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ute Length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35초

최단경로(最短經路) Algorithm 의 계산능률(計算能率) 비교(比較) (Efficiency of Shortest - route Algorithms)

  • 정수일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67-71
    • /
    • 1975
  • This paper studies the efficiency of four algorithms in determining the shortest-route length between two specified nodes of a network in which every pair of nodes is connected by two nonnegative length arcs. The efficiency is measured in terms of number of additions and comparisons in computation of the shortest-route length. Also, each algorithm is programmed on the IBM 1130 for solving for example problems, and the computing time is measured for further efficiency comparisons.

  • PDF

ES모델을 이용한 해상교량 하부 적정 직선항로 길이에 대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on Proper Straight Route Distance under Marine Bridge using ES Model)

  • 박영수;최광영;박상원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3-139
    • /
    • 2018
  • 해상교량 하부의 직선항로 길이 확보는 선박 통항 안전을 위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그러나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에 따르면 해상교량 하부 직선항로 길이는 선박길이의 8배로 획일적인 가이드라인을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적정 해상교량 하부직선길이를 도출하기 위해 ES 모델을 이용하여 항로폭, 통항량, 항로의 곡률, 직선항로길이에 따른 위험도 비율을 확인했다. 확인 결과 항로의 곡률이 $45^{\circ}$의 경우 항로길이가 3L에서 10L로 길어짐에 따라 위험도 비율이 2.27 % 감소했다. 곡률에 따른 위험도는 직선항로의 길이가 3L의 경우 곡률이 $45^{\circ}$에서 $0^{\circ}$로 변하면서 위험도 비율이 4.83 %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항로폭 400 m, 시간당 발생선박이 20척의 조건에서 항로의 곡률별, 직선항로에 따른 위험도 비율은 최대 1.45 %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해상 교량 건설 시 항로의 혼잡도 및 곡률에 따라 일정 길이 이상의 직선항로가 필요함을 검증했다.

대중교통 지선노선 선정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eeder Transit Route Choice Technique)

  • 배기목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79-484
    • /
    • 2003
  • 지선버스 노선선정의 경우, 전체 네트워크로서의 노선선정 보다는 지하철 역 등의 특정 기ㆍ종점과의 연계차원에서 단일 노선으로 취급하여 노선선정을 행함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관점 하에 정류장 대기시간, 환승시간 등은 고려하지 않고, 일정 기ㆍ종점을 연결하는 지선노선 선정을 위한 간편 기법을 구축하였다. 검토대상 도로망 한정, 허용노선장에 의한 후보노선의 열거, 노선평가치에 의한 최종 노선의 선정 등의 3가지 단계를 통해 지선기능으로서의 마을버스 노선을 선정하는 기법을 구축하였다.

다양한 경로속성을 고려한 최적경로 탐색 (Search for an Optimal-Path Considering Various Attributes)

  • 한진석;전경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45-153
    • /
    • 2008
  • 기존의 최단경로 탐색모형들은 주로 경로의 단일 속성만을 고려한다. 그러나 실제로 통행자가 단일 속성만을 고려하여 경로를 선택하는 경우는 드물며, 대부분의 경로는 통행시간이나 경로길이 또는 통행자의 개인적인 선호 등과 같은 다양한 속성들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 선택되어진다. 따라서 최적경로를 탐색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다양한 속성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경로속성들을 고려하기 위하여 이산선택모형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의 노드별 효용을 산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최대의 효용을 가지는 경로를 탐색한다. 경로선택모형을 구축하기 위하여 경로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통행시간, 지체시간, 경로길이, 신호교차로수, 회전수, 전용도로의 포함비율 6가지로 선정하고, 모형의 모수를 추정하기 위한 현시선호자료를 구하기 위하여 서울시와 인접 신도시 간의 기종점 5개에 대한 경로를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경로선택모형의 함수형태로는 다항로짓모형을 사용하였으며, 모수추정 결과 통행시간과 신호 교차로수, 전용도로의 포함비율을 제외한 경로길이, 지체시간, 회전수를 가지고 모수를 추정한 결과가 통계적 유의성이 가장 높은 모형으로 도출되었다. 경로탐색 알고리즘으로는 도심부에서 U-turn과 회전제한의 반영이 가능한 기존의 수정형 덩굴망 알고리즘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구현하여 실제 네트워크에 적용하였다.

