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tuals

검색결과 284건 처리시간 0.036초

굿 의례음식: 무속 설명체계의 하나 (The Ritual Food of Gut as an Explanation System of krean Shamanism)

  • 이용범
    • 종교문화비평
    • /
    • 제32호
    • /
    • pp.186-218
    • /
    • 2017
  • 한국 민간신앙 의례에서 의례음식은 빠트릴 수 없는 필수 요소의 하나이다. 이는아주 간단한 치성도 맑은 물 한 사발이라도 올려야 가능한 것을 통해서 확인된다. 이런점에서 민간신앙 의례를 신과 인간이 만나 소통하는 것이라 할 때, 음식은 신과 인간이소통하는 핵심적 매체 가운데 하나라고 말할 수 있다. 한국 민간신앙에서 의례음식이 가장 두드러진 사례로 무속의 대표적 의례인 굿을 들 수 있다. 무속의 굿에서 두드러진 현상 가운데 하나가 여러 제상에 차린 다양한 음식이다. 그리고 의례음식이 없는 굿은 성립되지 않는다. 또한 굿에서 의례음식은 신을 위한 단순한 제물에 그치지 않는다. 그것은 신을 위한 제물이면서, 아울러 굿의 성격, 무속의 신, 굿을 하는 제가집 등 굿 전반에 대한 포괄적 정보를 함축하고 있는 기호이기도 하다. 또한 굿 의례음식을 통해 무속 세계관이 구체화되기도 한다. 이런 점에서 굿 의례음식은 무속과 굿을 이해하는 중요한 통로이며, 무속에 대한 설명체계의 하나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런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기존 무속 연구에서 의례음식은 그에 걸맞는 충분한 관심을 받지 못했다. 무당 중심적인 관점에서 굿에서 나타나는 무당의 말과 행위를 통해굿과 무속을 이해하려는 연구가 지속되었을 뿐, 의례음식을 통해 굿과 무속을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는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기존 무속연구에 대한 이러한 비판적 문제의식 하에 이 글은 서울 진적굿 의례음식을 자료로 굿 의례음식의 특징과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서울 진적굿을 자료로 선택한것은 굿 의례음식의 특징 가운데 하나인 굿 의례음식과 의례 공간의 상관성을 확인할 수있는 적절한 자료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 글은 먼저 서울 진적굿의 과정을 제상과 제상이 놓인 공간을 중심으로 간략히 살펴보았다. 그리고 굿 의례음식의 구성, 의례음식이차려지는 방식과 공간을 중심으로 개별성이 굿 의례음식의 특징임을 지적하였다. 이를 토대로 굿 의례음식이 무속에 대한 하나의 설명체계로서, 굿과 무속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로가 된다는 점을 밝혔다.

경주 지역 지석묘 문화의 특징과 종말기의 양상 (The Characteristics of Dolmen Culture and Related Patterns during the End Phase in the Gyeongju Region)

  • 이수홍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4호
    • /
    • pp.216-233
    • /
    • 2020
  • 경주 지역 청동기시대 무덤 문화를 검토하고 지석묘의 종말기 양상을 살펴보았다. 청동기시대 무덤 유적 18곳, 초기 철기시대 이른 시기 즉 종말기의 무덤 유적 9곳을 분석하였다. 경주는 검단리 문화 분포권에 포함된다. 현재까지 경주 지역에서 청동기시대 무덤은 약 120기 조사되었다. 주거지의 수에 비해 무덤의 수가 부족한 편인데, 검단리 문화권의 일반적인 특징이다. 무덤의 수는 부족해도 매장주제부의 구조는 다양하다. 경주 지역 청동기시대 무덤의 특징은 토광묘와 묘역식지석묘·적석제단이 다른 지역에 비·해 많이 축조된다는 점이다. 토광묘는 동산리유적 부장품인 방추차를 통해서 볼 때 북한 동북 지역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 묘역식지석묘와 적석제단은 송국리 문화권에 주로 분포하는데, 특이하게도 검단리 문화권인 경주 지역에서 많이 확인된다. 초기철기시대가 되어도 청동기시대의 영향이 이어진 묘역식지석묘와 적석제단이 계속 축조된다. 새롭게 이주한 점토대토기 문화인들은 목관묘를 축조하였다. 초기철기시대가 되면 새로운 고소의례가 등장하는데 국읍(國邑)에서 주재하는 천신제사(天神祭祀)의 장소일 가능성이 있다. 화천리 산251-1유적과 죽동리유적은 고소의례의 양상을 잘 보여주는 유적이다. 이러한 고소의례에도 묘역식 지석묘와 동일한 형태의 적석제단이 축조되고 지석묘의 상석과 유사한 바윗돌이 이용되었다. 초기철기시대에도 청동기 시대 전통을 유지한 묘역식지석묘와 적석제단이 계속 축조, 이용되는 것은 새로운 시대가 되었어도 지석묘가 가진 권위가 계속 유지되었기 때문이다. 청동기시대로 알려진 묘역식지석묘나 적석제단 일부에서는 초기철기시대까지 의례 행위가 지속되었을 것이다. 기원전 2세기 후반이 되면 목관묘가 군집하기 시작한다. 철기 문화가 확산하고, 중국 중원의 유물이 유입되는 등 경주 지역을 비롯한 남부 지역이 동아시아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시점이다. 이때 지석묘 문화는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새로운 시대가 시작되는 것이다.

