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Morphology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6초

Effect of Inherent Anatomy of Plant Fibers on the Morphology of Carbon Synthesized from Them and Their Hydrogen Absorption Capacity

  • Sharon, Madhuri;Sharon, Maheshwar
    • Carbon letters
    • /
    • 제13권3호
    • /
    • pp.161-166
    • /
    • 2012
  • Carbon materials were synthesized by pyrolysis from fibers of Corn-straw (Zea mays), Rice-straw (Oryza sativa), Jute-straw (Corchorus capsularis) Bamboo (Bombax bambusa), Bagass (Saccharum officinarum), Cotton (Bombax malabaricum), and Coconut (Cocos nucifera); these materials were characteri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X-ray diffraction (XRD), and Raman spectra. All carbon materials are micro sized with large pores or channel like morphology. The unique complex spongy, porous and channel like structure of Carbon shows a lot of similarity with the original anatomy of the plant fibers used as precursor. Waxy contents like tyloses and pits present on fiber tracheids that were seen in the inherent anatomy disappear after pyrolysis and only the carbon skeleton remained; XRD analysis shows that carbon shows the development of a (002) plane, with the exception of carbon obtained from bamboo, which shows a very crystalline character. Raman studies of all carbon materials showed the presence of G- and D-bands of almost equal intensities, suggesting the presence of graphitic carbon as well as a disordered graphitic structure. Carbon materials possessing lesser density, larger surface area, more graphitic with less of an $sp^3$ carbon contribution, and having pore sizes around $10{\mu}m$ favor hydrogen adsorption. Carbon materials synthesized from bagass meet these requirements most effectively, followed by cotton fiber, which was more effective than the carbon synthesized from the other plant fibers.

벼 부산물을 함유한 생분해성 필름의 기계적 성질 및 분해 특성 (Bio-degradable Characteristic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Mulching Films Containing Rice By-product)

  • 한상익;강항원;변대우;장기창;서우덕;나지은;김준영;최경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13-118
    • /
    • 2011
  • 작물의 멀칭재배에 활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필름의 개발과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천연고분자를 이용한 생분해가 가능한 필름의 제조를 위해 벼 부산물인 왕겨와 쌀겨를 이용하여 생분해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2. 천연고분자를 이용하여 개발된 생분해성 필름의 기계적인 특성은 기존 멀칭필름과 비교해서 신장율은 낮으나 인장강도는 2배 이상 강함을 보였다. 그리고 파열점 비교에서도 멸칭필름은 뚜렷한 파열점이 존재하고 그 이후에는 같은 힘을 주어도 계속 늘어난 반면, 생분해성 필름은 서서히 늘어나며 점차 힘을 증가시켜야 늘어나는 특성을 보였다. 3. 생분해성 필름에 대한 유해성분 용출시험에서 중금속 들이 검출되지 않았고, 국내 친환경 인증 기준이 정하는 생분해성 수지의 함량기준에 충족하였다. 4. 작물을 이용한 토양 분해력 시험에서도 3 개월 이후에 서 대부분 분해됨을 보여 일반 농업 현장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간질피낭유충(肝蛭被囊幼蟲)의 생산(生産)에 관한 연구(硏究) (Study on Metacercarial Productivity of Fasciola sp. in its Intermediate Host, Austropeplea ollula (Lymnaea ollula))

  • 장두환;윤희정;전계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91-299
    • /
    • 1987
  • The cattle liver flukes were collected at daughter house and classified with gross morphology. The hepatica type was only 14 flukes (4.7%) and the gigantica type was 284 flukes (95.3%) among total 298 flukes collected. In order to determinate the intermediate host of the flukes, artificial infection with the miracidia to snail hosts, Radix auricularia and Austropelea ollula, were successfully carried out, but the development in the later was terminated at the sporocyst stage. Intermediate host of the cattle flukes used to hibernate in deep part of the stubbles of rice pady. The number of A. ollula that has been collected from a rice stubble was ranged 0 to 19. Their mean number was 7 snails per the stubble. In artificial infection with miracidia, the reasonable number of them were 1 to 9 and the snail size was 2 to 5mm in length. The productivility of metacercaria in the intermediate host was observed. The metacercarial production per snail was ranged 5.5 to 48.0 per one miracidium.

