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busta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초

Studies on the High Temperature Induced Stress on the Biochemical Profile and Fecundity of Daba and Laria Ecoraces of Tropical Tasar Silkworm Antheraea mylitta Drury (Lepidoptera: Saturniidae)

  • Lokesh, G.;Kar, P.K.;Srivastava, A.K.;Swaroopa, Saloni;Sinha, M.K.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4권2호
    • /
    • pp.69-74
    • /
    • 2012
  • Tropical tasar silkworm Antheraea mylitta Drury experiences extreme temperature stress conditions during its life cycle particularly during diapauses and first crop. The present study witnessed the impact of high temperature on some biochemical profiles and egg production (fecundity) of semi-domesticated Daba and Shorea robusta (Sal) based wild ecorace Laria during seed cocoon (pupa) preservation. Cocoons of Daba and Laria were treated with high temperature at $40^{\circ}C$ for 10 days in a BOD incubator. The protein profile and carbohydrate content in the hemolymph and fat body and total haemocyte count (THC) in the hemolymph of pupa were investigated. Further, the fecundity and fertility of egg was assesse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rotein concentration was observed in the hemolymph with reduction in the fat body (p<0.05). The difference in protein concentration was highly significant between the semidomesticated Daba and wild ecorace Laria (p<0.05). High pupal mortality (20%) and reduced fecundity (10-15%) in Daba was noticed compared to wild Laria. Also an increased THC (>28000) was recorded in Laria. The study infers the potentials of wild ecoraces in sustaining the extreme temperature conditions and need of adopting suitable package of practices for the preservation of diapause seed cocoons during extreme summer conditions. There is possibility to introgression thermal stress resistant traits in the semi-domesticated races of tasar silkworm by resorting to conventional breeding plans with wild races and keeping the thermal stress induced response as markers.

계획 이주와 자발적 이주 간 연계 -베트남 닥락 성 커피 생산에서 이주의 역할- (The Linkage between Planned and Spontaneous Migration: The Roles of the Migration on Coffee Production in Dak Lak, Vietnam)

  • 정수열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44-358
    • /
    • 2013
  • 베트남이 세계 제2의 커피 생산국으로 도약하는 데에는 닥락(Dak Lak) 성(省)을 포함한 중부고원지대의 농업 발달이 있었으며 그러한 농업 발달에 연안지역에서 내륙고원지대로의 이주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기존 연구는 이러한 이주의 중요성을 인지하면서 계획 이주와 자발적 이주로 나누어 논의를 전개해 왔다. 하지만 이들 연구는 계획이주와 자발적 이주 간의 연계 관계를 명확히 파악하지 못했으며 이들의 연계 관계가 커피의 생산 현장이라 할 수 있는 꼬뮨 단위에서 차별적으로 구현되었는지 밝히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닥락 성으로의 이주 흐름을 통계자료로 분석하고 Ea H'Ding 꼬뮨과 Doan Ket 꼬뮨을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여 전문가와의 면담 그리고 농가 설문과 면담을 통해 이주 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닥락 성 스케일에서 계획 이주가 초기에는 많았다가 점차 감소하였으나, 대신 자발적 이주가 점차 증가하면서 꾸준한 인구 유입이 이루어져 이 지역이 커피 생산지로 발돋움할 수 있었다. 하지만 커피 생산의 구체적 현장이라 할 수 있는 소지역 스케일에서는 계획 이주와 자발적 이주 간 연계 관계가 서로 다른 민족 구성, 정주 시기, 정부 개발 프로그램, 이주민 폭증 시기를 갖는 꼬뮨별로 상이하게 구현되었음이 밝혀져 국지적 맥락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싸리나무류재(類材)의 조직(組織)과 섬유(纖維)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Wood Structure and Fiber Characteristics of Genus Lespedeza species)

