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bosome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21초

발생중인 흰쥐에 전신적으로 투여된 불소가 골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luoride Administered Systemically during Rat Development on Forming Bone)

  • 임도선;안용순;김은숙;배형준;장병수
    • Applied Microscopy
    • /
    • 제32권3호
    • /
    • pp.265-273
    • /
    • 2002
  • 본 연구는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음용 불소가 발생중인 경골의 성장변화와 골모세포의 조직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에너지분광분석기를 사용하여 불소의 투여 농도에 따른 골기질 성분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대조군에서는 입방형의 전형적인 골모세포가 관찰되었다. 100 ppm 불소투여군의 경우, 활성이 강한 골모세포에 의해 생성된 여러층의 반전선과 새로 형성된 골성조직이 관찰되었다. 또한 골모세포의 세포질은 잘 발달된 조면세포체와 미토콘드리아가 관찰되었고 세포막 주위에는 많은 분비소포들이 관찰되었으며, 일부는 세포막과 융합되어 분비물질이 세포 밖으로 방출되었다. 200 ppm 불소투여군에서는 활성이 저하된 골모세포가 관찰되었는데, 세포질내에는 미토콘드리아가 팽창되어 있었고 수조의 형태가 파괴되어 나타났다. 또한, 조면소포체의 표면에는 리보솜이 탈락되어 관찰되었다. 300 ppm의 고농도 불소투여군에서는 골내막과 인접한 골모세포는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있었고, 세포막은 파괴되어 세포성분이 세포 밖으로 용출되어 관찰되었다. 한편, 에너지분산분광분석 결과는 대조군에 비해 100 ppm 불소투여군에서 골기질 성분인 인과 칼슘이 증가하였으나 200 ppm 및 300 ppm 불소투여군에서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투여된 불소에 의해 골모세포의 활동이 활발해지고 왕성한 골기질 합성이 관찰되었으나, 고농도의 불소 투여는 골모세포를 파괴하고 활동을 억제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피부 화상으로 유도된 간 손상에서 Allopurinol의 효과 (Allopurinol Decreases Liver Damage Induced by Dermal Scald Burn Injury)

  • 조현국;윤종국;박원학
    • Applied Microscopy
    • /
    • 제31권1호
    • /
    • pp.37-47
    • /
    • 2001
  • 화상에 의한 피부 손상이 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를 이용하여 피부 화상을 유도한 다음 각각 5시간, 24시간 후 생화학적 정량법과 형태학적 관찰을 통해 간 조직 손상의 발병기전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흰쥐의 화상 유발은 등쪽면의 털을 깎고(total burn surface area $20\sim25%$) $100^{\circ}C$ 물로 10초간 흡입손상 없이 피부 화상만을 가하였다. 생화학적 정량으로는 혈청 내 xanthine oxidase(XO)와 aniline aminotransferase (ALT)의 활성변화, 그리고 혈장 단백질 함량 변화를 측정하였고, 형태학적 관찰은 혈액 중 다형핵 백혈구 수의 산정과 간 세포의 미세구조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화상 후 혈청 내 XO의 활성 증가(P<0.01)와 함께 체중 당 간 무게(p<0.05)와 혈청 내 ALT의 활성이 증가되었다. 화상 직후 allopurinol의 복강투여로 XO활성, 간 무게, 그리고 ALT의 활성은 모두 감소되었다. 화상 손상에 의한 간 조직의 미세구조적 변화로는 소포체 종창, 리보솜 탈락, 지방소적의 축적, 그리고 담모세관과 세포간질의 확장이 관찰되었다. 뿐만 아니라 염증세포인 호중구의 침윤과 함께 혈관 내피세포의 손상, 쿠퍼세포의 활성화, 그리고 미세융모의 손상들이 관찰되었다. 또한 혈 중 다형핵 백혈구의 수적인 변화에서 화상 유발 5시간 후에 현저히 감소되어 내부 장기에 호중구 침윤의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allopurinol의 투여로 이러한 미세구조의 변화를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피부 화상으로부터 간 손상을 유발하는데 있어서 혈 중 XO의 활성증가가 매우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우수리땃쥐 Crocidura lasiura 악하선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the Submandibular Gland in the Big White-Toothed Shrew, Crocidura lasiura)

  • 정순정;임도선;박주철;김흥중;정제오;최백동;윤명희;정문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35권2호
    • /
    • pp.57-64
    • /
    • 2005
  • 악하선의 미세구조와 조직화학적 특성을 우수리땃쥐 Crocidura lasiura에서 연구하였다. 악하선은 장액선세포와 점액선세포로 구성된 혼합샘이었다. 이 샘포에서 분비된 과립들은 사이관, 과립관 그리고 줄무늬관을 거쳐 구강으로 분비되었다. 장액선세포, 점액선세포 그리고 과립관세포들은 많은 양의 조면소포체, 유리 리보솜 그리고 현저히 발달된 골지체를 기저부에, 많은 양의 과립을 정점부에 가지고 있었다. 타원형의 장액선 과립은 균질하게 밝은 구형 구슬모양을 중앙에 가지고 있었다. 점액선 과립은 균질하게 밝은 기질 내에 몇 개의 전자밀도가 있는 띠를 가짐으로서 다양한 문양을 가져 다른 포유류의 것과 구분되었다. 장액성의 분비과립과 땃쥐류, Suncus murinus와 C. dsinezumi에서 보고된 특징적 구조인 미엘린소체가 과립관세포의 세포질과 내강에서 관찰되었다. 줄무늬관세포는 많은 잘 발달된 미토콘드리아를 가지고 있었지만 분비과립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ITS 염기서열에 의한 한국산 쑥속(Artemisia L.)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A phylogenetic analysis of Korean Artemisia L. based on ITS sequences)

