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bots and Drones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3초

로봇 및 드론 센서로 수집한 이미지 정합을 위한 Deblur 딥러닝 모델 평가 (Evaluation of a Deblur Deep Learning Model for Image Registration Collected from Robots and Drones)

  • 이혜민;권혜민;문한솔;이창교;서정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53-155
    • /
    • 2022
  • 최근 로봇과 드론을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로봇이나 드론이 주행할 때 외부 영향으로 흔들리게 된다. 이렇게 수집된 이미지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미지를 정합하는 전처리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자율주행 로봇 데이터셋과 직접 촬영한 드론 데이터셋을 사용하여 Deblur 딥러닝 모델을 통해 흔들린 이미지 데이터의 품질을 높인다. 실험 결과를 통해 흔들린 이미지가 선명하게 정합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드론-지상 하이브리드 로봇 시스템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UAV-UGV Hybrid Robot System)

  • 우종운;김지훈;성창현;김병우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233-240
    • /
    • 2023
  • In this paper, we proposed a hybrid type robot that simultaneously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on the ground and in the air. It was possible to expand the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range by expanding the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area of the ground robot and quickly moving to the hidden area through the drone. First, ground robots go to mission areas through drones and perform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missions for urban warfare or mountainous areas. Second, drones move ground robots quickly. It transmits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images of ground robots to the control system and performs reconnaissance missions at the same time. Finally, in order to secure the interoperability of these hybrid robots, basic performance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 were verified. The evaluation method was tested and verified based on the KS standards.

자율사물을 활용한 도서관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Library Activation Plan Using Autonomous Objects)

  • 노영희;신영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27-5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자율사물 중 도서관에 적용가능한 로봇과 드론, 자율주행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내용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도서관에 도입 및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관내의 경우 로봇과 드론을 활용하여 장서점검, 장서운반, 장서배열, 장서분류에서부터 도서위치안내, 도서추천, 대출/반납, 도서관 전반적인 안내, 참고정보서비스 등까지 적용할 수 있다. 관외의 경우 로봇, 드론, 자율주행 자동차를 활용해 도서배송서비스, 도서반납서비스, 무인이동도서관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도서관의 자율사물 도입 및 적용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향후 체계적인 도입을 위한 인식조사, 적용모델 개발 등의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Research on Intelligent Combat Robot System as a Game-Changer in Future Warfare

  • Byung-Hyo Park;Sang-Hyuk Par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4호
    • /
    • pp.328-332
    • /
    • 2023
  • The Army has presented eight game-changers for future warfare through 'Army Vision 2050,' including Intelligent Combat Robots, Super Soldiers, Energy Weapons, Hypersonic Weapons, Non-lethal Weapons, Autonomous Mobile Equipment, Intelligent Command and Control Systems, and Energy Supply Systems. This study focuses on Intelligent Combat Robots, considering them as the most crucial element among the mentioned innovations. How will Intelligent Combat Robots be utilized on the future battlefield? The future battlefield is expected to take the form of combined human-robot warfare, where advancem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allow intelligent robots to replace certain human roles. Especially, tasks known as Dirty, Difficult, Dangerous, and Dull (4D) in warfare are expected to be assigned to robots. This study suggests three forms of Intelligent Robots: humanoid robots, biomimetic robots, and swarm drones.

Institutional Information Management and Automation System

  • M.Ahmad Nawaz Ul Ghani;Taimour Nazar;Syed Zeeshan Hussain Shah Gellani;Zaman Ashraf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3권8호
    • /
    • pp.107-112
    • /
    • 2023
  • World is moving towards digitization at a rapid pace, so the enterprises have developed information systems for management of their business. Empowering educational institutes with information systems are become very important and vital. Doing everything manually is very difficult for students, teachers and staff. Information system can enhance their efficiency and save a lot of time; this research proposed system will solve this issue by providing services like class room reservation, e-library facility, online submission etc. in a secured environment. Up till now limited attention has been paid to utilize robots and drones for automation inside educational institutes. Our proposed system incorporates robots and drones to fill this gap in automation being used in institutes. Through this research, the aim i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learning and services in educational institutions or universities.

