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un

Search Result 6,422,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도광판의 간격이 Chlorella vulgaris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ptical Panal Distances on the Growth Rate of Chlorella vulgaris in a Photobioreactor)

  • 최희정;이승목;유성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14-220
    • /
    • 2014
  • 본 연구는 도광판의 간격이 Chlorella vulgaris (C. vulgaris)의 증식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C. vulgaris (FC-16) ($3-8{\mu}m$)는 Jaworski's Medium 에 $22^{\circ}C$에서 15일 증식시킨 뒤 사용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네 개의 샘플을(Run 1: 225 mm 간격, Run 2: 150 mm 간격, Run 3: 112.5 mm 간격, Run 4: 90 mm 간격) 준비하여 도광판의 간격이 C. vulgaris의 증식률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실험하였다. 광효율은 Run 1이 86%, Run 2가 90%, Run 3가 92% 그리고 Run 4가 94%의 광효율을 나타내어 도광판의 간격이 짧을수록 광효율은 높았으며, 도광판의 간격에 따라 Run 1은 7일째, Run 2는 5일째, Run 3는 3일째 그리고 Run 4는 2일째에 최대 바이오매스 증식률을 나타내었다. 또한, 최대 증식률은 Run 4가 Run 1에 비해 3배 높았다. 그러나, 증식속도, 셀 당 클로로필 함량 및 단위면적 당 Cell volume 그리고 Doubling time은 Run 1과 Run 2에 비해 Run 3와 Run 4가 높았지만 Run 3과 Run 4는 크게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경제적인 부분을 고려한다면 바이오매스의 대량생산을 위하여 Run 3의 사용이 가장 효율적이라 생각된다. measured, and the results for the toxic effect was not observed.

시뮬레이티드 어닐링 기반 m-RUN 교착 회피 정책 생성 알고리즘 설계 (Design of an Algorithm for Generating m-RUN Deadlock Avoidance Policy Based on Simulated Annealing)

  • 최진영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59-6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티드 어닐링 알고리즘에 기반한 다중 RUN(multi-RUN: m-RUN) 교착 제어 정책 생성 알고리즘 설계에 대해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단순한 RUN DAP를 m개 생성한 후 이들의 합성에 의해 초기 m-RUN DAP를 정의하고 이를 점차적으로 개선시켜 나가는 것이다. 이 때 이웃(Neighbor) m-RUN은 현재 m-RUN에서 오직 한 개의 성분 RUN만을 랜덤하게 수정하여 생성하는 지역 탐색 기법을 적용하여 선택하였다. 또한 몇 가지 기본적인 시스템 구성을 가정하고 수치 실험을 적용하여 제안된 교착 제어 정책 성능의 우수성을 평가하였다.

퇴비화를 이용한 하수슬러지 처리에 있어서 적정 수분함량과 C/N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timum Moisture Content and C/N ratio of Sewage Sludge Treatment Using Composting)

  • 손현석;양원호;정문식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44-56
    • /
    • 1997
  • When sewage sludge is treated by cornposting, higher moisture content and lower C/N ratio on sewage sludge is problems. This paper project to alesolve two problems. The almost trends in run 3 of MC 70% are similar to these in run 1 and 4 of MC 65%. A retention time of the highest temperature (>50$\circ$C) and increase rate of temperature in run 3 are an affinity to these in run 4. Particularly, decrease rate of temperature in run 3 is slower than others and this data shows the more activity of thermal microbial in run 3 than that in others. C/N ratio trends in run 3 shows slow reaction in initial stage but, after 9 days, is similar to that in run 1 and 4. Carbon trends in each run are a similarity to C/N ratio trends. Temperature, MC, carbon and C/N ratio trends in run 5, whose C/N ratio is 15, show less microbial activity than that in run 6, whose C/N ratio is 20. But temperature increase of the beginning stage and pH of the final stage in run 5 are greater than that in run 6. Final MC and carbon content in run 5 and 6 have a similar values. That is, final MC in run 5 and 6 is 49.39% and 48.97% and final carbon content in each run is 25.15% and 22.20%. Expecially, a temperature increase and C/N ratio decrease rate of the beginning stage in run 5 are greater than these in run 6. This shows the shorter lag time in run 5 than lag time in run 6.