조선시대 부권(婦權)의 존재 양상 연구 (The Modes of Existence for the Housewife's Authority in Joseon Dynasty)

  • 이은봉
    • 동양고전연구
    • /
    • 제73호
    • /
    • pp.65-89
    • /
    • 2018
  • '주부의 명절증후군'이라는 신조어까지 만들어낸 제사 문화와 시집살이 문화는 어쩌면 오랜 전통이 아닌 최근의 문화일 것이라는 생각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조선시대 부권(婦權)의 상실이 조선 후기 성행한 '양반-되기' 문화 때문이라는 것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조선 중기까지 여성 특히 가정 내 부인은 친정에서 가지고 온 재산과 친정과의 유대를 통해 나름의 권위를 가지고 주체적 삶을 살았다. 하지만 이러한 부권(婦權)은 임병양란 이후 영세해진 가문을 지키기 위해 딸을 상속에서 배제하면서 사라졌다. 그렇지만 전 인구의 양반화가 불가능했기 때문에 양란을 기점으로 종법제에 입각한 성리학적 가부장제가 전 인구로 확산될 수는 없었다. 성리학적 가부장제가 전 인구의 보편적 윤리가 된 것은 양란 이후 지속적 사회 변화 속에서 양반의 수가 급증하였기 때문이다. 게다가 천자부터 평민까지 모든 사람이 종법제를 지켜야 한다는 정주학의 예론은 모든 집안에 '사당'을 두어 조상의 제사를 모시라고 하는 "주자가례"를 통해 실현되었다. 경제력을 상실한 양반이 자신을 양반으로 내세울 수 있는 유일한 근거는 오직 준엄한 의례밖에 없었으며, 양인에서 양반이 된 사람들 또한 양인과의 구별을 위해 '형식적 예'만을 강조할 수밖에 없었다. 이렇게 19세기 조선의 '양반-되기' 문화는 성리학적 가부장제에 의한 예법을 공고히 했다. 이 결과 여성은 오로지 시집을 위해 종사하는 존재가 되었으며 이렇게 하는 것이 남편과 아들의 가문을 지키는 일이라 생각해 스스로를 옥죄기도 했다.

불안장애 (Anxiety Disorder)

  • 정한용
    • 보험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11
    • /
    • 2010
  • Anxiety disorders Anxiety disorders are among the most prevalent mental disorders in the general population. Anxiety disorders can be viewed as a family of related but distinct mental disorders, which include following as classified in the text revision of fourth edition of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Disorders(DSM-IV-TR): (1) panic disorder with or without agoraphobia; (2) agoraphobia with or without panic disorder; (3) specific phobia; (4) social phobia; (5)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6)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7) acute stress disorder; (8)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n acute intense attack of anxiety accompanied by feeling of impending doom is known as panic disorder. The term phobia refer to an excessive fear of a specific object, circumstance, or situatio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is represented by a diverse group of symptoms that include intrusive thoughts, rituals, preoccupations, and compulsion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s a condition marked by development of symptoms after exposure to traumatic life events.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is defined as excessive anxiety and worry about several events or activities for most days during at least a 6-month period.

  • PDF

DISCOVERY OF ROCK ART IN AZAD, JAMMU AND KASHMIR

  • KHAN, M. ASHRAF;KHAN, SUNDUS ASLAM
    • Acta Via Serica
    • /
    • 제2권2호
    • /
    • pp.69-88
    • /
    • 2017
  • Since the beginning of the human world, man has tried to prove his presence on the earth. Wherever he moved, he left his marks in different forms. Whether he lived in caves, in open spaces or in-built structures, he left evidence in art form, the earliest of which are the cave paintings found in various regions of the world. These transformed into open spaces where man carved and painted images and writings on rock faces and boulders. Although Pakistan provided an early home to such art forms, they have been discovered in Kashmir for the first time and will be revealed in this paper. In the present survey, a great number of rock art sites were found and documented in detail. These rock art sites display the earliest communities who settled down or traveled through the region, highlighting their thoughts, beliefs and practices. The tentative chronology of these rock art sites ranges from Neolithic to Hindu periods, creating an interesting mosaic in the historic profile of Kashmir.

