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ad structures and facilities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4초

터널시설물 점검진단 데이터의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통한 유형별·지역별 중점 유지관리요소의 이해 (Understanding Facility Management on Tunnel through Text Mining of Precision Safety Diagnosis Data)

  • 서정은;오진탁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85-92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key factors for efficient maintenance of rapidly aging facilities. Therefore, the safety inspection/diagnosis reports accumulated in the unstructured data were collected and preprocessed. Then,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text mining analysis method. The derived vulnerabilities of tunnel facilities can be used as elements of inspections tha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facilities during regular inspections and daily inspections in the short term. In addition, if detailed specification information and other inspection results(safety, durability, and ease of use) are used for analysis, it provides a stepping stone for supporting preemptive maintenance decision-making in the long term.

임도시설에 관한 관리자 집단 간의 의식성향 분석 (Preference Analysis between Two Administrator Groups on Forest Road Facilities)

  • 지병윤;권형근;황진성;정도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4호
    • /
    • pp.449-455
    • /
    • 2016
  • 본 연구는 임도사업의 계획과 유지관리 단계에서 임도 관리자 집단의 의식성향을 파악하여 체계적인 임도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임도의 계획과 유지관리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임도 노선의 계획시 고려사항으로는 육림작업, 산지재해 예방, 목재수확 등의 항목에서 높은 중요도를 보였으며, 간선임도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임도 유지관리 작업의 적절성에 대해서는 두 집단 모두 인력 및 예산부족으로 인한 어려움(92.9%)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임도의 개설로 우려되는 주요 피해형태로는 사면붕괴로 인한 인명피해, 사유지 통행에 대한 분쟁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실행하고 있는 임도 유지 관리작업의 주요 내용으로는 배수시설의 정비와 노면정비가 높게 나타났다. 임도시설에 대한 주요 보완사항으로는 배수시설, 비탈면 녹화와 안정에 대한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도시고가도로 입지구간 가로환경 설계 -능동로 '걷고싶은 거리'의 구간을 대상으로- (Designing the Space under the Urban Elevated Road -A Case Study for Nengdong-Ro Street-)

  • 진양교;홍윤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36-146
    • /
    • 2000
  • Although the urban elevated road is welcomed in modern society to deal with urban traffic problems, its negative influence on both the pedestrian environment and urban landscape has been frequently observed. Furthermore, the space under elevated structures has been ignored, being the lost space. Recently, several efforts have been devoted into bringing back the lostspace. However, any specific design guidelines shown in the street design of Japan and Singapore have not been suggested in Korea, yet. This study proposes a case of the Nengdong-Ro street design where the two-story urban elevated road is being constructed and negative effects of the elevated road are largely expected. One of the purposes of Nengdong-Ro street design proposed in this study is to relieve the negative effect os the two-story elevated road, and to provide a better pedestrian environment in Nengdong-Ro. The other purpose is to suggest general guidelines that can be applied to the similar context as Nengdong-Ro. It is considered that the space under the elevated road generally consist of three sections: 1) main section where the elevated road runs parallel with the ground, 2) landing section where elevated road goes down to the ground, and 3) facility section where facilities such as the platform and the ticketing booth are located. The design guidelines are suggested for each section, because each section has a different situation. Plans, section and elevations and the details of the street furniture are also incorporated to support the design guidelines.

  • PDF

GFRP를 활용한 도로 방음벽 구조물의 구조성능 및 단면형상 개선에 관한 연구 (Improvement of Flexural Structural Performance and Applied Section Shape for Sound Proof Wall Structures Using 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GFRP))