  • 김수인;염창술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6권1호
    • /
    • pp.9-20
    • /
    • 1988
  • Lespedeza species have been widely used not only as plant resources for bark, leaves and honey, but also as erosion control material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and wood tiber characteristics in order to obtain basic information for the utilization of the wood. The wood structure was investigated for 10 selected species and the wood fiber, for the 5 selected species among Lespedeza species distributed all over the countr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cross section, campylotropis showed ray diffuse porous wood, L. bicolor, L. cyrtobotrya, L. thunbergii var. intermedia, diffuse porous wood, and L. tomentella, L. angustifolioides. L. maritima, L. robusta, L. patentibicolor, ring porous wood. The maximum diameter of a single vessel ranged 66-123 ${\mu}$ in all species. Campylotropis showed the most number of vessels, L. angustifolioides, the least. The number of ray per mm ranged 7-22, Campylotropis showed the most number of rays, L. angustifolioides, the least. In the radial section the average length of vessel ranged 121-250 ${\mu}$ in all species. L. thunbergii var. intermedia showed the longest vessel, L. tomentella, the shortest. In tangential section the average width of the uniseriate ray ranged 9.2-14.7${\mu}$, that of the multiseriate ray, 19.2-42.1 ${\mu}$. The average height of the uniseriate ray ranged 143.0-1162.0 ${\mu}$. The width of fiber ranged 10.12-13.61 ${\mu}$, L. maximowiezii showed the narrowest tiber, L. thunbergii var. intermedia. the widest, the thickness of fiber wall ranged 2.93-3.71 ${\mu}$ in the five species. L. maximowiezii showed the most thin fiber wall, L. thunbergii var. intermedia, the thickest, L. cyrtobotrya showed the difference in the size of fiber between the shade and the sunny sites but L. maximowiezii showed no differenc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fiber length, fiber width and wall thickness between L. eyrtobotrya and L. maximowiezii.

  • PDF

Diversity and Composition of Tree Species in Madhupur National Park, Tangail, Bangladesh

  • Rahman, Md. Rayhanur;Hossain, Mohammed Kamal;Hossain, Md. Akhter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5권3호
    • /
    • pp.159-172
    • /
    • 2019
  • Madhupur National Park (MNP) is one of the last remaining patches of old-growth natural Sal forest left in Bangladesh where the forest is tropical moist deciduous type. A study was revealed to assess the tree species diversity and composition in this area. For determining tree species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extensive random quadrat survey methods with $20m{\times}20m$ sized plots.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re were 139 tree species belonging to 100 genera and 40 families. The quadrat survey assessed the basal area, stem density, diversity indices and importance value index of the tree species having ${\geq}5cm$ D.B.H (Diameter at Brest Height). The basal area and stem density of the tree species were $20.689{\pm}1.08m^2/ha$ and $1412.93{\pm}64.27stem\;ha^{-1}$ while, diversity indices, i.e. Shannon-Wiener's diversity, Simpson's evenness, Margalef's species richness and Pielou's dominance indices indicated poor diversity in comparison to that of other PAs (Protected Areas) in South-Eastern region of Bangladesh. The structural composition based on height and D.B.H through reverse-J shaped curve indicated higher regeneration and recruitment but removal of trees of large growth classes. Sal (Shorea robusta) was the most dominant tree species that accounts 75% of the total tree individuals in the natural forest patches. However, some associates of Sal, i.e. Bhutum (Hymenodictyon orixensis), Gadila (Careya arborea), and Kusum (Schleichera oleosa) etc. were seemed to be rare in MNP.

북동중국해 대륙붕 코아 퇴적물의 저서유공충 군집 특성과 퇴적환경 연구 (Benthic Foraminiferal Assemblage and Sedimentary Environment of Core Sediments from the Northern Shelf of the East China Sea)