유전알고리즘을 이용한 토사운반 최적경로 탐색 방법론 (Methodology for Selecting Optimal Earthmoving Haul-Routes using Genetic Algorithm)

  • 곽한성;이창용;이동은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4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4-5
    • /
    • 2014
  • Planning earthmoving haul-route must be preceded for appropriate equipment fleet assignment. However, traditional haul-route planning methods have limitations relative to practical usage because multiple variables (e.g., grade/rolling resistance, length, equipment's weight etc.) should be considered at a time. Genetic algorithm(GA) was introduced to improve these traditional methods. However, GA based haul-route planning method still remains in inefficiency relative to computation performance. This study presents a new haul-route searching method that computes an optimal haul-route using GA. The system prototype is developed by using MATLAB(ver. 2008b). The system identifies an optimal haul-route by considering equipment type, soil type, and soil condition.

  • PDF

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 환경에서 경로 신뢰성 분석 (Analysis of Route Stability in Mobile Ad Hoc Networks)

  • 이도현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3-19
    • /
    • 2011
  • 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노드들은 불규칙한 이동성을 갖기 때문에 소스 노드와 목적지 노드 간의 초기 경로 설정 시 임의의 시간동안 경로 유지가 가능한 최적의 중계 노드들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의 분석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중계 노드들 간의 초기 거리 및 이동 속도를 고려한 링크 유지 확률을 유도하고 임의의 시간 동안 두 중 계노드 간 링크 유지가 가능한 최적의 거리를 제시하며, 이를 기반으로 임의의 두 노드 간에 설정되는 경로의 신뢰성을 분석한다.

특성 다각형에서 최소링크의 경비원 경로를 구하는 알고리즘 (An algorithm for finding a watchman route with minimum links in the characteristic polygons)

  • 류상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9A권4호
    • /
    • pp.595-602
    • /
    • 2002
  • 다각형의 내부를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감시하는 경비원 경로는 길이 또는 링크의 최소화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최소링크의 경비원 경로(watchman route with minimum route)는 경로 진행에서 발생하는 방향 전환의 횟수가 최소인 경비원 경로이다. 본 논문에서는 특성 다각형인 약 가시 다각형(weakly visible polygon)에서 최소링크의 경비원 경로를 구하는 $O(N^2)$시간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선박동적영역과 충돌위험평가식을 결합한 항해위험성평가모델 전개 (Establishment of Navigational Risk Assessment Model Combining Dynamic Ship Domain and Collision Judgement Model)

  • 김원욱;김창제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6-42
    • /
    • 2018
  • 이 연구는 운항자가 항해 중 위험을 느끼는 고정 및 이동 물표에 대한 해상교통위험성평가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선박 길이와 속력, 선박조종성능이 고려된 동적선박영역을 기초로 한 충돌위험평가식을 구하였다. 특히, 동적선박영역과 충돌위험평가식을 하이브리드 결합하여 자선의 크기, 속력 등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지표화한 항해위험성평가모델을 검토 및 개선하고자 한 것이다. 기존 항해위험성평가 모델에 적용이 부족한 속장비(speed length ratio) 즉, 선박의 길이와 속력에 대한 비가 고려된 새로운 형태의 해상교통위험성평가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 결과 무차원 속력 즉, 속장비가 클수록 CJ 값이 크며, CJ 값은 속장비에 의해 잘 표현되고 있다. 또한, 속장비가 크면 속장비가 작은 경우보다, 보다 먼 거리에서부터 [주의], [경계], [위험] 또는 [매우위험]상태에 도달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위험항로 회피 또는 최적항로 구축, 방파제폭이나 교량경간 등을 포함한 항로나 항만개발, 연안항해용 안전해도 개발 및 향후 자율운항선박과 같은 스마트선박의 운항 중 충돌방지와 최적항로 선정에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Spatial experience based route finding using ontologies

  • Barzegar, Maryam;Sadeghi-Niaraki, Abolghasem;Shakeri, Maryam
    • ETRI Journal
    • /
    • 제42권2호
    • /
    • pp.247-257
    • /
    • 2020
  • Spatial experiences in route finding, such as the ability of finding low-traffic routes, exert a significant influence on travel time in big cities; therefore, the spatial experiences of seasoned individuals such as taxi drivers in route finding can be useful for improving route-finding algorithms and preventing using routes having considerable traffic. In this regard, a spatial experience-based route-finding algorithm is introduced through ontology in this paper. To this end, different methods of modeling experiences are investigated. Then, a modeling method is chosen for modeling the experiences of drivers for route finding depending on the advantages of ontology, and an ontology based on the taxi drivers' experiences is proposed. This ontology is employed to create an ontology-based route-finding algorithm.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ose of Google maps in terms of route length and travel time at peak traffic time. According to the results, although the route lengths of route-finding method based on the ontology of drivers' experiences in three cases (from nine cases) are greater than that based on Google maps, the travel times are shorter in most cases, and in some routes, the difference in travel time reaches only 10 minu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