  • 정우영;최현규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9-15
    • /
    • 2009
  • 본 연구는 도로안전 시설물의 풍하중에 의한 손상발생 사례를 토대로 현행 도로안전 시설물의 구조적 휨 성능을 평가하고 이에 대한 부재별 휨 성능개선을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구조물로는 대표적인 도로안전시설물이며 풍하중에 대한 선행 피해사례가 밝혀진 방음벽 지주프레임을 대상으로 고려하였으며 이들 지주프레임의 휨 구조성능 및 형상설계에 대한 평가를 우선적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평가 결과에서 나타난 현행 보강재의 구조적 성능을 토대로 중량 대비 구조적 강성이 우수한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 (GFRP)을 활용하여 다양한 보강 형태에 따른 성능개선방법을 해석 및 실험적 연구를 통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효율적 성능개선을 위한 GFRP 적용방법의 경우 구조적, 시공적 측면에서 효율적인 것으로 평가되었고 자체적인 형상단면 최적설계를 통한 개선방법도 성능보강에 효과적인 것으로 해석적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GFRP 단면보강 및 최적형상설계 연구는 향후 노후 도로안전 시설물의 풍하중 또는 태풍으로 인한 피해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복합소재 기둥 구조의 실차 충돌 해석에 의한 탑승자 안전성 평가 (Passenger Safety Assessment by Real Car Crash Simulation of Composite Post Structures)

  • 김규동;이상열
    • 복합신소재구조학회 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15-20
    • /
    • 2014
  • This study carried out passenger safety assessment by real car crash simulation of composite post structures for road facilities. The effects of different material properties of composites for various parameters are studied using the LS-DYNA finite element program for this study. In this study, the existing finite element analysis of steel post structures using the LS-DYNA program is further extended to study dynamic behaviors of the structures made of various composite materials. The numerical results for various parameters are verified by comparing different models with displacements and stress distribution occurred in the post and car.

한국 농촌자연부락의 녹지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en Space System in Korean Rural Settlement.)

  • 문석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43-56
    • /
    • 1987
  • The concept of ‘Open Space’ is conceived to be very valuable subject of interest in developing modern settlement system. In Korea, many new and old residential sites have been developed or renewed to fulfil the housing demands. And such trends seem to continue for the time being. What is more, the requirments for more comfortable residential environments, that is deeply concerned with ‘Open Space’, inorease gradually. As a basis for designing more efficent residential environments to fit Korean morden life style, self - grown, traditional and agricultural villages are studied. This study is concenturated on the Open Space System with its socio - cultural and physical backgrounds. For this, data and materials are some widely collected and are analysed focused on the systems and structures of ‘Open Spaee’. Som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 1. It is assumed that the number of houses per village is around 60, and that its area reaches to the radious of 3-4km. 2. ‘POONGSU’is a generally adopted theory based on natural elements like mountians, waters, and orientations when locating villages and composing their spatial structures. As a result of this, the basic structures of villages and Open Space are defined. 3. Circulation system is integrated to the hierachyal order system ; that is, Passing Road \longrightarrowEntry Road\longrightarrowCentral Read\longrightarrowDisperse and Access Road. 4. The natural and agricultural land uses are overlapped with diverse outdoor activities - religious services, play and recreation, relaxation, etc - without any physical modification. 5. At each villages, several artificial and spot - like green facilities are found. And distinctive functions, meanings, and locationalities are given to each of them. On that, they become a visual and psychological centers of each village. 6. In addition to its basic function of circulation, Central Road takes the sence of place for outdoor activities. Because of this charactor, it plays an important role of activating the village life and binding the various Open Space elements.

  • PDF

도로배수 취약구간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f Improvement on the Road Drainage Poor Site)

  • 이만석;김흥래;이경하;강민수;송민태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25-131
    • /
    • 2011
  • 본 연구는 도로 운영시 강우로 인하여 발생하는 배수 취약구간에 대하여 현장 조사를 통하여 도로 배수 취약구간의 발생 원인을 과학적이고 구체적으로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로 배수 취약구간의 발생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배수취약구간에 대한 기존 연구결과 및 현황 자료를 검토하였으며, 도로 노면 배수시설과 도로 인접지 배수시설에 대한 취약구간을 조사 및 분석한 결과, 시공 및 기타의 원인으로 발생한 배수 취약구간이 45.7%, 도로의 기하구조가 원인이 된 배수 취약구간은 32.3%, 도로의 수리 수문의 원인은 22.0%로 분석되었으며, 분석된 원인 별 개선 방안으로서 i)시공 및 기타 부분에서는 토사측구의 재료 변경, 단면의 크기 상향 및 수리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용량의 산정을, ii)도로의 기하구조 측면에서는 편경사 및 종단선형을 고려한 합성경사의 도출 및 범위 산정과 종단 오목부 구간의 배수구조물 적정 간격의 제시를, iii)도로의 수리 수문 측면에서는 1분단위 강우강도식의 사용과 노면 강우의 부등류 흐름 해석 기법의 적용과 선형 배수방식에 따른 도로 노면 강우의 신속배제를 개선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도심지 노면하부 지반함몰 및 공동탐사 사례 연구 (Study on Subsurface Collapse of Road Surface and Cavity Search in Urban Area)

