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verbed

검색결과 258건 처리시간 0.028초

평균하상 개념을 적용한 낙동강 하상변동 경향 분석 (Analysis of the trend of Bed Change in the Nakdong River applying the concept of average riverbed)

  • 김성준;김창성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235-235
    • /
    • 2022
  • 하천정비 계획을 수립하거나 하천 구조물을 계획하는데 필요한 하상변동은 최심하상의 변화나 계획 홍수위에 대한 평균하상으로 나타낸다. 그러나 최심하상의 변화를 이용할 경우에는 국부적인 하상변동이 지나치게 과대 평가되어 전체 하상변동 경향에 오해를 불러 올 수 있으며, 계획 홍수위를 이용한 평균하상 개념을 이용하면, 평균하상이 지나치게 높게 위치하여 평수위를 상회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실제적인 하상으로 보기 어렵다. 즉, 계획 홍수량을 이용하여 평균하상고를 산정하면 평상시 물에 잠기지 않는 바닥면보다 평균하상이 높게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계획홍수위가 아닌 연평균 홍수위를 활용하여 연평균하상의 개념을 적용하여 보 개방했을 때의 낙동강 하상변동 분석을 비교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지점은 낙동강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낙동강 하천기본계획에서 계획홍수위와 연평균 홍수를 이용하여 평균하상을 계산하였다. 1차원 수치모형인 HEC-RAS를 이용하여 2013년도와 2016년도의 하천 단면에 대해 연평균 홍수량을 입력하여 연평균 홍수위와 연평균하상고를 산정하였으며 기존 계획홍수위보다 연평균홍수위를 기준으로 활용하였을 때 가장 타당한 것으로 보여졌다. 향후 본 연구를 통해 연평균하상의 개념이 적용된 결과를 기반으로 기존의 계획평균하상보다 직관적이고 적절하게 하상고를 대표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인공위성영상을 이용한 하천의 퇴적/침식 분석 (Analysis of Accumulation/Erosion in River Using Satellite Image)

  • 양인태;김동문;천기선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7-45
    • /
    • 2006
  • 여름철에는 집중강우에 의한 산사태, 하천범람, 하천구조물의 피해가 심각하다. 특히 토양침식의 증가는 하상퇴적과 저수량 저하 등의 홍수재해를 발생시키며, 상류에서의 침식증가는 토사의 하천범람, 농경지와 시가지 매몰의 형태로 나타난다. 현재까지의 피해현황 조사는 답사 위주의 조사가 주를 이루고 있어 효율적인 피해조사에 한계가 있으며, 따라서 효과적이며 과학적인 모델링 기법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공간 해상도의 인공위성영상 분석 비교를 통해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모니터링 자료원으로의 활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으며, 토사재해(침식/퇴적) 피해 현황 정보의 추출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위성영상의 해상도별 분석을 통하여 토사재해 피해현황판독 활용 가능성을 연구하였고, 하천 미세지형 변화의 판독을 위한 KOMPSAT 영상의 활용성을 연구하였다.

급경사 자갈하상 만곡수로의 최대세굴심 산정공식 평가 (Estimation methods of maximum scour depth in steep gravel-bed bend channel)

  • 조재웅;남아름;우태영;박상덕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9권6호
    • /
    • pp.529-536
    • /
    • 2016
  • 본 연구는 급경사 자갈하상 만곡수로의 이동상 수리실험을 이용하여 만곡부 최대세굴심 산정공식들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평균입경 43mm의 하천자갈을 $90^{\circ}$ 만곡 급경사 개수로에 포설하고 유량과 하상경사에 따른 만곡부의 최대세굴심을 조사하고 세굴심 공식으로 산정한 최대세굴심과 비교하였다. 자갈하상 만곡부 국부세굴은 유입부의 하상경사 0.02이상 $F_r$ 0.95이상에서 발생하였다. 이 수로에서 Lacey공식과 Zeller공식을 제외한 기존 세굴심 산정공식들은 최대세굴심을 과대 추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상재료를 고려한 Lacey공식과 접근경사와 만곡도를 반영한 Zeller공식은 급경사 자갈하상 만곡부의 최대세굴심 평가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동적수질예측결과의 확률분포특성을 이용한 목표수질 달성가능성 평가 (Assesment of Water Quality Standards using Stochastic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between Dynamic Modeling Results and Observed Data)

