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we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7초

비매듭 금속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관절경적 방카트 복원술: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의 비교 (Clinical & Radiologic Result of Arthroscopic Bankart Repair Using Knotless Suture Anchor)

  • 오정환;이상훈;박홍근;전숙하;박준석;김철기;박진영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5-141
    • /
    • 2008
  • 목적: 비매듭 금속 봉합 나사못(knotless metal suture anchor)을 이용한 관절경적 방카트(Bankart) 복원술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2월부터 2005년 1월까지 비매듭 봉합 나사못을 이용하여 관절경적 방카트 복원술을 시행하였고 1년 이상 추시 가능했던 6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술 후 평균 추시 기간은 34개월이었다. 평가는 Rowe score, 관절 운동 범위, 주관적 시각 척도(VAS)에 의한 통증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수술 전 후 방사선학적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과: Rowe scoring system에서 술 전 43.3에서 술 후 95.6로 평가되었다. 관절운동범위는 최종 추시시 정상 팔에 비해서 거의 차이는 없었다. 주관적 시각 척도에 의한 통증의 정도는 술 전 3.3에서 술 후 0.5로 측정되었다. 방사성 저음영선은 약 15예에서 관찰되었다. 15예 중 2예에서 재탈구 및 나사못 관절병증으로 재수술을 시행하였고 Odds Ratio상 2.6배의 견관절 불안정성을 호소하였다. 결론: 비매듭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방카트 복원술은 유용한 방법이나 외래 추시 중 나타나는 나사못 주위의 방사성 저음영선은 불량한 예후를 암시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겠다.

  • PDF

전방 견관절 불안정성에서 Hill-sachs 병변의 관절경적 Remplissage (Using the Arthroscopic Remplissage of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with Hill-Sachs Lesion)

  • 고상훈;정광환;신승명;박한창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4권1호
    • /
    • pp.53-58
    • /
    • 2011
  • 목적: 저자들은 Remplissage를 이용한 Hill-Sachs 병변 복원술을 시행 후 1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환자들의 견관절의 안정성 및 임상적, 기능적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2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본원에서 'Remplissage'술기를 시행하였던 12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27.9세였으며 모두 남성이었고, 평균 추시 기간은 19개월이었다. 술 전, 후 평가는 견관절의 운동 범위, ASES 점수, KSSI 점수, ROWE 점수, 술 후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포함하였다. 결과: 술 후 평균 16개월에 견관절 기능적 평가에서 ASES 점수는 술 전 평균 50.8점에서 술 후 평균 78.3점으로, KSSI 점수는 술 전 평균 44.5점에서 술 후 평균 81.0점으로, ROWE 점수는 술 전 평균 40.2점에서 술 후 평균 84.3점으로 향상되었고, 모든 환자에서 견관절 운동범위는 전방 거상 평균 178.6${\pm}$18.6 (165~180)도, 외회전은 평균 49.3${\pm}$10 (43~60)도로 나타났다. 결론: 광범위한 Hill-Sachs 병변이 동반된 재발성 견관절 불안정성에 대한 Remplissage 술기를 시행 후 1년 이상 추시 결과 견관절의 안정성 및 임상적, 기능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봉합나사를 이용한 Bankart 봉합술의 관절경적 및 개방적 수술의 비교 (Suture Anchor Capsulorraphy in the Traumatic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Open Versus Arthroscopic Technique)

  • 김승호;하권익;김상현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권2호
    • /
    • pp.157-169
    • /
    • 1999
  • 외상성 전방 견관절 불안정성을 가진 88명의 환자의 견관절 89례에 대해 봉합나사를 이용한 관절경적 또는 개방적 Bankart 봉합술을 시행하고 평균 39개월 후에 Rowe와 UCLA 점수, 재발율, 일상생활로의 복귀, 그리고 운동 범위 등을 평가하였다. 관절경적 수기는 최소한 3개의 봉합나사를 이용하였고, 관절낭의 중첩과 상방 이동술을 동시에 실시하였다. 개방적 Bankart 봉합술을 시행 받은 견관절30례 중 26례(86.6%)에서, 관절경적 Banltart 봉합술을 시행한 견관절 49례 중 44례(91.5%)에서 매우 우수(excellent) 또는 우수(good)을 나타내었다. 관절경적 시술을 받은 그룹에서 Rowe (P=0.041)와 VCLA 점수(P=0.026)는 더 좋은 결과를 보였다. 각각의 그룹에서 재탈구는 2례가 발생했다. 두 그룹사이에 외회전 소실이나 이전 생활로의 복귀에서는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수술 후 불안정은 봉합나사의 수가 적었던 환자들의 그룹에서 훨씬 더 많이 나타났다. 봉합나사를 이용한 관절경적 관절낭 봉합술은 개방적 Bankart봉합술에 비해 같거나 또는 더 좋은 결과를 보였다.