  • PDF

Expression of Indica rice OsBADH1 gene under salinity stress in transgenic tobacco

  • Hasthanasombut, Supaporn;Ntui, Valentine;Supaibulwatana, Kanyaratt;Mii, Masahiro;Nakamura, Ikuo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4권1호
    • /
    • pp.75-83
    • /
    • 2010
  • Glycine betaine has been reported as an osmoprotectant compound conferring tolerance to salinity and osmotic stresses in plants. We previously found that the expression of betaine aldehyde dehydrogenase 1 gene (OsBADH1), encoding a key enzyme for glycine betaine biosynthesis pathway, showed close correlation with salt tolerance of rice. In this study, the expression of the OsBADH1 gene in transgenic tobacco was investigated in response to salt stress using a transgenic approach. Transgenic tobacco plants expressing the OsBADH1 gene were generated under the control of a promoter from the maize ubiquitin gene. Three homozygous lines of $T_2$ progenies with single transgene insert were chosen for gene expression analysis. RT-PCR and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OsBADH1 gene was effectively expressed in transgenic tobacco leading to the accumulation of glycine betaine. Transgenic lines demonstrated normal seed germination and morphology, and normal growth rates of seedlings under salt stress condi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sBADH1 gene could be an excellent candidate for producing plants with osmotic stress tolerance.

아끼바레 및 밀양 23호 쌀전분의 이화학적 성질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kibare and Milyang 23 Rice Starch)

  • 정혜민;안승요;김성곤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5권2호
    • /
    • pp.67-74
    • /
    • 1982
  • 아끼바레 및 밀양 23호 쌀 전분의 이화학적 성질, 전분 gel의 노화 및 음이온에 의한 호화양상을 조사하였다. 두 전분입자의 성상은 다각형이며 입자의 크기는 $3{\sim}6{\mu}m$ 정도였으며, 아끼바레가 밀양 23호 보다 다소 작았다. 두 전분의 X-ray 회절도는 A형으로 peak 형태와 강도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아끼바레 및 밀양 23호 쌀 전분의 아밀로스함량은 각각 18.5 및 19.5%이었고 물 결합능력은 106 및 100%이었다. 팽화력은 $50^{\circ}C$까지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이후에 급격히 증가하였고 밀양 23호 쌀 전분의 팽화력이 더 컸다. 전분 현탁액(0.1%)의 광투과도는 두 전분 모두 $60^{\circ}C$ 이후에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밀앙 23호 쌀 전분이 더 큰 광투과도를 보였다. 음이온에 의한 아밀로 그람 pattern은 NaCl과 NaF는 동일하였고 NaSCN과 NaI는 유사였다. 호화온도 및 최고점도시의 온도는 SCN-${SO_4}^=$의 순으로 증가하였고 SCN- 및 I-이온은 최고점도를 증가시켰으나 NaCl은 감소시켰다. ${SO_4}^=$ 이온을 첨가한 경우 점도는 계속 증가하였고 최고점도에 도달하지 않았다. 아끼바레 및 밀양 23호 전분 gel을 $21^{\circ}C$에서 저장한 경우 시간 상수가 각각 6.72 및 6.42일이었다.

  • PDF

한국 전통 약주의 B16BL6 mouse melanoma 및 HRT18 human colon adenocarcinoma 세포 성장 억제 효과 (Effect of Korean Rice-Wine (Yakju) on in vitro and in vivo Progression of B16BL6 Mouse Melanoma and HRT18 Human Colon Adenocarcinoma Cells)

