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ver wetland

검색결과 240건 처리시간 0.024초

GIS를 활용한 천변저류지 적지분석에 관한 연구 (A Case of Analysis of Constructed Wetland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하성룡;이재일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07-112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천변저류지 입지선정에 대해 GIS를 활용한 적지분석 방법을 정립하는데 있다. 천변저류지는 자연의 본래의 모습을 최대한 보존하면서 홍수조절 및 유량 확보 그리고 생태학적인 측면에서 앞으로의 설치가 확대될 가능성이 큰 조절지이다. 적지분석의 과정으로 범람지역의 DB구축, 사회 경제적 지표분석, 그리고 GIS를 활용한 공간분석의 방법을 수행했다. 여러 요소들의 결과들을 GIS를 활용한 중첩연산 기능을 수행하여 천변저류지의 가능지에 대한 분석을 하였으며, 천변저류지 가능대상지들에 대한 저류 면적 및 저류용량에 대한 분석을 하여 천변저류지 가능 대상지들에 대하여 평가가 가능하도록 지표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적지분석에 대한 방법론 제시와 더불어 경상남도 창녕군 토평천 유역을 대상지로 선정하여 적지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 PDF

GIS와 원격탐사를 이용한 낙동강 하구 습지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Wetland Database for the Nakdong River Estuary using GIS and RS)

  • 이기철;윤해순;김승환;남춘희;옥진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15
    • /
    • 1999
  •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의 습지를 대상으로 습지생태계의 종합적인 정보 추출을 위해 지리정보시스템 및 원격탐사 기법을 이용하여 습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습지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해 낙동강 하구를 대상으로 1998년 3월부터 9월까지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Landsat TM 영상자료(1997. 5. 17)를 1:50,000 지형도로 기하보정한 후, 감독분류 및 무감독분류를 실시하여 현지 식생조사 자료와 비교, 분석해 습지분류도를 제작하였으며, 습지식생의 활력을 측정하기 위해 중합차식생지수(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에 의한 식생활력도 지도와 습지의 생산력을 분석하기 위해 낙동강 하구 습지의 우점식물종인 갈대군락의 생산성에 근거한 습지생산력 지도 및 습지식생의 변화를 사전에 예측한 식생천이 예상도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낙동강 하구 습지생태계 데이터베이스는 습지생태계 보존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으며, 식물 뿐 만 아니라 습지생태계 전반에 대하여 상세한 정보구축이 이루어지면 습지보존과 관리가 효과적으로 실현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기법들은 우리나라 전역의 습지목록 작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한강살리기사업에의한 한강 여주 구간의 하천 지형 변화 고찰 (Investigation of Changes in Fluvial Landforms in the Yeoju Reach of the Han River by the Han River Restoration Project)

  • 김종연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9-46
    • /
    • 2020
  • In this study, changes in the fluvial landforms of the Yeoju section of the Han River, which was made up of the Han River Restoration Project, were examined through existing previous research data, government's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data, satellite images, and field observations. For example, In the vicinity of Dori Island, the most upstream part of the study section, the location of the confluence of the Han River and Cheongmi Stream was changed, and it was found that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sand sedimentary layer disappeared. In the Bawuinupgubi area, the wetland, which is the first class in the ecological nature, was greatly modified, and the elevation of the ground rose as Gangcheon island and it wa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river by dredging The confluence of Geumdangcheon and the point bar of Yeonyang-ri in the south were also dredged, turned into an artificial waterfront park, and a chute channel remained in the form of a wetland was also developed as a recreational park. The deposional forms around Baekseok-ri islands also disappeared as dredging was carried out. Among the areas adjacent to the confluence of Bokcheon and Yangchon-ri Island, some sedimentay forms remains, but the abandonned channel between Yangchon-ri and the northern river bank has been changed into a riverside reservoir through dredging and embankment construction, and the waterway of the tributary river(Yazoo) has been greatly changed.

낙동강 지류의 하천 습지에 자생하는 수생식물에서 분리된 내생균류의 다양성 (Diversity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Hydrophytes in Wetland of Nakdong River)

  • 유영현;이명철;김종국
    • 한국균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3-19
    • /
    • 2015
  • 낙동강 지류의 하천에 자생하는 5종류의 수생식물인 마름, 물억새, 미나리, 부들, 및 줄을 채집하였다. 수생식물의 뿌리에서 분리된 34균주의 내생균류는 ITS영역 염기 서열을 분석하였다. 분리된 모든 내생균류들에 대하여 다양성 지수와 계통분석을 수행하였다. 내생균류는 17속으로서, Acremonium속, Alternaria속, Aspergillus속, Cladosporium속, Emericellopsis속, Fusarium속, Galactomyces속, Leptosphaeria속, Microsphaeropsis속, Penicillium속, Peyronellaea속, Phoma속, Pseudeurotium속, Rhizomucor속, Talaromyces속, Trematosphaeria속, Zalerion속 등이 분리되었다. 5종류의 수생식물에서 Alternaria, Talaromyces속의 균류들이 비교적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낙동강 지류의 하천 습지에 자생하는 수생식물 군락에서 공생하는 내생균류의 다양성에 대한 연구이다.

