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ck site

검색결과 896건 처리시간 0.026초

저층건축물 인근 발파작업시 진동 및 폭음이 층별로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Blasting Vibration and Sound on Each floor in Building during Blasting Operation)

  • 이신;김상욱;을지나란플래브토톡;강대우
    • 화약ㆍ발파
    • /
    • 제22권3호
    • /
    • pp.35-41
    • /
    • 2004
  • 국내에는 좁은 국토면적에 많은 주택 또는 건축물을 보급하기 위해 새로운 부지조성을 위한 공사가 도심에서 근접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이 새로운 부지조성을 위해 인근 건축물과 아주 근접하여 시공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나, 이에 타공법보다 경제적으로 암반을 파쇄하기 위하여 발파작업을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나, 도심지에서 발파작업으로 인해 진동 및 폭음 등으로 주변 보안물건에 피해가 발생하였다고 민원을 제기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bigcirc }{\bigcirc}$지역의 "양산 물금지구 택지조성을 위한 토취장의 발파지점에서 450 - 800M 부근에 위치한 저층건축물(${\bigcirc}{\bigcirc}$빌라 4층)에 1층과 4층에 진동과 폭음을 동시에 계측하여 발파작업으로 인한 진동 및 폭음이 저층건축물(${\bigcirc}{\bigcirc}$빌라)의 층별로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과거 발파 영향권을 분석한 결과 고층아파트는 고층으로 진동이 이동하여 감소현상을 보였으나 본 연구에서 저층 건축물(${\bigcirc}{\bigcirc}$빌라)은 저층보다 윗층(4층)의 경우가 많은 진동크기를 나타내었으며 향후 발파작업시 고층아파트보다 저층건축물이 존재 할 경우 보다 발파작업에 주의하여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연직 차수벽을 이용한 폐기물매립지 침출수 오염 제어 사례 연구 (A Case History of Confinement of the Contaminated Landfill Using a Vortical Barrier)

  • 이재영;정문경;고재만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63-174
    • /
    • 1999
  • 본 논문은 매립지의 침출수 유출로 오염된 지반 및 지하수의 효과적인 처리 방법 중의 하나인 연직 차수벽의 시공사례를 다루고 있다. 연직 차수벽의 설치 목적은 오염된 지하수의 이동을 경제적이고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차단후 차수벽 내부의 오염된 지하수를 회수하여 침출수 처리장에서 처리함으로써 추가적인 지반오염을 방지하며, 매립장의 잔여 이용 기간동안 매립장의 안전 운영의 기초를 확보하는 것이다. 현장조사의 단계에서 부터, 공법의 선정과 설계, 시공. 시공품질의 확인에 까지 일련의 과정을 보고하였다. 오염원과 오염의 원인 및 범위를 파악한 후, DMW공법과 HEC고화제를 이용하여 심층 혼합 차수층을 설치하였다. 균열이 심한 암반층의 차수를 위해서는 우레탄을 주입하여 차수층을 형성하였다. 조사기간 동안의 현장 모니터링 결과에 의하면, 토사와 암반층에 걸친 심층 혼합 차수층의 설치로 본 현장의 오염 처리는 현재를 기준으로 만족스러운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터널시공 시 계측결과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strumentation Results Analysi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in Tunnel Area)

  • 이종휘;이동근;변요셉;천병식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2차
    • /
    • pp.21-31
    • /
    • 2010
  • Although it is important to reflect the accurate information of the ground condition in the tunnel design, the analysis and design are conducted by limited information because it is very difficult to get it practically on considering various geography and geotechnical condition. So construction management of information concept is required to manage immediately on the field condition because it is very time-consuming to establish the countermeasure of underground reinforcement and the pattern change of Bo. Therefore, when construction is on tunnel area, examination of accurate safety and prediction of behavior is performed to overcomes the limit of predicting behavior by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ANN) in this study. Firstly, the field data was secured. Secondly, suitable structure was made on multi-layer perceptrons among the ANN. Thirdly, learning algorithm-propagated applies to ANN. The data for the learn of field application using ANN was used by considering impact factors, which influenced the behavior of tunnel, and performing credibility analysis. crown displacement, spring displacement, subsurfacement, and rock bolt axial force are predicted at the tunnel construction and on-site application was confirmed by using ANN from analyzing and comparing with measurement value of on-site. In this study, the data from Seoul Highway $\bigcirc\bigcirc$ tunnel section was applied to the ANN Theory, and the analysis on the investigate value and the reasoning for the value associated with field application was performed.

