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st mite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6초

감귤원에서 귤녹응애 공간분포 분석과 표본조사법 개발 (Spatial Distribution and Sampling Plan for Pink Citrus Rust Mite, Aculops pelekassi (Acari: Eriophyidae) in Citrus Orchard)

  • 송정흡;홍순영;이신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91-97
    • /
    • 2012
  • 온주밀감에서 귤녹응애, Aculops pelekassi의 분산지수와 분포양상, 표본조사시 적정 표본수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귤녹응애는 집중분포를 하고 있었으며, 분산지수는 Taylor's power law가 Iwao's patchiness regression보다 더 잘 설명하고 있었다. Taylor's power law의 상수를 이용하여 고정 정확도 수준에서 열매 표면 $cm^2$당 누적충수에 따라 조사를 중지할 수 있는 표본조사법을 만들었다. 경제적인 표본조사를 위하여 Kono-sugino의 경험적 이항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이항모델을 이용하면 귤녹응애가 $cm^2$당 12마리 이상 발생한 열매 비율을 이용하여 평균밀도를 추정할 수 있었다 : $ln(m)=4.61+1.23ln[-ln(1-p_{12})]$. 최적의 tally threshold를 결정하기 위하여 추정평균에 대한 분산을 계산한 결과 tally threshold가 12일 때 추정평균의 분산이 적었으며, 발생과율 0.1~0.5의 범위에서 분산의 변동이 거의 없어 다른 tally threshold에 비해 높은 정확도로 평균을 추정할 수 있었다. 적정 표본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계층표본조사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고정 정확도 0.25수준에서 감귤원당 적정 조사 나무수는 13주였으며, 나무당 조사 열매수는 5개, 열매당 2지점에서 $cm^2$당 귤녹응애수 조사가 바람직하였다(총 130표본).

Development of Molecular Marker to Detect Citrus Melanose Caused by Diaporthe citri from Citrus Melanose-like Symptoms

  • Choi, Cheol-Woo;Jung, Kyung-Eun;Kim, Min-Ju;Yoon, Su-Hyeon;Park, Suk-Man;Jin, Seong-Beom;Hyun, Jae-Woo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7권6호
    • /
    • pp.681-686
    • /
    • 2021
  •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melanose and melanoses-like symptoms with the naked eye because they appear similar. To accurately detect melanose symptoms caused by Diaporthe citri from melanose-like symptoms, we developed PCR-based specific primers Dcitri by aligning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of D. citri with the ITS of Diaporthe cytosporella, Diaporthe foeniculina,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Botrytis cinerea, Alternaria citri, and Fusarium oxysporum found on citrus peel. PCR results showed that the specific product was amplified in D. citri but not in other isolates including, C. gloeosporioides, B. cinerea, A. citri, F. oxysporum. In addition, specific products were observed in melanose symptoms caused by D. citri but not in melanose-like symptoms, such as copper-injury, sunscald, damages by yellow tea thrips, and pink citrus rust mite. Using the Dcitri primers developed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melanose caused by D. citri could be accurately distinguished from melanose-like symptoms.

Chloronicotinyl 유도체의 합성 및 생물활성 검정 (Synthesi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Chloronicotinyl derivatives)

  • 박수진;김인해;최인영;김성문;한대성;허장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0-28
    • /
    • 1999
  • Chloronicotinyl 유도체의 기본 골격인 3-pyridylmethylamine의 amine기를 phosphite group으로 치환하여 chloronicotinyl 유도체를 합성하였고, 이들의 살충활성과 살균활성을 확인하였다. 살충활성 검정 결과, 500 ppm 에서 phosphonate에 methyl기와 butyl기가 치환된 compound 4와 2개의 butyl, 2,2,2-trifluorotehtyl, 2-ethylhexyl, phenyl기가 치환된 compound 5, 6, 7, 8이 벼멸구에 대해서 90%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들 화합물들은 배추좀나방과 두점박이응애에 대해서는 낮은 살충활성을 나타내었으며, phosphonate에 halogen이나 heterocycle이 치환된 compound $10{\sim}21$에서도 벼멸구, 배추좀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두점박이응애,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하여 거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Chloronicotinyl 유도체의 벼도열병균, 벼문고병균, 오이잿빛 곰팡이병균, 토마토역병균, 밀녹병균, 보리흰가루병균에 대한 살균활성을 검정한 결과, 10 ppm에서 phosphonate에 butyl기와 4-nitrophenyl기가 치환된 compound 10이 벼도열병균에 대해 86%의 살균활성을 보였다. 인 함유 chloronicotinyl 유도체들 중 일부가 높은 살균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은 이 유도체들이 신규 살균제로 개발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습도와 감귤 잎의 연령이 귤녹응애 증식에 미치는 영향 및 감귤원에서 발생소장 (Effects of Humidity and Citrus Leaf Age on the Multiplication of Aculops pelekassi (Acari: Eriophyoidea) and Seasonal Population Abundances in Citrus Orchards)

  • 서연동;김동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1-6
    • /
    • 2014
  • 귤녹응애(Aculops pelekassi (Keifer))는 제주감귤의 중요한 해충이다. 본 연구는 귤녹응애의 연간 발생소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으며, 습도와 잎의 연령이 밀도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상대습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귤녹응애 성충의 수명 및 산란에 영향을 주었다. 상대습도 33, 75, 84%에서 수명은 각각 7.5, 14.5, 14.6일 이었고, 산란수는 5.4, 21.5, 27.1개 이었다. 감귤 잎의 연령에 따라 귤녹응애의 증식정도는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연령이 40일된 잎에서는 귤녹응애 밀도증식이 가장 높았으며, 4주 후에는 10일된 잎에서 증식된 것과 비교하여 3배 이상 높았다. 눈 인편 틈에서 월동한 귤녹응애 성충은 4월 하순부터 활동을 시작하여 5월 중순경부터 봄에 발아하여 전개되는 잎(봄 잎)에서 발생하기 시작하였고, 6월 중순에는 과실에서 발생이 시작되었다. 잎에서 발생소장은 6월 하순에서 7월 발생최성기를 보였고, 과실에서는 8월 상순 발생 최성기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감귤원에서 귤녹응애 방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