  • 이정훈;박충범;박춘근;문성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93-302
    • /
    • 2010
  • 한국산 쑥속 분류군의 계통분류학적 연구를 위해 Nuclear ribosome DNA의 ITS 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정렬된 염기의 총 길이는 635~643 bp이며, ITS1과 ITS2 부위의 길이는 각각 251~255 bp와 217~222 bp로 나타났다. 염기서열 변이를 보이는 site는 95개로 확인되었다. 그 중 ITS1이 35개, ITS2가 26개로 총 72개의 site가 계통학적으로 유효한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ITS1이 ITS2보다 종 분화의 변이가 다양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ITS 염기서열을 기초한 계통학적 분석은 쑥속 내에 5개의 Clade를 형성하였다. 그 결과 자방이 퇴화된 분류군들(사철쑥, 제비쑥, 섬쑥, 갯제비쑥)이 하나의 분계조(Clade 1)를 형성함으로써 아속 수준(Subgen. Dracunculus)으로 취급되는 결과를 뒷받침 하였다. 애기비쑥과 큰비쑥은 거의 동일한 유전적 정보를 보였으며(Boostrap 99%), 한국산 참쑥의 학명은 재고 되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강화약쑥(A. sp.)은 황해쑥과 매우 가까운 상동성을 보였다(Boostrap 89%). 따라서, 형태적 형질의 변이가 다소 연속적인 쑥속은 DNA 염기서열에 기초한 분자계통학적 연구가 유용한 방법으로 판단되며, 본 ITS 연구결과는 한국산 쑥속의 계통분류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형질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Identification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in Ducks in Response to Avian Influenza A Virus Infections

  • Ndimukaga, Marc;Won, Kyunghye;Truong, Anh Duc;Song, Ki-Duk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9-19
    • /
    • 2020
  • 본 연구는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high pathogenic avian influenza virus; HPAIV)와 저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low pathogenic avian virus; LPAIV)가 감염된 오리의 폐세포에서 보고된 기존 전사체 데이터를 재분석하여 조류 인플루엔자 감염에 대응하는 숙주의 공통 전사체를 발굴하고, 생물정보 분석을 실시하여 바이오 마커로서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이전 연구에서 생산된 microarray 데이터 세트를 재분석하여, HPAIV와 LPAIV가 각각 감염된 오리의 폐세포에서 각각 총 731 및 439개의 차등발현 유전자를 발굴하였다. 이들 차등발현 유전자 중에서, 227개의 유전자가 HPAIV와 LPAIV가 감염된 세포에서 공통적으로 조절되어, 193개의 유전자는 발현이 증가한 반면, 34개의 유전자는 발현이 감소하였다. 생물정보 분석을 통하여 차등발현 유전자들의 기능에 대한 주석달기를 실시하여, 리보솜과 단백질 대사 및 유전자 발현 관련 GO가 풍부해짐을 확인하였다. REACTOME 분석을 통하여 단백질 및 RNA 대사 경로 및 콜라겐 생합성과 변형을 포함한 조직 복구 경로가 조절됨을 확인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번역 및 RNA 품질 관리 경로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는 HPAIV 및 LPAIV 감염에 반응하여 발현의 증가 또는 감소하는 방향으로 조절되어 AIV가 숙주 번역 기계를 억제함으로써 숙주 방어 시스템을 회피할 수 있거나 번역을 위해 세포질로 내보내기 전에 AIV가 억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IV 감염은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조직의 병변 형성을 조절하는 경로를 활성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Mutations in the gyrB, parC, and parE Genes of Quinolone-Resistant Isolates and Mutants of Edwardsiella tarda