  • 채휘영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7권6호
    • /
    • pp.387-392
    • /
    • 2017
  • 최근 도심지 도로 하부 지반함몰 사고는 상수관로, 하수관거, 통신관로, 가스관로, 배전지중관로, 지하철 등의 다양한 공익시설 및 지하구조물이 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시설물의 부적절한 시공, 노후로 인한 시설물 손상, 유지관리 소홀이 그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다. 도로함몰은 도로하부에서 매설관 파손 등의 원인으로 공동이 발생한 후 공동이 성장 확대되어 포장면 하부까지 도달하고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하중을 도로포장 부분이 지탱할 수 없을 정도의 소성변형이 발생하여 갑자기 함몰이 발생할 경우 인명피해 및 교통장애를 초래하는 등 사회전반적인 안전과 경제 발전에 위협이 될 수 있다. 서울시에서는 도로 하부의 공동이 함몰되기 이전 단계에서 3D GPR 탐사를 통해 발견하여 복구함으로써 지반함몰에 따른 피해를 사전에 차단하는 노력이 우선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그 사례를 소개하였다.

어린이 보호구역의 안전성 제고를 위한 교통 안전시설 실태연구 (The Research of Existing Traffic Safety Facilities Condition for Enhancing in School Zone Safety)

  • 박병규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01-109
    • /
    • 2013
  • Children are out future society members but they are not well cared to be safe from various accidents. This is due to facilities were installed upon the children's for adults which can not provide safe traffic environment for children's schooling who are not fare enough experience and matured. "The Rule of declaim for school zone and it's Management"was established in the year 1995 based on the article 11 by the "Road Traffic Low". And 15,136 school zone declared by the above rule. In this study, four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Nowon-gu are selected and analyzed about state of elementary school, scope of school zone, installation of street furniture, and safety signs. The analysis showed that scope of school zone is currently set in 150-meter though the regulation is within 300-meter radius. Therefore, expansion of the scope is required. It is necessary to take control of vehicle during commuting times and holograms which can be noticed in school zone have to be installed as well. Through these improvements, safety zone will be offered to children effectually.

NGIS 표준에서 제시된 도로·도로시설물 항목 및 표준코드의 보완 및 확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ification of the Standard Items and Codes for the Road and Related Facilities suggested by NGIS)

  • 김성훈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7-75
    • /
    • 2001
  • 현재 완료 및 진행되고 있는 GIS관련사업에서 발견되고 있는 큰 문제점 중 하나는 동일지역, 동일 대상물의 정보관리에 있어서 각 시행단체가 서로 다른 정보관리 항목, 명칭, 코드 등의 표준을 사용함으로써 정보호환 및 공유에 적지않은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는 점이다. 정부에서 제시된 GIS표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은 정부제시 GIS표준의 문제점 및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현재 제시되어있는 NGIS표준은 GIS를 구축하고자하는 각 단체의 요구사항을 수렴할 수 있도록 반드시 보완 및 확장되어야 한다. 이에 현 논문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파일롯 연구의 일환으로, 도로 및 도로시설물의 표준항목 및 표준코드 부분에 관해 정부제시 표준의 보완 및 확장에 대한 안을 제시하였다. 같은 형태의 연구가 정부제시 표준의 전면적인 보강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