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19초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L.) 조림지(造林地)에서 천이(遷移)의 예측(豫測)과 조림학적(造林學的) 제어(制御) (Prediction of Succession and Silvicultural Control in the Black Locust(Robinia pseudoacacia L.) Plantation)

  • 윤충원;오승환;이준혁;주성현;홍성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2호
    • /
    • pp.229-239
    • /
    • 1999
  • 아까시나무 조림지(造林地)의 천이(遷移)를 예측(豫測)하고 조림학적(造林學的) 제어(制御)에 필요한 삼림생태학적(森林生態學的) 자료(資料)를 얻기 위하여 아까시나무 조림지(造林地)의 식생단위(植生單位)를 구분(區分)하였고, 아끼시나무 조림지(造林地)에 출현(出現)한 주요(主要) 종(種)의 경쟁(競爭) 및 천이(遷移)를 분석(分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아까시나무 조림지(造林地)의 식생(植生)은 I. 굴참나무군락(群落)(Quercus variabilis community), II. 며느리배꼽군락(群落)(Persicaria perfoliata community), III. 때죽나무군락(群落)(Styrax japonica community), IV. 깨풀군락(群落)(Acalypha australis community), V. 전형군락(典型群落)(Typical community)의 5개 군락(群落)으로 구분(區分)되었고, 이러한 군락수준(群落水準)의 식생단위(植生單位)는 군(群)(group) 또는 소군(小群)(subgroup)의 하급단위(下級單位)로 세분(細分)되었다. 식생단위별(植生單位別) 종다양도지수(種多樣度指數)는 식생단위(植生單位) 상호간(相互間)에 유의(有意)한 차이를 보였다. CCA법(法)에 의해 식분(植分)을 배열한 결과 1축상의 배열은 해발고, 모래함량, 미사함량 및 유효인함량과 2축상의 배열은 질소, 칼슘 및 칼륨함량과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아까시나무 조림지(造林地)에 출현한 주요 종(種)의 경쟁상태(鏡爭狀態)와 천이경향(遷移傾向)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천이(遷移)의 진행(進行)에 따라 향토수종(鄕土樹種)인 참나무류(類), 단풍나무류(類), 벚나무류(類) 등이 혼재(混在)하는 숲으로 천이(遷移)가 진행(進行)될 것으로 예측(豫測)되었다.

  • PDF

대덕연구단지 산림식생 구조 (Forest Vegetation Structure in Daedeok Science Town)

  • 송호경;이규석;이선;지윤의;이미정;허승녕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3호
    • /
    • pp.169-180
    • /
    • 2001
  • 대덕연구단지의 산림식생은 이차림식생과 조림식생으로 구분되었다. 이차림식생은 소나무군락(Pinus densiflora community)과 상수리나무군락(Quercus acutissima community)으로, 조림식생은 아까시나무군락(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리기다소나무군락(Pinus rigida community), 곰솔군락(Pinus thunbergii community), 밤나무군락(Castanea crenata community)으로 구분되었다. 본 조사지역에서 출현한 종수는 총 217종이었으며, 각 군락별 평균 출현종수는 소나무군락이 21종, 상수리나무군락 20종, 아까시나무군락 20종, 리기다소나무군락 21종, 곰솔군락 21종, 밤나무군락 18종으로 밤나무군락에서 출현종이 가장 적었고, 이차림군락과 조림군락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귀화식물은 조사구내에서 닭의장풀, 미국자리공, 개망초, 가중나무 등 12종이 출현하였고, 등산로와 산림주변부에서는 오리새, 미국가막사리, 도꼬마리, 까마중 등 19종이 출현하여 총31종의 귀화식물이 조사되었다.