A Low-Cost Approach for Path Programming of Terrestrial Drones on a Construction Site

  • Kim, Jeffrey;Craig, James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319-327
    • /
    • 2022
  • Robots for construction sites, although not deeply widespread, are finding applications in the duties of project monitoring, material movement, documentation, security, and simple repetitive construction-related tasks. A significant shortcoming in the use of robots is the complexity involved in programming and re-programming an automation routine. Robotic programming is not an expected skill set of the traditional construction industry professional. Therefore, this research seeks to deliver a low-cost approach toward re-programming that does not involve a programmer's skill set. The researchers in this study examined an approach toward programming a terrestrial-based drone so that it follows a taped path. By doing so, if an alternative path is required, programmers would not be needed to re-program any part of the automated routine. Changing the path of the drone simply requires removing the tape and placing a different path - ideally simplifying the process and quickly allowing practitioners to implement a new automated routine. Python programming scripts were used with a DJI Robomaster EP Core drone, and a terrain navigation assessment was conducted. The study examined the pass/fail rates for a series of trial run over different terrains. The analysis of this data along with video recording for each trial run allowed the researchers to conclude that the accuracy of the tape follow technique was predictable on each of the terrain surfaces. The accuracy and predictability inform a non-coding construction practitioner of the optimal placement of the taped path. This paper further present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some possible extended research options for this study.

  • PDF

상용화 드론을 이용한 송전선로 점검방안 및 현장시험 (Patrol Monitoring Plan for Transmission Towers with a Commercial Drone and its Field Tests)

  • 김석태;박준영;이재경;함지완;최민희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제4권2호
    • /
    • pp.115-123
    • /
    • 2018
  • 과거 송전선로를 점검하기 위하여 선로를 주행하는 로봇시스템을 이용하여 점검방법이 있었으나 선로를 주행하기 위한 구동장치와 장애물을 회피하기 위한 복잡한 메커니즘 등으로 시스템 자체가 무거워 선로에 설치하기가 어렵고 선로의 장애물을 완벽하게 회피하여 주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래서 공중에서 비행하며 점검하는 비행로봇 형태가 개발됐고 최근 회전익 멀티콥터 형태 드론의 비행안정도가 높아짐에 따라 전력산업에도 전력설비 점검에 이용되기 시작했다. 배전설비를 수동조종으로 비행하는 드론을 이용하여 점검해 왔다. 그러나 송전선로나 철탑의 경우, 설비 규모가 크고 경간 거리가 멀어 비행 중인 드론의 위치와 송전선로간의 거리를 가늠하기 어렵기 때문에 드론을 수동으로 시계비행하며 송전선로를 점검하기에는 선로와의 충돌위험에서 자유롭기 어렵다. 또한, 수동조종으로 선정된 웨이포인트(Way-point)에 의존한 자동비행점검도 송전선로에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드론의 전자식 나침판이 오작동하여 비행방향의 오류를 초래하므로 송전선로와의 충돌 가능성이 여전히 상존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송전선로의 자기장을 영향에 대한 드론점검 작업환경을 조사하고 이를 근거로 자기장 영향권 밖에서 비행경로를 생성하여 고배율카메라와 열화상 카메라가 탑재된 상용화 드론을 이용하여 자동비행하면서 송전선로를 점검할 수 있는 체계를 소개한다. 또한, 이 점검체계를 이용하여 충남지역의 154 kV, 345 kV, 765 kV 등 전압별 실 선로에 대하여 적용한 현장시험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국가 재난 관리를 위한 원격탐사 자료 분석 및 활용 - 원격탐사기반 저수지 가뭄 관리를 중심으로 - (Application and Analysis of Remote Sensing Data for Disaster Management in Korea - Focused on Managing Drought of Reservoir Based on Remote Sensing -)

