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seeds

검색결과 551건 처리시간 0.029초

자운영 종자생산을 위한 적정 수확시기 구명 (An Optimum Harvest Time for Chinese Milk Vetch (Astragalus sinicus L.) Seed Production)

  • 이병진;최진룡;김상열;오성환;김준환;황운하;안종웅;오병근;구연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70-74
    • /
    • 2008
  • 자운영 종자 생산을 위한 적정 수확시기를 결정하고자 개화 후 25일부터 5일 간격으로 40일까지 수확한 시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수확 시기별 자운영 종자 수량은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개화 후 35일이 가장 많았다. 2. 자운영 종자활력은 개화 후 35일 이후 수확한 것이 90%이상 높았으며 포장에서 자운영 지속재배를 위한 적정환원 시기는 개화 후 35일 이후였다. 3. 자운영 수확 후 발아율은 수확시기에 따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지만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늦게 수확한 것이 발아율이 높았다. 4. 발아율은 $10{\sim}40$일 침종에서 증가하였으며, 40일 이상 침종시 발아율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5, 경실율도 개화 후 수학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자운영 종자 수확을 위한 적정 수확시기는 개화 후 35일이 적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OpenCV를 이용한 표현체 특성관리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Phenotype Trait Management System using OpenCV)

  • 최승호;박건하;양오석;이창우;김영욱;이은경;백정호;김경환;이홍로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25-32
    • /
    • 2020
  • 농업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종자는 생산과 효율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다. 우수한 유전자를 가진 종자를 통해 농업의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작물의 생존 및 번식을 증진시킬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우수한 종자의 선별은 대부분이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인력을 요구한다. 제안된 연구에서는 종자의 표현체 특성을 추출하기 위해 컴퓨터 영상처리기술을 이용하여 적은 인력과 비교적 짧은 시간으로 종자의 특징을 추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다량의 종자가 포함된 영상으로부터 개별 종자를 검출하고, 검출된 개별 종자마다 대표색상, 면적, 둘레, 진원도 (Roundness)와 같은 다양한 특징을 추출하고 저장한다. 입력 영상의 규칙성 때문에 제안된 시스템의 개별 종자추출의 정확도는 콩 종자의 경우 99.12%, 벼 종자의 경우 99.76%이다. 추출된 데이터는 향후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한 각종 데이터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종자별 표현형 특성을 결정하는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Flavanone 3β-Hydroxylases from Rice: Key Enzymes for Favonol and Anthocyanin Biosynthesis

  • Kim, Jeong Ho;Lee, Yoon Jung;Kim, Bong Gyu;Lim, Yoongho;Ahn, Joong-Hoon
    • Molecules and Cells
    • /
    • 제25권2호
    • /
    • pp.312-316
    • /
    • 2008
  • Flavanone $3{\beta}$-hydroxylases (F3H) are key enzymes in the synthesis of flavonol and anthocyanin. In this study, three F3H cDNAs from Oryza sativa (OsF3H-1 ~3) were cloned by RT-PCR and expressed in E. coli as gluthatione S-transferase (GST) fusion proteins. The purified recombinant OsF3Hs used flavanone, naringenin and eriodictyol as substrates. The reaction products with naringen and eriodictyol were determined by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to be dihydrokaempferol and taxifolin, respectively. OsF3H-1 had the highest enzymatic activity whereas the overall expression of OsF3H-2 was highest in all tissues except seeds. Flavanone $3{\beta}$-hydroxylase could be a useful target for flavonoid metabolic engineering in rice.

벼 원형질체의 분리, 배양 및 Electroporation에 관한 연구 (Isolation, Culture and Electroporation of Rice Protoplasts)

  • 황성진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4권1호
    • /
    • pp.19-23
    • /
    • 1991
  • 벼의 종자로부터 embryogenic callus를 유도하고 이로부터 개체로의 재분화를 유도하였으며, embroyogenic cell suspension culture를 통하여, 이로부터 원형질체를 분리, 배양하여 embryogenic callus를 형성하였다. 또한, 분리된 원형질체를 electroporation하였을 때 생존율(viability)에 미치는 여러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원형질체의 생존율은 voltage와 capactiance가 증가할수록 감소를 보였으며, HBM buffer에서 $4^{\circ}C$로 electroporation 하였을 때 생존율에 보다 효과적이었다.

  • PDF

18세기 『산림경제(山林經濟)』에 나타난 고전 농법의 재해석 (Contemporary 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Farming Practices Described in 18C Literature 'Sallimgyeongje (山林經濟)')

  • 탁우현;조수미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31권2호
    • /
    • pp.67-83
    • /
    • 2024
  • This study aims to explore a biological interpretation of farming practices mentioned in 'Sallimgyeongje(山林經濟)', an agricultural literature published in late 18C, in order to substantiate its scientific practicality and suggest the sustainable direction of modern agriculture. First, the research revealed that weeds and pests were effectively controlled by interspecies interactions such as allelopathy, mutualism, and interplanting. Second, qualified seeds were selected without dependence on chemical treatments by using specific gravity and cold water immersion. Third, the literature proposed plowing methods based on the properties of the soil, which implicated an establishment of healthy landscape mosaic by imitating the succession and introducing the moderate disturbance. Fourth, the genotypes of 37 native rice varieties were speculated based on six phenotype standards, and some of them are expected to have high nutritional value and abiotic stress resistance.

