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ot growth zone

검색결과 202건 처리시간 0.024초

USGA 공법으로 조성된 그린의 토앙물리성과 Bentgrass의 생육 (Turfgrass Establishment of USGA Putting Greens Related with Soil Physical Properties)

  • 권동영;이정호;이동익;주영규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95-102
    • /
    • 2005
  • USGA green specification is currently accepted in construction method of Kore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the factors influencing growth of turfgrass associated with soil physical properties of soil root-zone on golf green constructed with USGA method. Three putting greens in poor turfgrass and one in good turfgrass condition were selected for investigation on one golf course site at mid-South Korean peninsula. Soil hardness, moisture content, root length, and turf density were measured on-site greens, and soil physical properties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also analyzed in laboratory. As a result of on-site surveys and soil physical tests in laboratory, soil physical properties were most important factors which influenced on turfgrass growth at tested greens. The results of soil particle analysis on green No. 2, in good turf condition, matched USGA sand particle recommendations. But those greens such as Nos. 1, 11 and 16, in poor putting greens, showed high soil compaction and improper soil particle distribution. Those factors created low leaf density, poor root depth, and higher moisture content compared with lower part of topsoil. Such phenomena caused inadequate turfgrass growth with soil hardening associated with poor drainage. Therefore, declines of soil physical properties associated with improper particle distribution caused a major factor influencing on turfgrass growth in golf green. Adequate test of soil particle analysis by USGA specification and proper construction method followed by adequate turf maintenance should be performed to obtain optimal turf quality on putting green.

딸기 팽연왕겨 차근육묘를 위한 혼합상토 조성이 자묘의 지상부 생육과 발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xed Bed Soil on Growth of Aerial Parts and Roots of Daughter Pants for Nursery Field Srawberry Seedling Raising with Expanded Rice-hull)

  • 박갑순;김영칠;김명선;안승원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89-196
    • /
    • 201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effect of mixed bed soil on growth of aerial parts and root zone of daughter plants for nursery field strawberry seedling raising with expanded chaff. The plant height and leaf area of daughter plants were highest or largest in the mixed soil of ERH +RH (100:0, v/v), followed by ERH+RH (75:25). The higher the mixing ratio of RH, the shorter the plant height or the smaller the leaf area. A similar tendency was observed in fresh weight. Within a root diameter of 0-0.4 mm and a root height range of 0.4-0.8 mm, root surface area and volum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etter with treatment of ERH+RH (100:0, v/v) compared to those of roots treated with ERH+RH (75:25), ERH+RH (50:50) and ERH+RH (25:75). The growth rate of aerial parts and root zone of daughter plants were noticeably lower in two mixing ratios of 50:50 and 25:75. According to the mixing ratios of ERH+CD surface treatment, the number of roots was greatest in plants treated with ERH+CD (80:20, v/v) and ERH+CD (85:15) on August 1. However, the number of roots was highest in plants treated with ERH+CD (85:15, v/v) on August 15. Root length was longest in the plant with no treatment, and drastically shortened from ERH+CD (90:10, v/v) in both surface and mixed treatment. Although root weigh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RH+CD (90:10, v/v) treatment, its increase was gradual. The rate of root growth was highest in ERH+CD (85:15). Thes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the content ratios of mixed soil ERH+RH (75:25, v/v) or below and ERH+CD (85:15) are thought to be desirable for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seedlings.

잔디상토로서의 제지스럿지와 연탄재 이용에 관한 연구 (Use of Paper Mill Sludge and Briquet Ash as Root Zone Soil Mixtures for Thrfgrass Culture)

  • 구자영;김태일;안주원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22
    • /
    • 1992
  • To determine the use of waste materials as root zone soil mixtures for turfgrass culture, the effects of paper mill sludge and briquet ash on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 and growth of turfgrasses were examined. Three turfgrass species of zoysiagrass(Zoysia japonicaSteud.). kentycky bluegrass(Poa pratensis L. 'Ram I') and creeping bentgrass(Agrostis panistris Huds 'Persucross') were cultured in 32cm diameter plastic pots containing various soil mixtures. The basic ingredients used for mixtures included sand(SD), field soil(SL), paper mill sludge(PS), sphagnum peat moss(PM) and briquet ash(BA). Seven combinations using these ingreients were mixed in different percentage by volume as follows: SD+SL+PM(80:10.10), SH+SL+PS(80:10:10), SD-PM(80:20), SD+PS (80:20), SD+BA(80:20), SD+BA+PM(60:20:20) and SD+BA+PS(60:20:20). 1. Paper mill sludge showed pH of 6.6, more than 30% of organic matter content, and higher concentrations of total N, P, k, Ca, Mg and CEC. Bulk density, fild moisture capacity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soil mixtures were increased by the comimation of 10~20% PS by volume. 2. Briquet ash showed pH of 8.0, and higher levels of P, k, Ca and Mg than those of field soiks. Bulk density, field moisture capacity and hardenss of soil mixtures were increased but vertical water flow rate and electrical conductivity were decreased by the combination of 20% BA by volume. 3. Phytotoxic effects of PS and BA on growth of turfgrasses were not found. Shoot growth of all three species was higher in soil combination of SD+BA+PS than that of SD+SL+PM added with fertilizer. However, root growth was better in soil mixtures combined with PM. Soil mixtureomposed of 60% SD, 20% BA and 20% PS by volume was most effective on growth of all three species. 4. Paper mill sludge resulted in higher N level in the leaf tissue.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such as Cd and Ph did not vary significantly among soil mixtures and species. However, the Mn level was 2~3 times higher in plants growh in mixtures containing PM compared with others, and especially it was higher in creeping bentgrass than other species.