  • PDF

지오 투어리즘(Geo-tourism)을 위한 대구 앞산 활용방안 (Geo-tourism : A Practical Application to Mt. Apsan in Daegu)

  • 전영권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517-529
    • /
    • 2005
  • 연간 1,600여만 명이 찾는 대구 앞산에는 10여 개의 골짜기가 분포하며, 골짜기를 따라 이어지는 등산로에서는 다양한 지형 관찰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탐방객들의 접근성과 지형자원 볼거리 면에서 세 곳의 골짜기(고산골.안지랑골.달비골)를 대상으로 지오투어리즘(geo-tourism) 관점에서 지형관찰 학습장 및 탐방로를 조성하여 보았다. 1) 앞산에서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지형은 하식애, 풍화동굴, 수직암벽, 건열화석, 연흔화석, 습곡지형, 판상절리지형, 너덜지대, 선상지, 돌개구멍, 단층선, 가마솥바위, 주상절리지형, 변성암 등이다. 2) 앞산에서 볼 수 있는 지형을 대상으로 일반인도 이해할 수 있을 정도 수준의 설명문을 개발하였다. 3) 탐방객들의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골짜기별, 탐방객 체류 시간별로 아홉 가지의 지형관찰 탐방로를 개발하였다.

  • PDF

성견에서 국산 임시 임플란트의 골 유착반응에 관한 연구 (Study on osseointegration of a Korean Transitional implant system in beagle dog)

  • 이욱재;정종원;김윤상;피성희;유형근;신형식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6권1호
    • /
    • pp.253-263
    • /
    • 2006
  • Purpose: Recently, dental implant systems have been widely used for the treatment of the extraction site, but we have been confronted with many limitations in esthetics, phonetics and function. Transitional implants(TI) were developed as a method of providing fixed provisional restorations during conventional implant healing. Until now, little data have been provided on korean transitional impla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mplant placement site histologically after 4 weeks and 8 weeks. Materials and Methods : Test group( IntermetzzoTM MEGAGEN, KOREA) and control group(Mini Drive Lock, Intra Rock, U.S.A.) were immediately placed in interseptal or interproximal bone of beagle dog after mandibular premolars extraction, and had a healing period with non-submerged state but without loading, Both TI surfaces were composed of rough surfaces. Results: In the test group, the average percentage of BIC were respectively 39.40%(SD7.35) after 4 weeks and 44.05%(16.76) after 8 weeks, and In the control group were 50.75%(1.48) and 59.40%(0.00). Discussion: We evaluated the initial ability of the osseointegration of TI through this study. Because TI is placed with a conventional implant simultaneously and loaded immediately, the ability of osseointegration is a very important factor for the success of TI during the initial healing phas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histological evaluation of these two groups were similar to those mentioned in other studies for osseointegration of implant.

설악산국립공원내 산양(Nemorhaedus Caudatus Raddeanus)의 잠재 서식지 적합성 모형; 다기준평가기법(MCE)과 퍼지집합(Fuzzy Set)의 도입을 통하여 (Korean Groal Potential Habitat Suitability Model at Soraksan National Park Using Fuzzy Set and Multi-Criteria Evaluation)

  • 최태영;박종화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8-38
    • /
    • 2004
  • Korean goral (Nemorhaedus caudatus raddeanus) is one of the endangered species in Korea, and the rugged terrain of the Soraksan National Park (373㎢) is a critical habitat for the species. But the goral population is threatened by habitat fragmentation caused by roads and hiking trail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otential habitat suitability model for Korean goral in the park, and the model was based on the concepts of fuzzy set theory and multi-criteria evaluation. The process of the suitability modeling could be divided into three steps. First, data for the modeling was collected by using field work and a literature survey. Collected data included 204 points of GPS data obtained through a goral trace survey and through the number of daily visitors to each hiking trail during the peak season of the park. Second, fuzzy set theory was employed for building a GIS data base related to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suitability of the goral habitat. Finally, a multiple-criteria evaluation was performed as the final step towards a goral habitat suitability model.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aracteristics of suitable habitats were the proximity to rock cliffs, scattered pine (Pinus densiflora) patches, ridges, the elevation of 700∼800m, and the aspect of south and southeast. Second, the habitat suitability model had a high classification accuracy of 93.9% for the analysis site, and 95.7% for the validation site at a cut off value of 0.5. Finally, 11.7% of habitatwith more than 0.5 of habitat suitability index was affected by roads and hiking trails in the park.

