는 영향 (The Mode of Action of Ethalfluralin on Growth Inhibition in Oat (Avena sativa L.))

  • 정남용;권성환;김재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6-31
    • /
    • 1991
  • 식물생장 억제제인 ethalfluralin의 작용기구를 구명하기 위하여 제초제의 작용에 민감한 귀리(Avena sativa L.)를 택하여 조사한 세포분열(細胞分裂), 세포신장(細胞伸長) 및 단백질(蛋白質) 합성(合成) 그리고 조직(組織)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Ethalfluralin를 처리한 모든 처리구의 세포분열(細胞分裂) 억제(抑制)효과는 metaphase arrest로 인하여 후기(後期)와 말기(末期)의 세포분열(細胞分裂)이 나타나지 않았다. 2. 세포신장(細胞伸長) 억제(抑制)효과는 $1{\times}10^{-6}$M 이상의 농도에서 50%가 억제(抑制)되었으며 $1{\times}10^{-3}$M에서 87%의 억제(抑制)를 보여 ethalfluralin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억제률이 증가했다. 3. 단백질합성(蛋白質合成) 억제(抑制)는 8시간 처리후 모든 농도 ($1{\times}10^{-6}$M to $1{\times}10^{-3}$)에서 단백질(蛋白質) 합성(合成)효과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조직(組織)의 변화는 24시간 처리후$1{\times}10^{-7}$M에서 근단 세포가 크게 보였으며 세포질(細胞質)이 없는 세포, 다핵(多核) 세포(細胞) 및 균일(均一)하지 않은 핵(核)이 관찰되었다.

  • PDF

Bensulfuron에 내성(耐性) 및 감수성(感受性)인 수도품종간(水稻品種間)의 해부학적(解剖學的) 비교(比較) 연구(硏究) (Anatomical Difference Between Two Rice Cultivars Selected to Bensulfuron)

  • 천상욱;구자옥;이영만;이도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19-236
    • /
    • 1988
  • Agar 배지(培地)에 $10^{-7}$, $10^{-6}$, $10^{-5}$$10^{-4}M$이 되도록 bensulfuron을 가감(加減)하고, 여기에 감수성(感受性)(cv. KH 17854 와 cv. IR 1846) 및 내성(耐性)(Chinsurah Boro II와 IR14252)으로 기(旣)히 선택(選擇)된 두 수도품종군(水稻品種群)을 육묘(育苗)하여 검검자료(檢鏡資料)로 하였다. 일차적(一次的) 차이(差異)는 $10^{-5}M$에서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들이 지상부(地上部) 및 지하부(地下部)에서 유의적(有意的)인 신장차이(伸長差異)가 있었던 반면 내성품종(耐性品種)들에서는 거의 영향이 없었으며, 생장량(生長量)에서의 차이(差異)도 없었다. 종단(縱斷)하여 검경(檢鏡)한 결과(結果), 분열조직(分裂組織)의 신장면(伸長面)에서도 위와 유사(類似)한 반응차이(反應差異)가 관찰(觀察)되었다. 토양(土壤)에서 10일간(日間) 육묘(育苗)한 후 용액재배(溶液栽培)를 통하여 약제(藥劑)를 뿌리흡수(吸收)시킨 결과(結果), 생장점(生長點)의 활성억제(活性抑制)와 부피팽창(膨脹) 현상(現象)이 품종군간(品種群間)에 유의적(有意的) 차이(差異)가 있음을 확인(確認)할 수 있었고, 세포단위(細胞單位)의 검경(檢鏡)에서 특히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들의 경우에 세포배열(細胞配列)의 불규칙성(不規則性), 액포화(液胞化), 세포비대화(細胞肥大化), 부분적(部分的)인 세포막(細胞膜) 파괴(破壞) 현상(現象) 등을 관찰(觀察)할 수 있으며 내성품종(耐性品種)에선 이보다 덜 하였다. 한편 근단분열조직(根端分裂組織)의 변화양상(變化樣相)에 있어서도 주요한 해부적(解剖的) 반응(反應)은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의 근단(根端)이 피층세포(皮層細胞)의 불규칙화(不規則化), 세포막(細胞膜)의 파괴(破壞)와 수축(收縮), 세포분열억제(細胞分裂抑制)와 비대화(肥大化), 측근발생(側根發生) 등으로 나타났으며 내성(耐性) 품종(品種)에선 그 정도(程度)가 매우 경미(輕微)하게 나타났다.

  • PDF

표층처분시설 처분고의 목업테스트를 통한 채움단계별 수직도 및 이음부 벌어짐 측정 (Measurement of Verticality and Joint Gaps of a Near-surface Disposal Facility Vault Through a Mock-up Test for Fill-up Stages)

  • 최동호;안기용;최인용;이혁진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537-544
    • /
    • 2021
  • 표층처분시설 처분고의 채움단계를 묘사하기 위하여 목업테스트를 진행하고 채움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구조물의 거동을 조사한다. 가로 6600mm, 세로 6600mm, 두께 400mm의 현장타설 콘크리트 기초 위에 4개의 프리캐스트(PC) 코너벽체와 8개의 PC 사이드벽체로 구성된 가로 5600mm, 세로 5600mm, 높이 6800mm, 두께 800mm의 철근 콘크리트 처분고를 제작한다. 처분고 안에 폐기물 드럼통을 가로 6개, 세로 6개, 총 36개로 배치한 후, 비어 있는 공간을 그라우트 채움재로 채우고 양생한다. 이 과정들을 5층까지 반복하며, 채움단계별로 벽체의 수직도와 벽체 간 이음부의 벌어짐을 측정한다. 수직도는 사이드벽체 한 개당 좌측과 우측에서 각각 3개씩 총 6개의 위치, 즉 4개의 사이드벽체에 대하여 총 24개의 위치에서 수평기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이음부 벌어짐은 사이드벽체 한 개당 좌측, 중앙, 우측의 이음부에서 각각 3개씩 총 9개의 위치, 즉 4개의 사이드벽체에 대하여 총 36개의 위치에서 균열팁을 이음부 좌우에 설치 후 버니어 캘리퍼스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목업테스트를 통해 얻은 측정된 수직도는 초기단계(ST0)를 기준으로 ±0.1°인 것으로 나타났고, 이음부 벌어짐 결과는 최대 0.38mm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뽕品種 '全原一號'의 特性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lberry Variety, Jeonweon No. 1.)

  • 박광준;남학우;이종택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1-26
    • /
    • 1983
  • 全原一號 品種은 1920年代 後半에 全北 原蠶種製造所에서 選拔하였으며, 1970年代 中盤까지 湖南一部 地方에 栽培되였었다. 本 品種의 正確한 特性 究明을 위하여 1977年에 水原과 全州에 改良뽕을 對照品種으로 全原一號 品種을 植栽供試하고 1979年부터 1982年가지 4個年間 栽培試驗을 實施하여 究明된 特性은 다음과 같다. 1) 全原 1號는 白桑系에 屬하는 中生種이다. 2) 枝條는 展開性, 條數型으로 伸張力이 弱하다. 3) 枝條의 枯損長比率은 改良뽕보다 약간 높으나 큰차 없었으며, 뽕나무 오갈병저항성과 耐倒伏性은 改良뽕보다 弱하다. 4) 年間改量은 正葉量으로 10a當 1,474kg으로서 改良보다 14% 적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