  • PDF

시설원예 태양열 시스템의 효율적 이용과 자동화 장치개발(2) -지중가온에 의한 오이 생육 및 수량성 향상에 관한 연구- (A Development of Automation system and a way to use Solar Energy System Efficiently in Greenhouse(2) - Study on improvement of growth and yield of a cucumber in soil heating -)

  • 김진현;오중열;구건효;김태욱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5-33
    • /
    • 1998
  • 겨울철 오이 시설재배에서 태양열 시스템을 이용한 지중가온의 효과를 구명하고자 지중 40 cm에 15 mm의 PPC파이프를 130 cm이랑 에 4열 매설한 후 지중 20 cm의 지온을 $22~23^{\circ}C$로 설정한 후 1996년 11월 7일부터 1997년 1월 30일까지 일정한 온도로 유지, 관리하여 무가온구와 가온구의 지상부, 지하부 및 수량을 비교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중가온에 의한 지온확보는 가온구는 15~20 cm에서 $22^{\circ}C$ 정도의 평균온도를 확보할 수 있었고, 무가온구는 평균 $17~18^{\circ}C$ 정도였다 2) 정식 30일 정도에서 초기생육은 가온구가 초장, 경경, 엽수, 엽면적 등 모두 증가하였으며 특히 초장 27%, 엽수 51%, 엽면적은 150% 정도 증가하였다. 또 지상부 평균 증가율도 관행대비 가온구 증가율이 117% 정도였다. 3) 가온구의 지하부 뿌리의 생장성이 관행구에 비하여 평균 56% 정도 증가하였다 4) 과수의 수량면에서도 총과수가 무가온구 313개, 가온구 614개로 가온구가 196% 정도 증수되었다.

  • PDF

다양한 생물반응기 형태가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부정근의 생장과 Ginsenoside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ious Bioreactors on Growth and Ginsenoside Accumulation in Ginseng Adventitious Root Cultures(Panax ginseng C.A. Meyer))

  • 김윤수;한은주;백기엽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1권3호
    • /
    • pp.249-253
    • /
    • 2004
  • 생물반응기의 형태에 따른 인삼부정근의 생장과 ginsen-side의 생산능력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원형의 상부와 하부에 5 cm의 bubble column을 가진 bulb type bubble bioreactor (BU)에서 건물중은 41.92 g으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으며, cylindric tube bioreactor (CT)에서 건물중이 38.55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들 두 생물반응기의 초기 kLa 값은 BU 생물반응기에서 6.98 h$^{-1}$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반대로 bubble column이 없는 CT 생물반응기에서 5.25 h$^{-1}$으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초기 kLa값의 차이는 부정근내의 이차대사산물인 ginsenoside의 함량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BU 생물반응기에서 bubble column의 길이를 기존의 5 cm에서 10 cm로 연장시켰을 때, 초기 kLa값이 6.52 h$^{-1}$에서 7.80 h$^{-1}$로 증가하면서 인삼부정근의 생장을 42.13 g에서 50.30 g으로 약 16%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담액 수경재배시 근권제한이 엽채류의 생육 및 식물 영양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oot Zone Restriction on the Growth Response and Phytonutrients Contents of Leafy Vegetables Grown in a DFT System)

  • 서태철;이한철;윤형권;전창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3호
    • /
    • pp.415-422
    • /
    • 2010
  • 상추 2종, 쑥갓, 청경채, 엔디브, 그리고 치커리의 엽채류담액 수경 재배 시 높이 100mm, 직경 20, 25, 30mm의 원통형의 플라스틱 튜브를 이용하여 근권제한 처리를 한 후 생육과 식물영양소를 조사하였다. 근권제한은 용기 크기에 따라 엽채류의 지상부 생체중이 25-95% 범위에서 감소하였으며, 쑥갓과 청경채가 가장 영향을 많이 받았고 엔디브나 치커리는 적게 받았다. 건물률, C/N율 및 총비타민C와 총안토시아닌의 함량은 근권제한에 의해 증가하였다. 무기성분 중 P와 K함량은 근권제한에 의해 모든 작물에서 감소하였지만, Mg, Fe, Mn, Zn 등은 작물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식물 영양적 가치를 증가시키고 생육 억제를 감소하기 위한 적절한 근권 용적은 엽채류 종류에 따라 달랐다. 치커리, 엔디브, 그리고 상추는 ${\Phi}25mm{\times}100mm$, 쑥갓과 청경채는 ${\Phi}30mm{\times}100mm$ 튜브 처리에서 각각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 수경재배 시 원통형의 플라스틱 튜브를 이용한 근권제한 처리가 엽채류의 영양적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포도 '거봉'의 2기작 재배에서 근권환경 특성 (Root zone environments in two cropping system within a year for Kyoho grapes)