  • 하성룡;이지헌;서세덕;이승철;박정하
    • 환경영향평가
    • /
    • 제17권1호
    • /
    • pp.47-56
    • /
    • 2008
  • Total Maximum Daily Load(TMDL) is a core basin management system to assign total emissions of pollutants to unit basin and emission source within a limit of the target water quality and to secure sustainability. considering "Environment and development" together. By current technical guidance of TMDL, the water quality in the riverbed of which the target water quality is noticed, must achieve the target; and the water quality standard for evaluating achievement of the target should be prescribed as non-excessive probability quality of water on the basis of the pertinent water quality documents. Therefore, the study calculated the target water quality by each unit basin which the target water quality must be noticed through the analysis of probability for water quality documents in rivers at the time of establishing a plan, and the study evaluated the achievement possibility of the target water quality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target water quality plan with the standard water quality to evaluate the achievement of the target water quality. As the result, applying the proposed method to Mihocheon River system, it is concluded that selected the target water quality (Each BOD 3.3mg/1 and BOD 3.0mg/1) in Miho A and Musim A is available. Of course, it showed that the target water quality: BOD 2.5mg/1 in Miho A and BOD 3.0mg/1 in Musim A, could be achieved if the small reduction in B unit area was implemented.

낙동강유역 시멘트혼합토의 강도특성 (Strength Characteristics of Cemented Sand of Nak-dong River)

  • 김영수;정우섭;석태용;임안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43-52
    • /
    • 2006
  • 최근 이상기후 및 집중호우로 인해 낙동강유역의 많은 지역이 재산 및 인명손실을 크게 입고 있다. 이러한 재해 대책의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일본에서 본댐공사시 가물막이댐으로서 많이 활용하고 있는 CSG공법의 제방축조재료로서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낙동강 유역의 하상재료인 빈입도의 모래를 시멘트와 혼합한 시멘트혼합토의 강도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낙동강유역 2지점의 모래와 시멘트의 혼합율을 2~8%까지 변화시키면서 다짐 및 CBR시험, 일축압축시험 그리고 중형삼축시험을 실시하여 시멘트혼합율과 재령에 따른 압축강도, 탄성계수, 그리고 변형에 따른 응력의 특성등을 검토함으로서 제체재료의 적합성 검토, 설계 및 해석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디지털 영상을 이용한 수중구조물 측량 (Submerged Structure Surveying using Digital Image)

  • 박경식;정성혁;안정욱;이재기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01-408
    • /
    • 2005
  • 현재 많은 구조물들이 수중에 건설되고 있으나. 수중환경은 지상과 비교하여 다른 매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수중구조물의 측정이 어려운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수중 구조물의 측정 방법은 줄자나, 깊이 게이지, 음향 위치시스템 등을 사용한다. 그러나, 줄자는 수중에서 정확한 장력을 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정확한 거리를 측정하기 어렵고, 깊이 게이지는 설치에 장시간이 걸리는 단점이 있으며, 음향위치시스템은 제한된 공간에서 밖에 작업을 할 수 없고, 가격이 고가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물-유리-공기와 같은 다중매질에서 광선의 경로를 이해하며 둘째, 현장에서 카메라 검정을 실시하여 내부표정요소를 비교하였다. 셋째, 큐브를 이용한 정확도 실험을 통해 사진측량을 수중대상물에 적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알아보고, 마지막으로 교각모형과 하상의 수중대상물에 대해 수중사진측량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수중 구조물과 수중지형에 수중사진측량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대청호내 흐름 및 유입 부유사 확산 모델링 (Modeling of Water Circulation and Suspended Sediment Transport in Lake Daecheong)

  • 정태성;황정화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67-82
    • /
    • 2003
  • 해양, 하천, 호수 등에서 퇴적물 수송과정을 모의할 수 있는 2차원 모형을 수립하였으며, 홍수시 대청호로 유입되는 입자성 오염물질의 이동경로를 파악하기 위하여 부유퇴적물 이동-확산 모델링을 시도하였다. 또한, 복잡한 지형을 가진 대청호의 흐름특성을 파악하고, 퇴적물 수송모형의 입력자조로 이용하기 위하여 2차원 흐름모델링을 수행하였다 홍수시 모의된 수위변화는 관측결과와 일치하는 양호한 계산결과를 보였다. 평상시는 유속이 5 cm/sec이하였으나, 최대유량이 3,852 CMS에 달하는 홍수시 대청호 유입수로에서 최강유속은 최대 약120 cm/sec까지 증가하였다 대청호로 유입되는 세립질 부유사는 홍수시는 대청댐까지 강한 유속에 의해 도달하나 유속이 약한 평상시에는 대청댐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대부분 유입수로에 침전하였다 모의결과는 대청호 수질관리대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기능을 상실한 보 철거를 통한 하천생태통로 복원 - 곡릉천 곡릉2보 철거를 대상으로 - (Stream Eco-corridor Restoration by Out-aged Small Dam Removal - Focused on Gokreung River Gokreung 2 Small Dam Removal -)