  • 강소라;임동일;김소영;노경찬;유해수;정회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454-465
    • /
    • 2008
  • 지난 최대빙하기 이후 형성된 대륙붕 퇴적체의 퇴적환경 변화를 연구하기 위해 동중국해 북부(북동중국해) 대륙붕에서 채취된 코아 퇴적물에 대한 탄소동위원소(AMS $^{14}C$) 연대측정과 함께 저서유공충 군집 변화를 분석하였다. 코아퇴적물은 최하부에서 약 16,000yr B.P.이며, 최상부 30cm에서는 약 3,000yr B.P.로 지난 최대빙하기에서 최근까지 순차적으로 발달한 퇴적충으로 구성된다. 코아 퇴적물에서 산출되는 저서유공충 분석 결과, 군집조성, 종수(S) 그리고 종다양도(H(S)) 등이 약 240cm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서 뚜렷하게 구분된다. 퇴적물 깊이 240cm 이하의 하부 퇴적층(Zone I)에서는 Ammonia beccarii와 Elphidium clavatum (s.l.)이 우세하게 출현하며, 부유성 유공충 산출율(P/T ratio, 평균 22%)과 종수(평균 44), 다양도(평균 2.9) 등이 상대적으로 낮다. 이러한 저서유공층 군집 특성과 연대측정에 근거할 때 Zone I은 최대빙하기 이후 초기 해수면 상승 동안(16${\sim}$10ka) 수심 약 20${\sim}$30m 내외의 염하구 환경에서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상부의 Zons II 퇴적층은 Eilohedra nipponica와 Bolivina robusta가 우점하며, 부유성 유공층 산출율(>40%)과 종수(>60) 둥이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Zone II는 유공충 군집 구성 특성에 따라 두 개의 구간(Zone IIa와 IIb)으로 세분되며, Zone IIa는 약 9,000 yr B.P. 이후 해수면이 빠르게 상승하는 현세 해침 동안 연구해역에 형성된 내-중대륙붕 환경에서, 그리고 Zone IIb는 약 6,000 yr B.P. 이후 해수면이 현재와 같은 수심 80m 내외의 외대륙붕 환경에서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 결론적으로 코아 퇴적물의 저서유공충 군집 변화 특성은 최대빙하기 이후해수면 상승과 함께 형성된 대륙붕 퇴적체의 퇴적환경 변화를 잘 반영한다.

Use of Chemical Treatments to Reduce Tannins and Trypsin Inhibitor Contents in Salseed (Shorea robusta) Meal

  • Mahmood, S.;Khan, Ajmal M.;Sarwar, M.;Nisa, M.;Lee, W.S.;Kim, S.B.;Hur, T.Y.;Lee, H.J.;Kim, H.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9호
    • /
    • pp.1462-1467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chemical treatments on tannins (condensed and hydrolysable) and on the trypsin inhibitor (TI) activity in salseed meal. Triplicate samples of ground salseed meal (1 kg) were mixed with 820 ml of either distilled water (pH 5.3), 0.67 M acetic acid (pH 2.4), 0.67 M sodium bicarbonate (pH 8.2) or 2% polyvinyl-pyrrolidone (PVP) solution. The material was placed in airtight plastic containers and incubated at $37^{\circ}C$ for 0, 3, 6, 12, 24, 48 and 72 h. Samples of untreated salseed meal which had not been subjected to soaking or incubation were run through the analysis to serve as control. Addition of water, acetic acid, sodium bicarbonate and PVP solutions to salseed meal and subsequent anaerobic incubation at $37^{\circ}C$ significantly reduced chemically detectable tannins. At each incubation time, alkali solution was more effective than its counterparts. The effect of acidic solution on hydrolysable tannin was least among the treatments. All the treatments reduced TI activity of salseed meal. The reduction in TI activity by these treatments was similar and ranged between 80-84%. Treatment time effected a decrease in the contents of antinutritional substances. However, the effect of the treatment with the reagents, even for zero incubation time, was quite pronounced. It may be concluded from the present results that the treatment of salseed meal with sodium bicarbonate (0.67 M) is more effective in reducing hydrolysable and condensed tannin contents than PVP, water and acid solutions. Treatment with sodium bicarbonate solution is more economical and easier to handle than acid and PVP treatments. Incubation of the treated material for 12 h is reasonably effective, economical and safe from any mould growth.