  • 오성도;김용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35-241
    • /
    • 1997
  • 거봉과 같은 대립계 4배체 포도의 근역제한 재배에서 품질향상과 수량을 증대시키려면 포도수체 지상부의 기온과 상대습도 뿐만 아니라 근권부의 지온과 토양수분을 적정하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거봉의 2기작을 위한 근역 제한 재배에서 지중가온과 토양수분을 조절하면서 근권부의 지온과 토양수분 홉인합의 변화 특성을 살펴보고자 시도된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가온 시기에 주간의 최고 기온과 야간 기온의 평균치는 각각 25.1~32.7$^{\circ}C$, 18$^{\circ}C$ 이고, 상대습도는 주간 최저치와 야간 최고치가 각각 50~55%, 84~87%로 나타났다. 2. 지중 15cm 깊이에서 지중 가온구와 지중 무가온구 지온의 평균치는 각각 25.6$^{\circ}C$, 17.4$^{\circ}C$로서 지온의 적정 범위에 해당되어 본 실험에서 적용된 온수보일러에 의한 지중 가온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3. 15cm 깊이에서 토양수분 흡인압의 목표치를 pF 2.2로 설정하였을 때 관수 개시와 함께 15cm 깊이에서의 흡인압은 pF 1.5 정도까지 하강하였으나, 이후에는 흡인압이 상승하면서 pF 2.0~2.2를 유지하여 토양수분 흡인압의 조절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므로 근역 제한 재배에서 관수 개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지표로서 지중 15cm 깊이에서 측정된 토양수분 홉인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거봉의 근역 제한 재배에서 신초의 도장을 방지하려면 근권부의 효과적인 배수 대책이 요구된다.

  • PDF

멜론의 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근권제한의 효과 (Effect of Root Zone Restriction on Yield and Quality of Muskmelon)

  • 권준국;이재한;엄영철;최영하;강광윤;박동금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6-41
    • /
    • 1999
  • 본 연구는 토양근권제한이 멜론의 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격리상, 간이근권제한시트 및 관행 토양재배의 3가지 재배방법을 적용하여 멜론을 4월19일 부터 7월 17일까지 재배하였다. 지온은 격리상재배가 토양재배와 근권제한시트 재배보다 다소 높게 유지되었고 멜론의 생육은 토양과 근권제한시트재배에 비해 격리상 재배에서 빨랐다. 과실크기는 토양, 격리상 및 근권제한시트재배 순이었으나 당도 및 네트형성은 격리상재배가 토양재배에 비해 우수하였다. 수확기 경엽의 시들음주율은 토양재배 26.7%, 근권제한시트재배 25% 발생한 데 비해 격리상재배는 3.3%로 가장 낮았다 따라서 상품과 수량은토양재배에 비해 격리상재배에서 많았다.

  • PDF

토양개량제 '프로파일'의 혼합에 따른 토양의 물리화학성 및 한지형 잔디의 생육 개선 (Improvement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Turfgrass Growth by Root Zone Mixture of Soil Amendment 'Profile')

  • 김영선;임혜정;함선규;이긍주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6권3호
    • /
    • pp.262-271
    • /
    • 2017
  • 본 연구는 토양개량제 '프로파일'의 처리에 의한 토양의 물리화학성 및 잔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 하였다. 토양개량제 비율별 처리구는 토양개량제 '프로파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0%), 3% 처리구(3%), 5% 처리구(5%), 7% 처리구(7%), 그리고 10% 처리구(10%)로 설정하였다. 토양개량제 '프로파일'의 혼합비율 증가에 따라 전기전도도, 양이온치환용량, 모세관공극 및 공극은 증가하였고, 용적밀도와 수리전도도는 감소하였다. 잔디의 엽색 지수와 잔디 예지물이 7%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고, '프로파일'의 처리량과 엽색 지수는 정의 상관성을 보였다.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과 잔디 생육 지수별 상관관계 조사에서 양이온치환용량은 엽색 지수, 엽록소 지수 및 잔디 예지물에 대해 정의 상관성, 토양공극은 엽색 지수에 대해 정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결과를 종합할 때, 토양개량제 '프로파일'은 토양의 양이온치환용량과 토양공극을 개선하여 잔디의 품질과 생육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