발아 거대배아미의 당화력 및 전분입자의 이화학적 특성 (Amylolytic activity and Properties of Starch Granules from the Giant Embryonic Rices)

  • 강미영;이연리;남석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3호
    • /
    • pp.189-194
    • /
    • 2003
  • 메품종의 거대배아미인 화청거대배아미, 남풍거대배아미, 그리고 찰품종인 화청찰거대배아미, 신선찰거대배아미 등 4품종의 거대배아미 품종의 볍씨를 각각 $27^{\circ}C$에서 3일간 발아시켜, 발아에 따른 전분 가수분해 효소의 활성 및 전분입자의 이화학적 특성을 각각 비교하였다. 3일간 발아시킨 벼의 ${\alpha}-amylase$의 활성은 맥아에 비해서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화청거대배아미 및 신선찰거대배아미는 맥아보다 약 2배 정도의 활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에 비해서 ${\beta}-amylase$의 경우는 일반품종보다는 거대배아미품종의 활성이 높기는 하지만 비교군인 맥아에 비해서 상당히 낮은 활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전분분자 중 아밀로오스 분자 유래의 긴 포도당 사슬의 양은 발아와 더불어 메품종 거대배아미에서는 줄어들고 있었으며, 찰품종에서는 증가하고 있었다. 아밀로펙틴 분자 유래의 포도당 사슬길이 분포는 찰벼와 메벼 품종에 관계없이 발아와 더불어 중합도가 14부터 60가지 비율은 증가하고 있었으며, 중합도 130이상 또는 13이하의 비율은 감소하고 있었다. Glucoamylase에 의한 가수분해도는 거대배아미메품종의 경우에는 발아와 더불어 현저히 낮아지고 있었고, 찰품종의 경우에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었다. 그리고 호화개시온도, 호화종료 및 호화엔탈피는 감소하고 있었다.

Transiently Experessed Salt-Stress Protection of Rice by Transfer of a Bacterial Gene, mtlD

  • Lee, Eun-A;Kim, Jung-Dae;Cha, Yoo-Kyung;Woo, Dong-Ho;Han, In-Seob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0권3호
    • /
    • pp.415-418
    • /
    • 2000
  • Productivity of a rice plant is greatly influenced by salt stress. One of the ways to achieve tolerance to salinity is to transfer genes encoding protective enzymes from other organisms, such as microorganisms. The bacterial gene, mtlD, which encodes mannitol-1-phosphate dehydrogenase (Mtl-DH), was introduced to the cytosol of a rice plant by an imbibition technique to overproduce mannitol. The germination and survival rate of the imbibed rice seeds were markedly increased by transferring the mtlD gene when it was delivered in either a pBIN19 or pBmin binary vector. When a polymerase chain reaction was performed with the genomic DNAs of the imbibed rice leaves as a template and with mtlD-specific primers, several lines were shown to contain an exogenous mtlD DNA. However, a reverse transcription (RT)-PCR analysis revealed that not all of them showed an expression of this foreign gene.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the growth and germination of rice plants transiently transformed with the bacterial gene, mtlD, are enhanced and these enhancements may have resulted from the experssion of the mtlD gene. The imbibition method empolyed in this study fulfills the requirements for testing the function of such a putative gene in vivo prior to the production of a stable transgenic plant.

  • PDF

볍씨 저온발아중 α-amylase 활성과 유리 Proline 함량 변화 (Changes of α-Amylase Activity and Free Proline Content Under Low Temperature During Germination of Rice)

  • 김상국;김영종;원종건;이상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58-161
    • /
    • 1998
  • 본 연구는 벼의 저온발아중 생채내의 ${\alpha}$-amylase 활성, 유리 proline함량, 생육특성 등 몇가지 실험을 수행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저온발아시 초장은 품종간에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저온발아성이 다소 강한 대야벼가 3.9cm로 가장 우세하였으며 근장은 동진벼에서 4.8cm로 매우 양호한 생육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벼 품종간 발아일수에 따른 ${\alpha}$-amylase 활성은 발아 후 3일째 고시히까리가 가장 낮은 65.4 mg인 반면에 동진벼는 80.9 mg 으로 매우 높은 활성을 보였다. 유리 proline 함량변화는 발아 후 3일째 저온발아능력이 다소 약한 품종인 상주벼와 고시히까리가 각각 $1.807{\mu}mole$, $1,800{\mu}mole$인 것보다 다소 강한 품종인 동진벼와 대야벼가 각각 $1,933{\mu}mole$, $1,895{\mu}mole$로 높은 함량변화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