최소오차 최적합화 방법에 의한 인공 시간이력 지진기록군의 생성 (Generation of Artificial Time History Earthquake Record Family using the Least Squares Fitting Method)

  • 김용석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2권5호
    • /
    • pp.31-38
    • /
    • 2008
  • 최근 구조물의 지진해석에서 시간이력 지진해석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데, 시간이력해석을 위해서는 최소7개의 지진기록을 사용하도록 IBC2003, ASCE와 KBC2005의 내진설계 기준에서 요구하고 있다. 시간이력 지진해석을 위해 지진기록의 선정은 주어진 대지 조건에 따른 설계스펙트럼을 만족하도록 시간이력 지진기록을 설계 지반조건과 유사한 지반에서 계측된 지진기록들 중에서 선정하거나 설계스펙트럼을 만족하는 인공지진기록을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이 연구에서는 절충적 방법으로 태평양지진연구센터(PEER) 데이터베이스에서 암반 지진기록으로 알려진 50개 계측지진기록을 이용하여 7개 인공 시간이력 지진기록을 생성하였다. 일차 조정계수를 곱한 지진응답스펙트럼이 목표설계스펙트럼에 최적합한 7개 지진기록을 선정하고, SRSS 평균값이 목표설계스펙트럼과 최소의 오차를 갖게 하는 최적합화법으로 구한 조정계수를 선정된 각 지진기록에 곱하여 7개 인공 시간이력 지진기록군을 생성하였다.

암반비탈면 붕괴시 예측가능한 AE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Applicability of AE for the Prediction of Rock Slope Failure)

  • 이동근;김연중;김석천;천병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1호
    • /
    • pp.25-34
    • /
    • 2011
  • 비탈면의 계측은 현장 접근성이 떨어지고 장기적인 계측이 어려워 이론적이거나 경험에 의존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재난, 재해에 대한 조짐을 예측하기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비탈면의 붕괴를 예측하는 효과적인 방법과 현장 적용성에 대한 내용을 실험적 연구를 실시한 내용을 다루었다. 비탈면의 붕괴를 예측하는 방법은 재료의 파괴시 발생되는 음파를 WEAD라 불리는 AE센서를 이용하여 지반분야에 적용함으로써 비탈면의 붕괴를 예측 할 수 있었다. 비탈면 붕괴시 발생되는 AE파라미터는 전단 실험과 휨 실험을 실시하여 확보하였고 이를 토대로 파괴기준을 마련하였다. 시험시공은 비탈면 붕괴이력이 있고 붕괴가능성이 존재하는 비탈면에 적용해 보았고 실험결과 AE파라미터는 파괴기준에 넘지 않아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제 비탈면의 붕괴 증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 적용성이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시미동 측정을 통한 천부 횡파속도 연구 (Shallow Shear-wave Velocities Using the Microtremor Survey Method)

  • 황윤구;김기영
    • 지질공학
    • /
    • 제16권4호
    • /
    • pp.381-392
    • /
    • 2006
  • 상시미동을 이용하는 수동적 표면파 탐사를 결정질암 기반암 지역에서 실시하여, 내진설계 지반분류 기준인 30 m 깊이까지의 평균 횡파속도(Vs30)를 구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험자료는 조사지 A와 B에서 삼각형 배열과 'L' 자형 직각 배열로 2 ms 간격으로 4초 동안 기록하였다. 조사지 A에서 기록한 자료를 공간 자기상관 방법으로 분석하여 위상속도 스펙트럼을 작성하고, 수신기 배열의 길이 및 형태, 기록 횟수, 수신기 수 등의 주요인자들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조사지 B에서 상시미동 기록자료의 역산을 통해서 구한 횡파속도와 근처 시추공에서 수직탄성파 방법으로 구한 결과가 대체로 일치함을 보여 상시미동을 이용한 표면파 탐사법이 Vs30을 구하는데 효율적인 방법으로 판단된다.

버켓기초를 가진 해상풍력타워의 지반-구조물 상호작용해석 (Soil-structure interaction analysis for the offshore wind tower with bucket foundation)

  • Lee, Gyehee;Kim, Sejeong;Phu, Tranduc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244-25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버켓기초로 지지된 해상풍력타워의 지진응답을 지반-구조물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해석하였다. 해석프로그램으로는 SASSI를 사용하였으며 연약지반에 대해 생성된 인공지진파를 입력으로 사용하였다. 버켓기초의 형상과 강도를 매개변수로 하여 각 매개변수들의 영향을 파악하였다. 구조물의 응답은 타워의 하부와 나셀위치에서 얻어졌으며 응답스펙트럼으로 비교하였다. 해석결과 형상비, 버켓의 강도, 지반의 강도에 따라서 기초부와 나셀부에서 다른 경향의 응답을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지반-구조물상호작용의 고려는 암반으로 가정한 거동에 비하여 월등히 큰 응답 값을 보여 이의 고려가 버켓기초를 가진 해상풍력타워의 지진거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