  • 정건섭;오원택;남상민;손병수;박용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470-1475
    • /
    • 1998
  • 한국 전통약주의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과 체내에서의 암세포 성장 및 전이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무증자 발효 방법으로 발효시킨 전형적인 약주(전통약주II)와 이 약주에 한약재를 첨가하여 발효한 것(전통약주I), 비교 시료로 일본 청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각 시료를 동결건조하고 증류수로 재용해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는데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 실험 결과 B16BL6 mouse melanoma 세포에 대하여 전통약주는 2종류 모두 본래 농도의 16배 미만의 희석 배수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냈으며, 일본 청주는 8배 미만의 희석배수에서 나타냈다. HRT18 human colon adenocarcinoma 세포에 대한 독성은 비교적 B16BL6 세포의 경우 보다 모두 낮았다. 일상적인 음용 범위 내에서 모든 시료들의 세포에 대한 직접적인 독성은 미약하였으나, 낮은 희석배수에서도 대상 세포들의 형태가 변화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각 시료들의 항암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B16BL6 세포를 이용하여 체내에서의 암세포 성장 및 전이를 분석하였다. 암세포를 마우스의 발바닥에 피하접종하고 시료를 섭취시켜 암세포의 성장과 전이를 조사한 결과 일본 청주에 비교하여 전통약주I과 전통약주II 섭취 군에서 높은 암세포 성장을 억제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특히 전통약주I은 암의 전이 억제에 뚜렷한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이러한 항암효과는 전통약주의 어떤 성분이 직접적으로 암세포에 작용하기보다는 면역세포 등을 포함한 여러 다른 세포의 성장과 분화에 작용하여 간접적으로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이내에는 소비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3{\sim}11.9%$ 였으며 기온은 $4.3{\sim}6.5^{\circ}C$낮았다. 또한 지온은 5월에서 8월까지 $17.5{\sim}20.1^{\circ}C$로 경과되어 외기기온의 $25.1{\sim}30.8^{\circ}C$에 비하여 낮았으나 변화폭이 작았다.ol, cis-3-hexenol, trans-2-hexanol 등(等)이 높은 함양(含量)을 보였다. 유기물(有機物) 종류간(種類間)에는 침엽수(針葉樹)/이끼 퇴비(堆肥)에서 주요(主要) 향기성분(香氣成分)인 1-hexanol이 78.62, cis-3-hexenol이 36.65. trans-2-hexanol이 120.41 peak area%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향기(香氣)가 높은 자생지(自生地) 토양(土壤)의 1-hexanol이 74.47, cis-3-hexenol이 44.21, trans-2-hexanol이 147.33 peak area%인 것과 유사(類似)하게 높았다.tarrow}6$보다 $4{\beta}{\rightarrow}8$의 결합방식이, 그리고 procyanidin 류에서는 gallate를 갖는 물질이 이를 함유하지 많은 물질보다 더욱 높은 ACE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또한 hydroxyl 기가 많을수록 효소 저해효과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chocolate의 주원료인 cacao bean의 polyphenol 성분 또한 녹차 등에서 볼 수 있는 생리활성효과에 손색없는

  • PDF

A Small GTPase RHO2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e-infection Development in the Rice Blast Pathogen Magnaporthe oryzae

  • Fu, Teng;Kim, Joon-Oh;Han, Joon-Hee;Gumilang, Adiyantara;Lee, Yong-Hwan;Kim, Kyoung Su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4권6호
    • /
    • pp.470-479
    • /
    • 2018
  • The rice blast pathogen Magnaporthe oryzae is a global threat to rice production. Here we characterized RHO2 gene (MGG_02457) that belongs to the Rho GTPase family, using a deletion mutant. This mutant ${\Delta}Morho2$ exhibited no defects in conidiation and germination but developed only 6% of appressoria in response to a hydrophobic surface when compared to the wild-type progenitor. This result indicates that MoRHO2 plays a role in appressorium development. Furthermore, exogenous cAMP treatment on the mutant led to appressoria that exhibited abnormal morphology on both hydrophobic and hydrophilic surfaces. These outcomes suggested the involvement of MoRHO2 in cAMP-mediated appressorium development. ${\Delta}Morho2$ mutation also delayed the development of appressorium-like structures (ALS) at hyphal tips on hydrophobic surface, which were also abnormally shaped.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MoRHO2 is involved in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appressoria and ALS from conidia and hyphae, respectively. As expected, ${\Delta}Morho2$ mutant was defective in plant penetration, but was still able to cause lesions, albeit at a reduced rate on wounded plants. These results implied that MoRHO2 plays a role in M. oryzae virulence as well.