로스팅 정도에 따른 원두커피의 벤조피렌 함량 연구 (A Study of Roasting Conditions on Benzo[a]pyrene Content in Coffee Beans)

  • 김상은;김종환;이상원;이문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34-138
    • /
    • 2013
  • 벤조피렌은 IARC에 의해 그룹 1로 분류된 다환방향족 탄화수소 유기물로서 불완전 연소 시 부산물로 발생되며 유전독성과 발암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벤조피렌의 오염원은 매우 다양하여 환경오염 등으로 인해 조리 또는 가공과정에서 열분해 되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음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기호음료인 원두커피 또한 생두를 볶는 과정에서 고온의 배전 과정을 거치는 제조공정을 감안할 때 벤조피렌이 생성될 가능성이 있어 본 연구에서는 생두의 종류와 로스팅 정도에 따른 원두커피분말과 원두커피 추출물의 색도 및 벤조피렌 함량을 조사하였다. Hunter scale의 L값과 b값은 배전이 진행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a값은 약배전 시까지는 증가하였다가 중, 강배전으로 진행될수록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벤조피렌의 검출한계(LOD)와 정량한계(LOQ)는 0.03과 $0.09{\mu}g/kg$이었다. 원두커피 분말의 벤조피렌 함량은 강배전의 조건에서 로스팅한 원두분말에서만 검출되었다. 생두를 강배전 조건으로 로스팅을 실시한 경우에는 $0.142{\sim}0.757{\mu}g/kg$의 함량을 보였고 중배전 및 약배전 조건의 커피분말과 원두커피 추출물 모두 불검출의 결과를 보였다. 이는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식용유지에서 벤조피렌의 기준을 $2.0{\mu}g/kg$ 이하로 설정한 기준에 미치지 않는 안전한 수준이며, 원두의 로스팅 과정이 벤조피렌이 생성되는 고온에 미치지 못하고 열원방식이 직화식이 아닌 전기적인 열풍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커피원두의 배전강도에 따른 품질특성 및 향기성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ffee Bean Characteristics and Coffee Flavors in Relation to Roasting)

  • 이문조;김상은;김종환;이상원;염동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55-261
    • /
    • 2013
  • 본 연구는 Arabica종(CS, BS)과 Robusta종(EM, IR)의 품종이 다른 커피원두를 사용하여 약, 중, 강배전 정도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과 향기성분을 분석하여 배전강도에 따른 구성성분의 변화와 배전 후 관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배전 정도에 따른 수분함량은 모든 원두에서 배전강도가 강해질수록 수분함량은 감소하였으며 중배전에서 수분함량이 급격히 줄어들어 강배전에서는 1.0~1.2%로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총 무게 손실률은 배전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분함량과 반비례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배전강도가 강해질수록 배전커피의 pH는 증가하고 약배전보다 중배전과 강배전으로 배전 조건이 높아질수록 pH는 급격하게 변화하였다. 총 산도는 pH의 증가와 반대로 배전강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Hunter scale의 L값과 b값은 배전이 진행될수록 Maillard 반응으로 인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a값은 약배전 시까지는 증가하였다가 중, 강배전으로 진행될수록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로스팅 정도에 따른 배전커피에 대한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결과 약 20여종의 휘발성 향기성분이 검출되었으며, 향기성분 중 furan 성분은 강배전으로 갈수록 함량이 급격히 증가하였고, furfural, diacetyl, 2,3-pentanedione 및 pyrazine 등은 배전 정도가 강해질수록 감소하였다. 일반적으로 배전 정도가 강해질수록 aldehyde 화합물의 함량이 많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평가를 통하여 약배전으로 배전된 원두에서 추출한 커피에서 향과 신맛을 가장 많이 느낄 수 있다고 평가되었으며 신맛의 경우에는 pH와 산도의 결과와 연관성이 있었다. 배전강도가 강해질수록 쓴맛과 탄맛을 강하게 느끼며, 중배전 이상으로 배전된 커피에서는 입안에서 느껴지는 풍부함이 강하게 느낄 수 있다고 조사되었다. 배전강도가 강할수록 향기성분 중 furfural, diacetyl, 2,3-pentanedione 및 pyrazine 등은 배전 정도가 강해질수록 감소하였고, 2-methylfuran은 커피의 배전강도가 강할수록 증가하여 커피 맛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유효 향기성분인 동시에 커피의 배전 정도에 따라 성분 함량이 감소하거나 증가함을 보이므로 배전 정도를 결정짓는 지표 물질로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Arabica종의 Brasil santos No.2 품종이 향기성분 및 관능점수가 높아 다른 품종의 커피보다 맛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류별 커피의 볶음 및 추출조건에 따른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Coffee Beans by Roasting and Extracting Condition)