  • PDF

기후변화를 고려한 포장 보조기층의 적정입도분포에 관한 실험연구 (A Experimental Study on the Proper Particle Gradation of Sub-base to Consider the Recent Climate Change)

  • 최재순;한누리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7호
    • /
    • pp.51-56
    • /
    • 2013
  • 최근, 시강우량의 최대치의 기록이 매년 바뀌고 있으며 이로 인해 도로의 침수피해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새로운 배수포장체가 개발되고 있으나 보조기층에 대해서는 별도의 고려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보조기층의 강도와 투수성을 함께 고려한 적정입도분포 기준을 제안하며, 이때 실내실험을 통해 각각의 강도특성 및 투수성을 비교하고자 한다. 실험에 앞서 국내외 보조기층 기준에 대한 시방기준을 토대로 4가지의 대표적인 입도분포를 산정하고 이를 실험하였다. 실험에 있어서 강도특성은 회복탄성계수 산정을 비교하고, 투수특성은 수직방향의 상향 및 하향 투수계수를 비교하였다. 회복탄성계수 산정은 $M_R$ 시험을 통하였으며, 이때 본 연구에서는 진동삼축시험기기를 보완하여 이를 구현하도록 하였다. 투수시험의 경우에는 2가지 투수시험이 수행되었으며, 하향의 흐름에 대한 투수시험으로는 기존의 변수위 투수시험이 적용되었고, 상향의 경우 직경 150mm의 중형 Rowe Cell 투수시험기를 이용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회복탄성계수와 투수계수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포장체 보조기층의 강도특성과 투수특성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적정입도분포를 선정하고, 이를 통해 적정입도기준 마련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노인의 성공적 노화 요소의 삶의 만족도 영향 연구: 성인자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Effect of the Factors of Successful Aging on the Life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Adult Children -)

  • 김미령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7호
    • /
    • pp.159-182
    • /
    • 2017
  • 본 연구는 고령화연구패널 4차와 5차의 종단적 자료를 활용하여 Rowe와 Kahn(1997)의 성공적노화요소들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65세 이상 노인1,385명이다. 분석방법으로는 인구사회적 변인, 위계적인 특성을 갖고 있는 질병과 장애의 예방, 신체 인지기능, 사회활동, 자녀관련 변인을 차례로 투입하는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노년기에는 여성과 남성의 평균수명의 차이로 인하여 배우자 유무에 따른 성공적 노화요소도 차이가 있으므로 배우자 유무에 따른 차이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Rowe와 Kahn의성공적 노화요소인 질병과 장애의 예방, 신체 인지기능 유지, 적극적인 사회활동 외에도 중요한 성공적인 노화요소라고 할 수 있는 자녀관련 변인을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배우자 유무에따른 성공적 노화 요소의 차이검증에 의하면 배우자가 없는 노인이 배우자가 있는 노인보다연령이 높았으며 자녀동거도 두 배 이상 높았다. 규칙적인 운동과 기억력은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적극적인 사회활동 중에서는 친구, 친척, 이웃의 만남이 유의한 영향을미쳤으며 자녀관계 중 전화나 메일 등의 잦은 접촉은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성공적 노화요소 중 삶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성공적 노화요소 중에서도 조작정의에 따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다르게 나타났다.