  • PDF

침지식 평판형 연속회분식 박반응기에서 유입 유기물 부하의 변화에 따른 영양염류의 제거 특성 (Nutrient Removal Characteristics on Organic Material Loadings in Submerged Flat Sheet Type Sequencing Batch Membrane Reactor)

  • 김승건;이호원;강영주
    • 멤브레인
    • /
    • 제20권3호
    • /
    • pp.241-248
    • /
    • 2010
  • $0.4\;{\mu}m$의 세공크기를 갖고 있는 평막이 침지된 연속회분식 반응기에서 유입 유기물 농도가 영양염류 제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분리막의 여과성능과 영양염류 제거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유입 유기물의 농도를 200 mg/L (Run-1), 400 mg/L (Run-2) 및 800 mg/L (Run-3)로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실험하였다. COD/N 및 COD/P의 비가 증가할수록 T-N 및 T-P의 제거율은 모두 증가하였다. Run-1, Run-2 및 Run-3에서 T-N의 평균 제거율은 각각 28.1, 32.6 및 90.4%이었으며, 투과수의 T-N 평균 농도는 각각 32.0, 30.0 및 4.3 mg/L 이었다. 또한 Run-1, Run-2 및 Run-3에서 T-P의 평균 제거율은 각각 13.6, 35.3 및 93.1%이었으며, 투과수의 T-P 평균 농도는 각각 3.11, 2.33 및 0.25 mg/L이었다.

광생물반응기에서 도광판의 두께가 Chlorella vulgaris 증식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ickness of Optical Panel on the Growth Rate of Chlorella vulgaris in Photobioreactor)

  • 최희정;이승목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70-275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iency of thickness of optical panel (OP) on the growth rate of Chlorella vulgaris. The size of Chlorella vulgaris (FC-16) was $3-8{\mu}m$, having round in shape. The cells of Chlorella vulgaris was cultured in the Jaworski's Medium with deionized water at $22^{\circ}C$ for 15 days. For this experiment, three OP samples were prepared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thickness of OP on the growth rate of Chlorella vulgaris; 4 mm OP with LED (Light Emitting Diode) (Run 1), 6 mm OP with LED (Run 2) and 8 mm with LED (Run 3). The diffuse rate was reached 86%, 91% and 92% for Run 1, Run 2 and Run 3, respectively. Average biomass of Run 2 and Run 3 were measured 11.18% higher than that of Run 1. However, the specific growth rate for all fractions were almost same. In addition, chlorophyll content per cell and cell volume were found to be slice difference between Run 2 and Run 3. Therefore, Run 2 has more effect on growth rate of biomass for Chlorella vulgaris than Run 1 and Run 3.

The Effect of Initial Margin on Long-run and Short-run Volatilities in Japan

  • Kim, Sangbae;Jung, Taehun
    • East Asian Economic Review
    • /
    • 제17권3호
    • /
    • pp.311-332
    • /
    • 2013
  •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initial margin requirements on long-run and short-run volatilities in the Japanese stock market using the Component GARCH model. Our empirical results show that when we do not divide the margin requirement into positive and negative changes, increasing margin requirement is effective for reducing long-run volatility, while not effective in short-run volatility. However, separating the positive and negative changes in margin requirements reveals the fact that the negative changes in margin requirements decrease long-run volatilities, while the higher margin requirements increase short-run volatilities in the Japanese stock market. This suggests that if the Japanese financial authorities intend to increase margin level to reduce volatility, unexpectedly, short-run volatility would be even higher.

일수문량의 RUN-LENGTH 및 RUN-SUM의 SIMULATION (Simulation of Run-Length and Run-Sum of Daily Rainfall and Streamflow)

  • 이순택;지홍기
    • 물과 미래
    • /
    • 제10권1호
    • /
    • pp.79-94
    • /
    • 1977
  • 본 연구는 Run-Length와 Run-Sum에 의한 강우량과 하천유량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구명하고, 이로부터 모의발생 모델(Simulation Model)을 설정하여 검토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분석에 있어서는 우리나라의 주요도시(서울, 대구 및 부산)의 일강우량과 주요하천(한강, 낙동강 및 금강)의 일류량 자료들을 사용하였다. 또한 해석에 있어서는 Run-Length와 Run-Sum에 대한 각각의 분포형 분석으로부터 Weibull 분포 및 1-변수지수 분포를 하고 있음을 알았으며, 이로부터 Monte Carlo 기법(Monte Carlo technique)을 기초로 하는 Weibull모델(Weibull model)과 1-변수지수 모델(One-Parameter Exponential Model)에 의해서 Run-Length와 Run-Sum을 모의발생 시켰다. 그 결과 기록치(Historical Data)에 근사한 모의발생 자료(Simulation Data)를 얻었다.