Utilization of nitrate stable isotopes of Chydorus sphaericus (OF Müller) to elucidate the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riverine wetlands in the Nakdong River, South Korea

  • CHOI, Jong-Yun;KIM, Seong-Ki;KIM, Jeong-Cheol;LA, Geung-Hwa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3권4호
    • /
    • pp.461-468
    • /
    • 2019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NO3--N sources using the stable isotope δ15N in Chydorus sphaericus (OF Müller), to investigate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nutrient states in artificial wetlands near the Nakdong River. Chydorus sphaericus is dominant in wetlands where aquatic plants are abundant, occurring in high density, and is sensitive to wetland water pollution, making it suitable for identification of NO3--N sources. Results: NO3--N sources for each wetland were strongly dependent on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Wetlands with sewage or rainfall/groundwater as their main sources had high levels of NO3--N, whereas wetlands with surface water as their main input had comparatively lower levels. Since wetlands with sewage and rainfall/groundwater as their main water sources were mostly detention ponds, their inputs from tributaries or the main river stream were limited and nutrients such as NO3--N easily become concentrated. Changes in NO3--N levels at each wetland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δ15N of C. sphaericus. Interestingly, regression analysis also show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δ15N of C. sphaericus and NO3--N level. Conclusions: We conclude that the nitrate stable isotope (δ15N) of C. sphaericus can be used to elucidate the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riverine wetlands. This information is important for maintenance and conservation of artificial wetlands at the Nakdong River.

만경강 신천습지의 식물군락별 종조성적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Species Composition by Plant Community in the Shincheon Wetland of Mangyeong River, Jeonbuk)

  • 조광진;이정아;임정철;추연수
    • 환경영향평가
    • /
    • 제31권6호
    • /
    • pp.409-422
    • /
    • 2022
  • 하도습지는 하천 생태계의 중요한 요소로 지금까지 조사된 내륙습지 목록의 약 38%를 차지하고 있다. 만경강에 위치한 신천습지 또한 보 축조로 유속이 느려지고 퇴적물이 쌓이면서 형성된 하도습지이다. 신천습지의 보전 가치와 생태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식물사회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식생 및 식물 다양성을 파악하였으며, 총 45개의 식생자료가 수집되었다. 총 153분류군(49과 117속 146종 2아종 5변종)으로 구성된 24개 식물군락이 구분되었다. 종조성적으로 군락별 출현율이 가장 높은 식물은 환삼덩굴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소리쟁이, 참새귀리, 개망초, 쑥 등과 같이 이차초지에서 생육하는 일년생 초본 식물종이 빈번하게 관찰되었다. 귀화식물은 38분류군이 조사되었고 도시화지수는 10.3%, 귀화율은 24.8%로 분석되었다. 식물군락은 크게 침수식생, 부엽 및 부유식생, 일이년초본식생, 다년생초본식생, 목본식생으로 분류되었다. 일정 수심을 유지하며 유속이 느린 유수역과 정수역, 간헐적 수위변동을 경험하는 연안대, 건조한 고수부지 환경 등 다양한 서식공간을 반영하는 식물군락의 분포가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식물군락 발달은 야생생물에게도 서식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생물다양성 증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판단된다.

Emergy를 이용한 오염물질 저감시설의 환경 비용/편익 분석 (Environmental Cost and Benefit Analysis Pollutant Reduction Facilities of the using the Emergy)

  • 김진이;황하선;김상수;이재관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91-597
    • /
    • 2013
  • The input emergy of an advanced treatment plant for reducing the 1 kg of TN and TP was estimated 4.14E+14 sej/kg, 5.02E+15 sej/kg,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input emergy of constructed wetland for reduction of the 1 kg of TN and TP reduction was estimated to be 2.48E+14 sej/kg, 3.38E+15 sej/kg, respectively. The cost reducing 1 kg of TN and TP for an advanced treatment plant was estimated 197,466 won and 2,388,739 won respectively and constructed wetland was estimated 117,976 won and 1,609,213 won respectively. As a result, All of the emergy source of constructed wetland for reducing non-point source is renewable resource. If we use the constructed wetland, it results in enhancing economic value by reducing of non-point pollution, controlling a flood and providing the habitat of animals or plants. Improving water quality program in the Nakdong River Basin should be changed into an ecological treatment facilities from expansion of the sewage treatment facilities and advanced treatment plant using high cost and non-renewable energies.