  • PDF

도시공원 식재유형별 탄소저장량, 연간 탄소흡수량 및 토양호흡량 비교 - 천안시 두정공원을 중심으로 - (Comparison of Carbon Storages, Annual Carbon Uptake and Soil Respiration to Planting Types in Urban Park - The Case Study of Dujeong Park in Cheonan City -)

  • 한미경;김경진;양금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42-14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천안시 두정공원을 대상으로 도시공원의 식재유형별 수목의 탄소저장량, 연간 탄소흡수량, 연간 토양호흡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두정공원에서 소나무식재림, 상수리나무군락, 상수리나무-아까시나무식재림, 아까시나무식재림을 선정하여 2012년 3월부터 2013년 2월까지 각 식재림을 분석하였다. 탄소저장량과 연간 탄소흡수량은 수목의 흉고직경을 이용한 상대생장식을 활용하여 산정하였고 토양호흡량은 Li-640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소나무식재림, 상수리나무군락, 상수리나무-아까시나무식재림, 아까시나무식재림에서의 탄소저장량은 각각 17.36, 88.63, 115.38, $49.88tonCha^{-1}$였고, 연간 탄소흡수량은 각각 1.04, 2.12, 6.47, $3.67tonCha^{-1}yr^{-1}$로 산정되었다. 개체목당 평균 연간 탄소흡수량은 소나무, 상수리나무, 아까시나무에서 각각 1.81, 17.86, $9.14kgC{\cdot}treeyr^{-1}$로 상수리나무가 가장 높았다. 평균 토양호흡량은 각 식재유형별로 2.20, 1.90, 2.47, $2.51{\mu}mo{\ell}CO_2m^{-2}s^{-1}$로 측정되었고 연간 토양호흡량은 각각 6.66, 5.33, 7.20, $7.25tonCha^{-1}yr^{-1}$로 추정되었다. 본 조사지의 식재유형 중 상수리나무-아까시나무식재림이 탄소저장량과 연간 탄소흡수량이 가장 많아 공원의 탄소흡수원 역할에 크게 기여했고, 소나무식재림은 가장 적게 평가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이산화탄소 흡수원의 역할을 하는 도시공원 수목의 식재와 관리에 필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도시림관리를 통한 식물 종다양성 증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hhancement of the Plant Species Diversity by the Urban Forest Management)

  • 조우;이경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07-119
    • /
    • 199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crease to increase the plant species diversity, which was based on the analysis of plant community structure and the survey of human's disturbance degree in Mt. Yongma and Mt. Acha urban nature park, Seoul. The plant community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y TWINSPAN and DCA. These groups were Pinus rigida-P. densiflora community, Quercus mongolica-Q.aliena-Q.accutissima community, Robinia pseudoacaia-Q.accutissima-Poplus${\times}$albaglandulosa community and R.pseudoacacia community. The successional trends of tree species seems to be from P.densiflora, P.rigida, Sorbus alniflora to Q.mongolica, Q.aliena and from P.${\times}$albaglandulosa, R.pseudoacacia, through Q.accutissima, to Q. mongolica, Q.aliena. The species diversity of plant community was high in natual plant community but was low in artificial planting community respectively. Number of species, number of species individuals, indices of species diversity was lowered and soil hardness was increased by the user's trampling, undercutting work and planting P.koraiensis after thinning. In the basis of study results, we proposed the management plan for the urban forest.

  • PDF

서울 종여울산의 이차림에 관하여 (On the Secondary Forest of Jongyeoul Hill, Seoul)

  • Yim, Yang-Jai;Woon-Young Bai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0권1호
    • /
    • pp.43-51
    • /
    • 1987
  • The forest vegetation of Jongyeoul hill, Seoul, was classified into six secondary forests and two plantations by ZM method; Pinus densiflora, Quercus acutissima, Pinus rigida, Robinia pseudoacacia and Alnus hirsuta-Quercus mongolica community, and Castanea crenata and Pinus koraiensis plantation. In the herb layer the species richness and total coverage of deciduous broad leaf forests showed higher values than those of evergreen needle leaf forests. The peak in July at Q. acutissima forest and in the middle of June at R. pseudoacacia forest. Simpson's diversity index(Ds) in different stands are as follows: Ds>0.6 in R. pseudoacacia forest, Ds=0.3~0.6 in Q. acutissima forest and Ds<0.3 in P. densiflora and P. rigida forest. It is found that, although dominance rank and importance value were originated from different school each other, two measures can be used exchangablym showing almost linear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m in this study.