  • PDF

복합형 공정을 이용한 양돈폐수의 고도처리 (Advanced Treatment of Swine Wastewater using Hybrid-process)

  • 김충곤;강선홍;신현곤
    • 유기물자원화
    • /
    • 제12권3호
    • /
    • pp.126-133
    • /
    • 2004
  • 본 연구는 복합형공정을 이용한 고농도 양돈폐수의 유기물 및 질소 인 제거율을 검토하기 위한 것으로 단일 SBR공정과 복합형 공정을 각각 Run I(SBR), Run II(Struvite Tank - SBR)로 명명하고 고도처리 반응기의 유무에 따른 각 Run별 처리효율을 비교하였다. 각 Run별 유기물 제거율을 살펴보면 Run I의 경우 TS 제거율은 43%, VS 제거율은 39%, SS 제거율은 88%, COD 제거율은 70%이고 Run II의 TS 제거율은 52%, VS 제거율은 52%, SS 제거율은 88%, COD 제거율은 82 %으로 struvite tank가 설치된 Run II의 유기물 제거율이 더 높았다. 또한 각 Run별 암모니아와 T-P제거효율은 Struvite Tank를 설치한 Run II의 암모니아와 T-P의 제거율이 각각 90%와 57%로, Run I의 56 %와 49%보다 효율이높았다. 특히 암모니아의 경우 Run II가 Run I 보다 매우 높은 효율을 보였으며, Struvite Tank의 설치가 질소와 인의 제거에 매우 효율적인 공정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실험 결과 고도처리반응기(Struvite Tank)와 SBR(Sequencing Batch Reactor)을 조합한 복합형 공정이 고농도의 양돈폐수처리에 매우 적합한 공정으로 판단되어진다.

  • PDF

온도를 공기량으로 제어한 음식물 쓰레기 호기성 퇴비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erobic Composting of Food Waste with Controlling Temperature by Air Flow Rate)

  • 황선현;신창호;신부영;조무환
    • KSBB Journal
    • /
    • 제14권5호
    • /
    • pp.621-627
    • /
    • 1999
  • 용량 450 L의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 장치를 설계하여, 유입공기량, 교반, 접종 조건에 변화를 주어 퇴비화 장치의 성능을 실험하였다. RUN 1은 1일 2회 5분간 교반하고, 유입공기량을 22.7 L/min로 고정하였다. RUN 2, 3에서는 지속적으로 교반하고, 유입공기량은 퇴비내부의 온도를 5$0^{\circ}C$ 이상 유지하고, 또 산소농도를 7 mol% 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10 L/min, 15 L/min, 20 L/min으로 수시로 조절하였다. RUN 3는 접종효과를 보기 위하여 퇴비에 완성된 퇴비를 10 wt% 접종하여 RUN 1, 2와 비교하였다. 지속적으로 교반하고, 온도와 산소 농도에 따라 유입공기량을 조절한 RUN 2와 3에서 RUN 1보다 더 빠른 퇴비화가 이루어졌다 .그리고, $CO_2$농도와 휘발성 유기물 감소에서는 접종한 RUN 3가 RUN 1, 2보다 높았으나, C/N 비, pH 변화, 미생물 개체수에서는 뚜렷한 접종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월유출량에 대한 Run-Length의 해석 (Analysis of Surplus and Dficit-using Runs for Monthly Streamflow)

  • 강관원;안경수;김양수
    • 물과 미래
    • /
    • 제18권4호
    • /
    • pp.317-325
    • /
    • 1985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한강 및 금강의 중요관측지점의 월평균 유출량을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먼저 일정유량(Truncation level) 별로 Run-length와 Run-sum에 대한 2-변수 Gamma 분포 및 대수정규분포의 적합성 여부를 검토하였던 바 Gamma 모델이 적합한 것으로 판명된 자료와 실측치와 비교하였다. 그리고 Run-length 및 Run-sum에 대한 일정유량별로 평균치의 변화에 대한 성질을 구명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