견관절 외상성 불안정성 관절와 병변 (Glenoid lesion in Traumatic Anterior Instability of Shoulder)

  • 이승준;박진영;금정섭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0권1호
    • /
    • pp.23-26
    • /
    • 2007
  • 관절와 병변은 급성 외상으로 인한 골절뿐 아니라 불안정성으로 인한 골 침윤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통상의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하여 진단을 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전방 탈구와 동반된 전방 관절와 골절의 빈도는 5.4%에서 32%까지 보고되었다. Hovelius 등이 226명의 탈구환자를 대상으로한 연구에서 8%의 관절와 골절이 있었다고 보고하였고, 노령의 환자에서 약간의 빈도가 증가한다고 하였다. 또한 Rowe는 전방 관절와 골절이 있는 27명의 환자에서 기계적 안정성의 결함으로 62%의 재발성 탈구가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보다 최근의 방카르트 술기에 대한 보고에서 수술적 처치를 한 환자중 44%가 관절와 골절을 동반하였다고 보고하였다. Rowe 와 Zarins는 다발성 전방탈구 환자에서 관절와 병변이 잘 치료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다른 결과를 낸다고 보고하였다. 전자에 따르면, 관절와 병변을 진단하는 것은 중요하며 환자의 최종적 예후는 이를 어떻게 치료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고 하였다. 관절와 상완관절의 불안정성에서 동반된 관절와 병변의 진단은 보존적 치료시나 수술적 치료 시 모두 중요한 인자라고 하겠다.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의 관절경하 재건술 - 전하방 관절낭 중첩술과 하방 관절낭 중첩술의 전향적 비교 - (Arthroscopic Reconstruction in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 Prospective Comparison of Anteroinferior Plication Versus Inferior Plication -)

  • ;고상훈;전형민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1호
    • /
    • pp.27-32
    • /
    • 2009
  • 목적: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에서 관절경 술식을 이용한 전하방 관절낭 상방전위 및 중첩술과 부가적인 하방 관절낭 중첩술과의 추시 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2005년 3월부터 2007년 8월까지 견관절의 전방 불안정성을 보인 환자중에서 전하방 관절낭 중첩술을 시행하고 하방 관절낭 중첩술을 추가로 시행하지 않은 42예(1군)와 부가적인 하방 관절낭 중첩술을 시행한 33예(2군)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는 1군이 22.5(17~31)세, 2군이 21.8(16~30)세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1군이 23.5(12~45)개월, 2군이 20.1 (12-49)개월이었다. 술 전과 술 후 6개월, 1년, 최종 추시에서 운동 범위와 Rowe점수를 측정하였고 합병증의 빈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Rowe score는 1군에서는 술 전 평균 20.6 에서 술 후 최종 추시에서 86.8 로, 2군에서는 술 전 평균 20.5 에서 술 후 최종 추시에서 94.1 로 개선되었다.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에서 관절경 하 재건술은 모든 군에서 좋은 결과를 보였지만 1군에서보다 2군에서 더 좋은 결과를 보였고(p<0.05), 합병증의 비교에서 2군이 합병증이 더 적었다(p<0.05). 결론: 전하방 관절낭 중첩술과 부가적으로 시행된 하방 관절낭 중첩술은 재발성 견관절 전방 탈구의 합병증의 빈도를 낮추고 결과를 호전시킬 수 있는 술식으로 생각된다.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에 대한 관절경 치료 결과: 금속 나사못 및 흡수성 나사못 고정의 결과 비교 (Outcomes after Arthroscopic Repair of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after Metal Anchor to Biodegradable Anchor Fixation)

  • 최창혁;김신근;한보람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1권2호
    • /
    • pp.158-164
    • /
    • 2008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관절경하 Bankart 수복술에서 금속 봉합나사못과 생체흡수성 봉합나사못을 사용 시의 결과를 비교하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0월에서 2007년 3월까지 견관절 전방 불안정에 대해 관절경하 Bankart 수복술을 시행한 26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금속 봉합나사못 군(GI)은 15명, 생체흡수성 봉합나사못 군(GII)은 11명이었다. 조사대상의 평균연령은 27.4세였고, 평균 추시기간은 14개월이었다. 기능평가는 KSSI 점수, Rowe 점수, ASES점수, UCLA 점수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금속 봉합나사못 군(GI)에서 KSSI, ASES점수, UCLA점수, Rowe 점수들의 평균값의 상승은 각각 20.6, 24.0, 4.0, 45.5이었고, GII에서는 각각 21.0, 23.6, 4.6, 48.9였다. 최종 추시 시 두 군에서 기능평가상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p>.05), GII에서 금속돌출로 인한 문제와 외상에 의한 재탈구가 각각 1예씩 있었다. 결론: 두 군 모두 만족스런 결과를 보였으며, 생체흡수성 봉합나사못을 사용할 경우 금속으로 인한 문제를 피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 추천할 만한 술식으로 생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