낙동강 하류 연안 자연습지의 자연지리적 특성 (Physical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Wetlands on the Downstream Reach of Nakdong River)

  • 손명원;전영권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6-76
    • /
    • 2003
  • 습지는 물과 물 생태계의 점이지대로서 생태학적 및 경제학적 가치가 매우 높다. 내륙 담수습지 중에서 가장 중요한 하천습지는 서식지라기보다 유로(channel)로 인식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류 연안의 지류 내에 형성된 자연습지의 특성을 고찰하고 그 관리방안을 모색하였다. 지류 내의 자연습지는 하천이 중간 규모일수록 본류에서 먼 곳에 넓게 소택지를 이룬다. 이것은 자연습지가 지류의 하상종단곡선에 빙기에 굴삭된 구간과 간빙기에 매적된 구간이 불협화로 만나는 구간에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자연습지들을 효과적으로 보전하기 위해서는 습지의 세부사항을 목록화 하고 정밀 지도를 작성하여야 한다. 그리고 자연습지를 개간한 농경지의 일부를 습지생태계로 되돌려 생태학습장이나 생태관광지로 개발하는 역간척이 필요하다.

  • PDF

다중시기 Sentinel-1 픽셀-빈도 기법을 통한 고창 인천강 하구 습지의 지형 변화 매핑 (Mapping Topography Change via Multi-Temporal Sentinel-1 Pixel-Frequency Approach on Incheon River Estuary Wetland, Gochang, Korea)

  • 백원경;이명진;유하은;김정철;유주형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6_3호
    • /
    • pp.1747-1761
    • /
    • 2023
  • 습지는 일년 중 일정기간 물에 잠겨있거나 젖어있는 땅을 의미한다. 습지는 생물다양성 유지와 환경오염물질을 정화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습지의 경계와 면적 변화에 대한 정량적인 자료를 필요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entinel-1 장기적인 수체 탐지 결과를 활용하여 습지의 시간에 따른 지형 변화를 매핑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운곡 습지와 연안 습지를 연결하는 인천강 하구 습지를 연구지역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2014년 10월 부터 2023년 3월 사이의 Sentinel-1 상향궤도 영상 196장을 수집하여 장기적인 면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픽셀-빈도기법을 적용하여 2020년을 기점으로 지형 변화를 산출하였을 때에 수위구간 2-3 m, 1-2 m, 0-1 m 그리고 0 m 이하 구간에서 각각 +0.0195, 0.0016, 0.0075 그리고 0.0163 km2의 면적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사실에 따라 해당 지역에서의 습지 복원 사업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다.

비정수식물의 인공습지도입을 위한 자연습지토양 발아실험 (Germination Experiments using Natural Wetland Soil for Introducing Non-emergent Plants into a Constructed Wetland)

  • 이용민;강대식;성기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9-48
    • /
    • 2009
  • 습지식물은 습지의 일차생산자로서 습지 내의 다른 생물뿐만 아니라 습지토양, 수문 등과 같은 무생물 환경요인과 다양한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습지의 기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습지식생은 습지 설계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인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습지를 조성할 때 식물도입방법으로 다양한 습지식물의 씨앗을 함유한 자연습지토양의 활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습지 mesocosm을 제작한 다음 수심과 자연습지토양 함유량에 따른 수생식물의 출현종과 성장 정도를 조사하였다. 자연습지토양의 발아실험에서 7종의 습지식물이 출현하였는데, 이 가운데 5종은 토양 채취지점인 서낙동강의 식물종과 일치하였으나 2종은 발아실험에서 새롭게 출현하였다. 수심에 따른 출현 식물 개체수는 침수 조건에서 15개체가 출현하여 2개체만 출현한 습윤조건에 비해 훨씬 더 많은 개체가 출현하였다. 자연습지토양의 혼합비율에 따른 출현 개체수는 자연습지토양이 100%일 때 개체수가 가장 많았으며, 자연습지토양의 비율이 50%, 75%, 25%의 순으로 나타났다. 모든 습지실험조에서 출현한 검정말과 붕어마름의 성장 정도를 살펴보면, 검정말은 자연습지토양의 비율이 50%인 조건에서 가장 활발히 성장하였으며 붕어마름은 100% 자연습지토양에서 가장 좋은 성장을 보였다. 자연습지토양 함유량에 따른 식물성장실험결과 자연습지토양의 혼합비율이 50%인 조건에서도 식물의 성장이 원활하여 자연습지토양과 인공습지 조성지역토양을 1:1로 혼합하여도 인공습지에서 식물의 안정된 활착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