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rban Area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러번 디자인과 도시환경 개선 (Rurban Design and Improvement of Urban Environment)

  • 이자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1호
    • /
    • pp.7-15
    • /
    • 2018
  • 러번 계획은 자연지형, 농촌적 자원을 적극적으로 보전하고 수용하여 도시를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고, 산업화 기간 동안 훼손된 커뮤니티를 회복시킬 수 있는 디자인적 개념이다. 한국의 서울 일극 집중과 대도시 스프롤에 의한 도시 주변지역의 농촌요소 감퇴 및 지역성 파괴는 산업화 이후 도시 개발의 난제가 되어 왔지만, 여전히 국토 불균형 개발과 환경 훼손이 과제로 남아있다. 20세기 후반 제시된 뉴어바니즘의 전통과 다양성 회복이라는 계획 사조는 일찍이 산업화와 도시화를 경험한 대도시의 계획의 패러다임이 되고 있다. 그러나 뉴어바니즘의 유럽식 혹은 미국식 계획을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러번 디자인의 철학적 개념은 농촌적 요소의 활용을 보다 직접적으로 적용하고, 자원 순환적인 환경보전과 적정한 소비 및 적합한 규모를 중심으로 한 계획, 지역의 특성을 최대 활용한 경관디자인 계획이라는 점에서 뉴어바니즘의 한계를 보완하는 실천적 전략이 될 것이다.

주민참여를 통한 농촌중심지 활성화 방안 연구 - 정읍시 내장상동을 중심으로 - (The Activation Plan of an Agricultural Region through Resident Participation - Focusing on Jeongeupsi Naejangsangdong -)

  • 오형은;김용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121-131
    • /
    • 2015
  • 과거 농외소득 향상을 목적으로 하던 마을중심의 농촌지역개발사업이 최근 농어촌중심지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농어촌중심지 사업은 지역주민의 소득 이외에 지역주민의 생활여건 개선을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시대가 변하면서 농촌과 농촌 중심지의 모습도 다양하게 변화하였다. 농촌과 도시가 하나의 지역으로 융합되어 한 지역에서 농촌과 도시의 복합적 성격을 띠는 러번지역이 발생함에 따라, 현대사회에서 농촌의 중심지는 자연스럽게 도시적 인프라를 갖춘 러번지역으로 집중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인 정읍시 내장상동 또한 농촌의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지만, 동시에 도시지역의 구조 형태를 가지는 도농통합적 생활권 중심지이다. 기존 정부의 하향식 농촌개발사업으로 나타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러번지역에 조직되어 있는 공동체를 활용한 주민참여형 사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적 성격을 가진 러번지역의 특성과 주민들의 수요분석을 통해 생활서비스 증진을 위한 러번지역의 중심지 활성화 계획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주민 워크숍 및 시범활동과 같은 주민역량강화 단계를 기본계획수립 과정에 반영함으로써 주민들의 자생력을 강화시키고자 하였다. 연구는 대상지 현황 및 여건분석, 기본구상 및 발전방향설정, 세부사업계획, 사업추진계획의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현장조사와 주민수요를 기반으로 도보환경 개선, 공동체 기반시설 조성, 살기 좋은 생활환경 조성의 세 가지 목표를 설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러번지역이라는 발전된 형태의 농촌지역에서 주민들이 실제로 필요로 하고, 이미 구성되어 있는 지역공동체 등의 활동 단체를 사업의 실행주체로 참여시킬 수 있는 주민참여형 농촌중심지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늘어나는 러번형태의 지역 특성에 맞는 주민 자생적 농촌중심지 활성화 계획을 통해 지역의 능동적이고 성공적인 성장을 기대한다.

도시근교마을의 경관구조에 관한 연구 - 평택시 팽성읍 두정1리 마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Landscape Structure of Suburban Rural Village - Focused on Doojeong Maul in Pangsung, Pyeongtaek city -)

  • 양원석;정건채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17-24
    • /
    • 2017
  • The aim of this study is how to understand of structural and elemental landscape image in suburban village. Nowadays, it is well known fact that suburban villages are most likely to be invaded by urbanization. Therefore, the research is focused on how the image of suburb has been changed, what patterns have been created in residential area, what are the different outcomes from different distance, and what are the changes in types of buildings, at particular village called Doojeong in Pyeongtaek city. When collecting supplemental information, elders in village have been participated in comparison of traditional and foreign. The village shows significant characteristics of such phenomenon.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re are three results. First, ironically, the structural patterns of the village is concentric as seen on urban garden, yet they do not have central function. Second, traditional homes are transformed into functional shape. The most popular roof design that takes 65 percent of whole is modernized flat roof shape. Hanok (Korean traditional house) style is disappearing. Third, due to the massive barn buildings and their monochrome, the beauty of community and architectural harmony are buried.

농어촌지역(農漁村地域) 문화(文化)(집단(集團))마을 조성사업(造成事業)의 평가(評價)와 추진방향(推進方向) - 충남공주계롱지구(忠南公州鷄籠地區)와 강원횡역우천지구(江原橫域隅川地區)를 중심(中心)으로 - (Evaluation of the Cultural(Collective)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in Rural Area and It's New Policy Guidelines -With Respect to the Cases of Gongju Gyeryong, Chungnam Province and Hyeongsung Ucheon, Kangwon Province-)

  • 임재환
    • 농업과학연구
    • /
    • 제21권2호
    • /
    • pp.148-167
    • /
    • 1994
  • The gap of the quality of life and living environment between urban and rural area have been widened since the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oriented five year economic development plans started in 1963. To mitigate the gaps, Korean government had commenced the cultural(collective)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as a pilot cases such as Gyeryong and Ucheon projects from 1991. This paper contains first the concepts of cultural village, types of village formation, types of village development, allocation problems of housing sites, procurement of project costs and other problems experienced during constuction of the projects. The main policy guidelines for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cultural villages are as follows: 1. Cultural village development should be carried out in coincide with the present status of farm household incomes. 2. The countermeasures should be consistant with the general objective of the cultural village development institutionally. 3. Propaganda of the cultural village development in rural area is prerequisite to success the projects. 4. Favourable terms and conditions of credit loans as loan amount of 30 million won with interest rate of 3% per annum and 25 years repayment period including 5 years grace period should be given by the Government. 5. Special benefits in the tax system should be given to rural peoples in the cultural villages. 6. The cultural village development should b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s the cultural village development in rurban area and the cultural village development in rural a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