  • PDF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도시환경림 조성기법연구( I ) -서울시 개포 근린공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lannig Methods of Urban Environmental Forest for Considering Ecological Characteristics( I )-In the case of Gaepo neighborhood Park in the Seoul City-)

  • 이경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8-58
    • /
    • 199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lant community and to propose ecological planning methods for urban environmental forest on Gaepo neighborhood park, Gangnamgu in Seoul. Thirty-six plots that the size of each plot was 10$\times$10m(100\ulcorner) were set up and the veget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Field survey was executed Apirl, 1994. The actual vegetation was consisted of Poplulus$\times$albaglandulosa community(73.03%),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8.30%) P. $\times$ albaglandulosa-R.pseudoacacia community(1.81%) and environmental forest (15.22%) in the survey site. According to mean importance values of each plot, survey area were divided into ten forest communities. As for the analysis of plant community structure which was classified into ten forest communities, the importance values, ecological diversity, number of species, number of individuals, basal area and crown coverage of urban environmental forest were relatively lower than those of the native community. In urban environmental forest of Gaepo neighborhood park, it showed problems for the planting method. So urban environmental forest should be constructed considering ecolog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above results.

  • PDF

태안해안국립공원 식생 현황과 공간분포 특성 (Vegetation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in Taeanhaean National Park)

  • 이선미;명현호
    • 생태와환경
    • /
    • 제48권2호
    • /
    • pp.122-128
    • /
    • 2015
  • 본 연구는 태안해안국립공원에 분포하는 식생 현황 및 공간분포 특성을 분석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식생 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태안해안국립공원에서 확인된 식물군락은 산지 상록활엽수림인 동백 나무군락, 산지 낙엽활엽수림인 소사나무군락, 소사나무 - 곰솔군락, 음나무군락 및 모감주나무군락, 산지침엽수림인 곰솔군락, 곰솔 - 소나무군락 및 소나무군락, 저층습원식생인 갈대군락, 해안사구식생인 순비기나무군락, 갯그령군락, 갯쇠보리군락, 통보리사초군락 및 갯잔디군락, 염습지식생인 해홍나물군락, 식재림인 아까시나무군락이었다. 현존식생도에 나타난 경관유형은 곰솔군락 (3.92%), 소나무군락 (1.40%), 아까시나무군락 (0.05%), 사구식생 (0.11%), 경작지 (0.46%), 해변 (0.24%), 간벌지역 (0.08%), 나지 (0.16%), 바다 (93.58%) 등이었다. 식생유형에서는 곰솔군락이 $14.797km^2$ (3.92%)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였다. 인간 간섭과 이용의 정도에 따라 해안과 내륙에 분포하는 곰솔 군락은 층위구조와 종 조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교란 빈도가 낮은 지역에서는 떡갈나무 및 졸참나무가 잠재적 식생을 형성하여 천이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해안에 분포하는 곰솔군락 하층에는 붉은서나물이, 기지포와 삼봉사구에는 갯그령군락과 통보리사초군락이 우점하고 있으며, 그곳을 중심으로 백령풀이 침입하여 넓게 분포하고 있다. 외래식물인 붉은서나물과 백령풀은 확산속도가 빠르게 나타나고 있어 해안식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대한 모니터링 및 관리방안이 요구된다.

溫山工團 周邊의 森林植生에 관한 調査 (Study on forest vegetation in the vicinity of onsan industrial complex)

  • Kim, Jong-Gab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5권3호
    • /
    • pp.231-246
    • /
    • 1992
  • In order to estimate effects of air pollution for pinus thunbergii forests arounding onsan industrial complex, structure of forest vegrtation was surveyed. In the survey of forest vegetation, pinus densiflora have been died or being withered, and importance value(I.V) of rhododendron mucromulatum and lespedeza spp. were low at the vicinity of industrial complex. Especially lespedeza maximowiczii and l. maritima were not entirely appeared at the vicinity of industrial complex. I.V. of quercus serrata, robinia pseudoacacia and alnus firma were preferably high at the vicinity of industrial complex, and those of smilax china, rubus crataegifolius and rhus trichocarpa were similar at every site and it could be guessed that those had a tolerance. Number of species had a difference over 10 species at the vicinity of industrial complex as compared with those of remote sites, and species diversity showed highly at the farther sites of industrial complex, and also at the low layer, number of species, species diversity and evennes were low at the vicinity of industrialcomplex and species weakened to air pollution were disappearing. It was possible that forest vegetation would be changed from pinus spp. to community of a. firma and r. pseudoacacia.