분쇄방법 및 품종에 따른 쌀 식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bread with different cultivars and milling methods)

  • 오현아;김민영;이윤정;송명섭;이춘기;이연리;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492-49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건식 제분용 쌀 품종인 설갱과 일반 쌀 품종인삼광에 대한 건식 및 습식제분 쌀가루의 원료 특성을 비교하고 제빵 특성을 살펴보았다. 설갱 쌀가루의 조단백질과 조지방 함량이 각각 6.20%와 0.24%로 삼광에 비해 높았고, 아밀로스 함량은 18.81%로 낮았으며, 조단백질, 조지방, 아밀로스 함량 모두 건식 제분 시 습식제분보다 높았다. 손상녹말 함량 및 수분흡습지수는 건식제분이 습식제분에 비해 14.4% 및 2.46 g/g으로 높았고, 수분용해지수는 1.31 g/100 g으로 낮았으며, 품종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녹말 형태는 삼광은 다각형 이었지만 설갱은 둥근 형태였으며, 습식제분 시 미세한 입자가 많았다. 제빵 시 비체적은 삼광 습식과 설갱 건식이 각각 2.90 및 2.86 mL/g으로 유사하였다. 구운 후 초기 경도는 삼광이 823.06 g 및 설갱이 597.29 g으로 설갱이 경도가 낮았고, 제분 방법에 따라서는 습식제분이 건식제분에 비해 낮았다. 건식제분 쌀가루 특성은 밀가루와는 차이가 있었지만 제빵 특성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쌀가루 제조 시 건식제분에 적합한 설갱 품종이 제빵용으로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참깨종자에서 검출된 Alternaria longissima와 그의 병원성 (Pathogenic Isolates of Alternaria longissima Deighton & Macgarvie from Sesame Seed)

  • 유승헌;박종성
    • 농업과학연구
    • /
    • 제7권2호
    • /
    • pp.77-80
    • /
    • 1980
  • 참깨 (Sesamum indicum L.) 종자로 부터 Alternaria longissima가 최초로 낮은 빈도로 검출되었다. 본균의 종자 및 WALM위에서의 생육상, 분생포자의 형태 그리고 배양적 성질을 상세히 검토하였다. 일반적으로 병원성이 없는 것으로 알려진 본균이 참깨에 심한 병원성을 나타내어 잎, 줄기 및 꼬투리에 점무늬 및 괴사의 병징을 나타내었으나 벼 및 수수에는 병원성이 없었다. 배양특성과 병원성 조사결과 참깨에서 분리된 Alternaria longissima는 Deighton & Macgarvie가 벼 및 수수 등에서 분리한 균과는 다른 계통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 New Record on Umbelopsis vinacea and Mucor hiemalis f. corticola Isolated from Korea

  • Das, Kallol;Ha, Ki-Hun;Suh, Sang-Jae;Lee, Seung-Yeol;Jung, Hee-Young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97-207
    • /
    • 2020
  • In the screening of fungal diversity, two strains were collected from the soil of Yeongcheon and dissected guts from the bodies of Chinese rice grasshopper (Oxya chinensis), Chinese grasshopper (Acrida cinerea), and Far eastern devil grasshopper (Oedaleus infernalis) from Daejeon in Korea. They were identified as Umbelopsis vinacea (KNU-YC-1801B) and Mucor hiemalis f. corticola (KNU-20F7, KNU-20F8, KNU-20F9). Multigene phylogenetic analyse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s, and large subunit (LSU) sequence data confirmed two unreported taxa along with their morphology. The results of molecular phylogeny firmly supported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illustration for each taxon. As far as we know, both Umbelopsis vinacea and Mucor hiemalis f. corticola are the first reported taxa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