  • 김하경;황성연;윤수봉;천덕상;공석길;강근옥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4-19
    • /
    • 2007
  • 본 연구는 커피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카페인, 산도 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생산지별 커피 생두를 로스팅 단계에 따른 명도 차이 및 추출 온도 조건에 따른 pH, 산도, 고형분, 카페인 함량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추출온도에 따른 pH는 원산지별, 종류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산도의 경우 추출온도가 낮을수록 수치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는데, 특히 에티오피아 커피와 인도네시아 커피의 산도가 높게 나타났다. 고형분 함량 변화의 경우 원두 내부의 세포구조가 완전히 팽창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추출액이 쉽게 통과하므로 추출온도가 빠르게 떨어지지 않아 고형분의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커피 중 콜롬비아 커피의 고형분 함량이 전체 추출온도에서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볶은 원두의 카페인 함량에서는 콜롬비아, 에티오피아, 브라질 커피의 함량이 각각 11.19, 12.08, 12.56 mg/g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인도네시아, 베트남 커피의 23.15, 22.36 mg/g보다 2배 정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추출온도별 카페인 함량을 분석한 결과 낮은 온도에 비해 높은 온도에서 추출할 경우, 카페인 함량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arabica 종인 콜럼비아 커피가 카페인 함량은 적은 반면 향미는 더 풍부하여 다른 품종의 커피보다 맛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홍국균 균사체-고체발효 원두커피 추출물의 지방축적 억제효과 (Anti-adipogenic Effect of Fermented Coffee with Monascus ruber Mycelium by Solid-State Culture of Green Coffee Beans)

  • 임용래;신지영;김훈;백길훈;유광원;정헌상;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624-62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두 품종의 원두커피와 이를 Monascus ruber 홍국균으로 발효시킨 원두커피 열수추출물의 지방축적 억제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세포 내 triglyceride 생성 저해효과 및 주요 전사인자인 $PPAR{\gamma}$, $C/EBP{\alpha}$와 FAS 및 aP2의 발현을 측정하기 위해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성숙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와 함께 베트남 로부스타(VR), 홍국균으로 고체발효 한 베트남 로부스타(MR-VR), 발아현미(10, 20, 30%)를 첨가하여 홍국균으로 고체발효 한 베트남 로부스타(MR-VR10, MR-VR20, MR-VR30), 에티오피아 모카 시다모 G2(ES), 홍국균으로 고체발효 한 에티오피아 모카 시다모 G2(MR-ES), 발아현미(10, 20, 30%)를 첨가하여 홍국균으로 고체발효 한 에티오피아 모카 시다모 G2(MR-ES10, MR-ES20, MR-ES30) 원두커피의 열수추출물을 1,000 ${\mu}g/mL$ 농도로 처리하였다. 연구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커피추출물을 처리한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지방구 생성이 감소하였다. 베트남 로부스타 품종이 에티오피아 모카 시다모 G2 품종보다 지방구 생성 및 지방분화 전사인자들인 $PPAR{\gamma}$, $C/EBP{\alpha}$, FAS 및 aP2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에티오피아 모카 시다모 G2 품종의 경우 원두커피 열수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보다 홍국균으로 고체발효 한 원두커피의 열수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더 높은 지방분화 억제능을 나타냈다. 또한 전사인자들의 발현 정도는 지방분화 억제능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따라서 Monascus ruber 홍국균의 고체배양을 이용한 에피오티아 모카 시다모 G2 발효원두커피는 효과적인 항비만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활용가치가 기대되며 로부스타 품종의 경우 다른 품종들보다 저렴한 원가를 감안할 때 베트남 로부스타 발효원두커피는 경제적인 기능성 커피음료 및 기능성 소재로서 산업적인 응용에 좋은 활용가치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