  • PDF

골프장내 잔존림을 활용한 친환경적 프로그램 적용가능성 연구 - 인천시 S 골프장을 대상으로 - (A Study on Application of Environmental-friendly Program for Using Relict Forest in Golf Course - Focusing on the "S" Golf Course in Incheon -)

  • 강현경;백승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13-126
    • /
    • 2013
  • 본 연구는 골프장 잔존림내 식생현황을 파악하여 친환경 골프장으로서의 생태교육프로그램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에 위치한 S골프장으로 전체면적 약 $3,298,428m^2$이었으나 잔존림 면적은 약 $225,143m^2$이었다. 잔존림을 대상으로 기존 토지이용, 지형구조, 식물상, 현존식생, 식물군집구조를 실시하였다. 잔존림은 기존 토지이용현황(1999)과 비교 분석한 결과, 산림지역(89.2%)과 나대지내 삼목토성을 포함한 주변지역(10.8%)에 존치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잔존림이 분포하는 두 개 코스(오션, 하늘)의 식생현황으로 오션코스는 참나무류 혼효림, 상수리나무림과 같은 자연림, 암반지역내 곰솔 복원림, 삼목토성 인공림(가중나무-아까시나무림, 아까시나무림) 및 상수리나무-보리수나무 대경목지로 구분되었다. 하늘코스는 인공림인 리기다소나무림과 아까시나무림이 중심식생이었다. 본 식생유형별 조사구(단위면적 $100m^2$)내 참나무류 자연림에서는 26~28종, 곰솔복원지 3종, 하늘코스의 인공림은 5~7종으로 자연림, 복원림, 인공림에 있어 대조적인 양상의 식생종 분포현황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식생현황에 기초하여 오션코스는 참나무류 자생숲, 곰솔 복원숲, 삼목토성의 생태 이야기로 구분하여 공간별 생태적 테마를 구상하였다. 하늘코스는 아까시나무 및 리기다소나무 중심의 인공숲 관찰지와 아까시나무 향기숲 공간으로 구상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골프장 친환경인정제의 도입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는 시점에서 골프장 잔존림별 식생현황을 토대로 골프장 생태환경에 대한 인식향상 및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 제공에도 주요한 자료로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임자도 대광사구의 식생유형과 대상분포 특징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Type and Zonation on Daegwang Coastal Dune in Imja-do, Korea)

  • 김윤미;이중효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76-587
    • /
    • 2012
  • 임자도 대광사구의 현존상관식생은 해안 방풍림으로 조성된 곰솔군락이 가장 넓게 분포하고 아까시나무군락, 갯그령군락, 띠-갯그령군락, 통보리사초군락, 갯쇠보리군락, 띠군락, 갈대군락, 띠-산조풀군락이 띠모양 또는 파편화로 분포하였다. 조사지점 74개소에 대해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한 결과, 대광사구식생의 종조성은 7개군락, 5개군으로 총 10개 식생단위로 유형화되었다. 7개 군락은 곰솔군락, 갯그령군락, 아까시나무군락, 해당화군락, 갯쇠보리군락, 통보리사초군락, 산조풀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곰솔군락의 하위단위로 고사리군, 갯그령군, 곰솔전형군의 3개군과 산조풀군락의 하위단위로 갈대군, 산조풀전형군의 2개군으로 구분되었다. 종의 해안선으로부터 대상분포는 갯그령 - 통보리사초, 좀보리사초 - 갯완두 - 갯메꽃 - 순비기나무, 갯완두, 갯쇠보리 - 해당화 순으로 나타났다. 종단면을 분석한 결과, 전사구의 초본식생의 폭이 넓고, 전사구 전면부의 경사가 완만하며, 사구열이 많고, 구조물이 없는 유형이 사구의 침식에 덜 취약하고, 회복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