조선시대 회화에 묘사된 아동의 양육과 생활 (Child-Rearing Practices and Activities of Children Depicted in Traditional Paintings of the Chosun Period)

  • 최기영;이정미
    • 아동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05-119
    • /
    • 2002
  • This study of child-rearing practices and daily activities of children during the Chosun dynasty was conducted through analysis of 91 traditional paintings of the period. Genre, figure, folk, and landscape painting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Findings were that child-rearing was strongly focused on the family. Generally, the mother was shown as the primary caregiver of the child. Grandmother, father, and grandfather also played a role in raising the child. The daily activities of the children consisted of helping with household chores, assisting the elderly, doing small jobs, studying, playing, performing for family members, and participating in family rituals and community events. Differences in child-rearing methods and contents of daily activities varied by gender and socio-economic status.

  • PDF

A Cross-Cultural Study of Holiday Decorations

  • Jin, Jyung Hwa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1권1호
    • /
    • pp.17-22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ways in which cultural beliefs influence the lifestyles of the residents and environmental activities, especially decorations on the fronts during holiday seasons. The relationship between holiday displays and cultural values are investigated in the study. This research conducts a case study of two ethnic neighborhoods to understand cultural identification, attachments and environmental decoration. The neighborhoods were visited and their activities were observed during the holidays including Easter, Thanksgiving, Halloween and Christmas from 1992 to 1995. Exterior decorations were measured by a field survey of the frontal areas of 200 houses.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fronts are recognized and evaluated as cultural communications. The holiday decorations and celebrations are intimately related to cultural dimensions. Distinctive groups use different environmental elements in the celebration of holidays. Each culture is distinguished by its own rituals constituted by the interweaving of space and activities.

  • PDF

기업의 정보처리문화와 기업 정보활동의 효과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Information Processing Culture and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iveness : An Exploratory Study)

  • 전성현;박근석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권2호
    • /
    • pp.3-14
    • /
    • 1992
  • Information processing culture is presented as an integrative concept for representing the cultural aspects of organiza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its effects on organiza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iveness are investigated. Based upon a review of literature on organizational culture, the dimensions of information processing culture are drawn and validated empirically. It is found that information processing culture consists of two dimensions, information value percep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rituals, the latter being further consisting of the volume of formal information processing, the structural support for information processing, and the degree of formalization for information recording and transmission. It is also found that information value perception has a strong effect on organiza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ivenes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 PDF

A Salvage Operation for Total Penis Amputation Due to Circumcision

  • Ince, Bilsev;Gundeslioglu, Ayse Ozlem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0권3호
    • /
    • pp.247-250
    • /
    • 2013
  • Circumcision is one of the most common rituals in Jewish and Islamic cultures. It may also be performed for phimosis correction or the treatment of recurrent balanitis. Although circumcision is considered to be a technically easy and safe surgical procedure with no significant risk, it may lead to severe complications such as necrotizing fasciitis or total penis amputation. In this report, we present a case of penis amputation at two levels occurring with third-degree burns due to electrocautery during circumcision. Although penile replantation was attempted, it was unsuccessful due to burn damage to the veins. After restoration of the functional structures, the penis was buried in the inguinal area by reepithelization to maintain blood circulation. The recovery of the penis was successful. This case is presented as a novel example of groin flap surgery to achieve a functionally and aesthetically acceptable outcome in a salvage operation for a penis with significant traumatic injury, which has not been previously reported in the literature.

동곡재사(東谷齋舍)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of Dong-gok Jaesa)

  • 유인호;하헌정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121-128
    • /
    • 2009
  • This study is for getting sacrificial service, discussing process of sacrificial rituals and understanding the composition of space in Dong-gok Jaesa. For these things, we're arranged for exact blueprint through actual survey and analyzed the architectural features. Dong-gok Jaesa has features which show centripetal space organization with strong closing sparsely. This is intended for sincerity during ritual which is processed without obstruction. This is a mixed form which is unified both straight dwelling and Jung Dang Hyeop Sil type. And this is for all functions which is necessary for Jaesa architecture in only one building. And this is used with organizing technique for space utility with connection of compartments and various enlargement and partition. Through these things, even though it is not a big Jaesa, it shows that this is Korea traditional composition of space technique according to several purpos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