  • 김성삼;이준우;구슬;김용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6_3호
    • /
    • pp.1749-1760
    • /
    • 2022
  • 현대 사회는 갈수록 대형화되는 자연재해와 잦은 재난사고에 의한 인적·사회적 피해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난접근 지역이거나 접근 불능의 위험한 재난 현장을 인공위성이나 드론, 조사로봇과 같은 첨단 조사장비를 활용하여 신속하게 접근하고 유의미한 재난 정보를 적시적으로 수집·분석함으로써, 사전 예방·대비 대책 마련뿐만 아니라 적절한 재난 현장 대응 및 중장기적 복구 계획 수립 등 재난관리 전주기에 걸쳐 국민의 재산과 생명을 지킬 수 있는 중차대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특별호에서는 지구 원격 관측 수단인 인공위성 기술뿐만 아니라 근거리 재난현장 관측센서가 탑재된 이동형 조사차량, 드론, 조사로봇 등 다양한 조사 플랫폼을 활용한 연구원의 재난관리 현업화 기술을 소개하고 있다. 주요 연구 성과로 구글어스 엔진을 활용한 수재해 피해 탐지와 중·장기적 시계열 관측, Sentinel-1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영상과 인공지능을 활용한 저수지 수체 탐지, 산불 재난시 주민 이동 패턴 분석과 재난안전 연구 데이터의 효율적인 통합 관리와 활용방안 연구성과를 소개하였다. 아울러, 접근 불능의 위험한 재난현장 조사시 드론, 조사로봇을 활용한 재난원인 과학조사 연구성과를 기술하였다.

Cross-national Analysis of Robot Research Using Non-Structured Text Analytics for R&D Policy

  • Kim, Jeong Hun;Seo, Han Sol;Lee, Jae Woong;Lee, Jung Won;Kwon, Oh Byung
    • Asia Pacific Journal of Business Review
    • /
    • 제1권2호
    • /
    • pp.63-88
    • /
    • 2017
  • With the advent of new frontiers in robotics, the spectrum of robot research area has widened in many fields and applications. Other than conventional robot research, many technologies such as smart devices, drones, healthcare robots, and soft robots are emerging as promising applications. Due to the research complexity of this topic, this research requires international collaboration and should be fertilized by R&D policies. This paper aims to propose a method to perform a cross-national analysis of robot research with unstructured data such as papers in the proceedings of an international conference. Text analytics are applied to extract research issues and applications in an automatic manner.

무인기 자율임무를 위한 모델 기반 지능형 프레임워크 인터페이스 (Model-Based Intelligent Framework Interface for UAV Autonomous Mission)

  • 손건준;이재호
    • 정보처리학회 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11-121
    • /
    • 2024
  • 최근 영상 인식 등의 인공지능 기술 발전에 힘입어 무인기 자율화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전문 조종 인력 육성에 큰 비용이 들어가는 군용 무인기 분야에서 관련 연구가 늘어나고 있으며, 그중 하나가 정찰용 무인기의 자율적인 임무 수행을 위한 지능형 프레임워크 연구이다. 해당 연구에선 서비스 로봇을 위한 지능형 프레임워크 설계의 방법론을 활용해 무인기용 지능형 프레임워크를 설계하고자 하였다. 무인기의 자율적인 임무 수행 능력을 위해선 지능형 프레임워크와 무인기 모듈의 연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기존 서비스 로봇을 위한 지능형 프레임워크의 모델 기반 인터페이스로는 주기성 메시지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무인기에 대한 연동 제공이 어려웠다. 먼저 주기성 메시지 프로토콜에 대한 메시지 모델의 표현력이 부족했고, 다음으로 주기성 메시지 프로토콜과 지능형 프레임워크의 비동기적 데이터 교환 방식의 상호운용성이 제공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메시지 주기성 서술을 위한 메시지 모델 확장 방법을 제안하여 주기성 메시지 모델에 대한 모델의 표현력을 확보하고, 확장된 모델을 이용한 주기적 및 비동기적 데이터 교환 방법을 제안하여 서로 다른 데이터 교환 방식의 상호운용성을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