  • 안홍규;우효섭;이동섭;김규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40-54
    • /
    • 2008
  • Small and large dams are installed in the course of a stream for maintaining the water level of the stream or obtaining agricultural water. Currently about 18,000 of them are installed in Korea to supply water. However, the environmental problems of small dams are well known : the interruption of stream eco-corridors, deterioration of water quality in the upper reaches of the small dam, changes in the habitats of riparian organisms, damages to the stream scenery. In a very few of these small dams artificial eco-corridors like fishways are installed, but the number is very minimal.Accordingly, to efficiently restore stream eco-corridors by removing these small dams, it will be necessary to closely examine physical impacts, such as changes in the riverbed and changes in the shape of the stream caused by the removal, chemical impacts, such as changes in water quality, and transport and accumulation of contaminated sediments and biological impacts, such as changes in the habitats of organisms, and develop related technologies in advance, and have these technologies verified through demonstration application in the site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hysical, chemical and ecological impacts of the removal of the above-mentioned small dams, and conducted a research on the demonstration small dam removal project for a spot investigation. As a result, the small dam removal will restore the eco-corridor, there by improving the habitat of fishes and crustaceans. The number of major underwater organisms inhabiting the Gokreungcheon, such as Korean spotted sleepers, Chinese minnows, Microphysogobio yaluensis, Abbottina rivularis, stone morokos, striped shinners, long-nosed barbels, and Chinese mitten crabs, is expected to increase, and the food chain in the ecosystem will improve so that species diversity will improve as well.

UAV를 이용한 소하천 지형자료 구축에 관한 효율성 제고 (An Improvement of Efficiently Establishing Topographic Data for Small River using UAV)

  • 여한조;최승필;유연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8
    • /
    • 2016
  • 최근 무인항공기(UAV, Unmanned Airborne Vehicles)의 기술적 발달로 해상도와 정확도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인항공기는 지표면의 영상취득뿐만 아니라 저고도로 촬영할 경우 하천 저수심부의 영상도 취득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인항공기를 저고도로 촬영하여 하천지형정보를 취득하고 수심에 따른 정확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수심정확도 분석은 저수심부 지형의 GPS 관측값과 무인항공기 영상에서 생성한 DSM 값을 비교 분석을 하였다. 수심이 50cm이하에서의 저수심부는 일반측량 작업규정의 하천공사 설계측량의 수직위치 정확도 ${\pm}10cm$를 만족시킴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수심이 깊지 않은 하천의 경우 무인항공기 촬영으로 취득한 하천지형자료가 수심측량 자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GFRP로 보강된 순환골재콘크리트 블록의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Block Reinforced with GFRP)

  • 김용재;이현기;박철우;심종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6565-6574
    • /
    • 2013
  • 세굴방지, 하천사면보호, 하상구조물보호 등을 위해 국내에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콘크리트 블록은 항상 물 또는 습윤한 환경에 접하게 되므로 내부보강재로 사용된 철근에 부식이 발생될 확률이 높으며 이로 인해 블록의 성능과 내구성이 크게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부보강재를 GFRP 보강근으로 대체하여 철근부식에 따른 성능저하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하였으며, 콘크리트 블록에 사용되는 콘크리트에는 순환골재와 조강시멘트를 적용하여 현장적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조강시멘트를 사용한 순환골재콘크리트는 기존 콘크리트에 비해 작업성과 탈형강도는 유사하였으며, 재령 28일 압축강도는 약 18% 증가되었다. 하중저항성능을 측정한 결과, GFRP 보강근이 적용된 순환골재콘크리트 블록은 기존 콘크리트 블록에 비해 약 10~30%의 하중저항성능이 향상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