  • Kim, Myoung-Sug;Jun, Lyu-Jin;Shin, Soon-Bum;Park, Myoung-Ae;Jung, Sung-Hee;Kim, Kwang-Il;Moon, Kyung-Ho;Jeong, Hyun-D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12호
    • /
    • pp.1735-1743
    • /
    • 2010
  • The full-length genes gyrB (2,415 bp), parC (2,277 bp), and parE (1,896 bp) in Edwardsiella tarda were cloned by PCR with degenerate primers based on the sequence of the respective quinolone resistance-determining region (QRDR), followed by elongation of 5' and 3' ends using cassette ligation-mediated PCR (CLMP). Analysis of the cloned genes revealed open reading frames (ORFs) encoding proteins of 804 (GyrB), 758 (ParC), and 631 (ParE) amino acids with conserved gyrase/topoisomerase features and motifs important for enzymatic function. The ORFs were preceded by putative promoters, ribosome binding sites, and inverted repeats with the potential to form cruciform structures for binding of DNA-binding proteins. When comparing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s of E. tarda GyrB, ParC, and ParE with those of the corresponding proteins in other bacteria, they were found to be most closely related to Escherichia coli GyrB (87.6% identity), Klebsiella pneumoniae ParC (78.8% identity), and Salmonella Typhimurium ParE (89.5% identity), respectively. The two topoisomerase genes, parC and parE, were found to be contiguous on the E. tarda chromosome. All 18 quinolone-resistant isolates obtained from Korea thus far did not contain subunit alternations apart from a substitution in GyrA (Ser83$\rightarrow$Arg). However, an alteration in the QRDR of ParC (Ser84$\rightarrow$Ile) following an amino acid substitution in GyrA (Asp87$\rightarrow$Gly) was detected in E. tarda mutants selected in vitro at $8{\mu}g/ml$ ciprofloxacin (CIP). A mutant with a GyrB (Ser464$\rightarrow$Leu) and GyrA (Asp87$\rightarrow$Gly) substitution did not show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CIP. None of the in vitro mutants exhibited mutations in parE. Thus, gyrA and parC should be considered to be the primary and secondary targets, respectively, of quinolones in E. tarda.

ITS 염기서열에 의한 미치광이풀속의 계통 (Phylogeny of Scopolia Jacq. s. str. based on ITS sequences)

  • 김영동;백진협;김성희;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73-386
    • /
    • 2003
  • Scopolia s. str.(미치광이풀속) 및 그 근연속인 Anisodus, Atropanthe 등을 대표하는 8 분류군으로부터 얻은 14개체를 대상으로 핵 ribosome DNA의 ITS 염기서열 결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반도 고유종인 S. parviflora(미치광이풀)은 ITS 전체 길이와 염기서열 변이에 있어서 근연종인 S. japonica와 매우 큰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결과는 두 종을 동일시했던 대부분의 분류학적 견해와 배치되는 것이다. 한편, S. parviflora는 유럽에 격리분포하는 종인 S. carniolica와 더 가까운 계통유연관계를 나타냈다. S. japonica가 S. parviflora 및 S. carniolica와 높은 유전적 차이를 나타내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매우 높은 형태적 유사성을 보이는 것은 이들이 오랜 격리기간에도 불구하고 유사한 생육환경에 처함으로 인해 형태진화가 지연되었거나 비슷한 형질을 갖는 방향으로 진화가 일어났을 것이라는 형태정체(morphological stasis) 개념으로 이해되었다. 다른 한반도 고유종인 S. lutescens(노랑미치광이풀)은 S. parviflora와 ITS 염기서열이 거의 동일하였고 계통수 상에서도 두 종에 속하는 개체들이 전혀 구분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자연개체군 내에서 이들 두 종을 구분하는 주요 식별형질들의 유용성도 결여되어 S. lutescens는 S. parviflora의 품종 혹은 단순한 개체 변이로 이해되었다. 한편, Scopolia속으로 최초 기재되었다가 화분의 형질에 의해 Anisodus속으로 이전되었던 A. carniolicoides는 A. luridus 및 A. tanguticus와 단계통군을 형성하였으며 Anisodus는 단형속인 Atropanthe와 자매군 관계를 형성하였다.

가령에 따른 백서 악관절 원판의 형태 및 미세구조적 변화 (CHANGES IN THE SHAPE AND ULTRASTRUCTURE OF THE ARTICULAR DISC OF THE RAT MANDIBULAR JOINT WITH AGING)

  • 서혜경;경희문;성재현;배용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31-348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shape and ultrastructure of the articular disc of the rat mandibular joint with aging. Mechanical stress applied to the articular disc changes during neonatal, suckling, juvenile, adult and senile stages. Mandibular joints of 6 groups of rats(1-, 7-, 17-, 27-, 55-day and over-1-year groups) were removed en bloc and processed for light and electro microscopic study. The changes in the shape of articular disc were examined by light microscope in each group. Structural and ultrastructural changes in the articular disc were examined b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e in each grou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In the 1-day and 7-day groups, the articular disc was long and slender in shape and the articular disc was not fitted with the shape of the mandibular fossa and condyle. However' after that time, the anterior and posterior portions of the articular disc were more bulged and the middle portion was shorter and biconcave. Thus the articular disc was well fitted with the shape of the mandibular fossa and condyle. The cell density decreased with aging. In the l -day and 7-day groups, the Golgi apparatus, rough endoplasmic reticulum and free ribosome, which are involved in the synthesis of intracellular and extracellular matrix, were developed. In the 17-day, 27-day and 55-day groups, not only the cell organelles involved in the synthesis of the intracellular and extracellular matrix but also the cell organelles involved in the remodeling of the extracellular matrix(i.e., finger-like cell process, lysosome and mitochondria)were well developed. With advancing age, intracytoplasmic microfilaments were more accumulated and condroid cells increased. In the over-1-year group, the majority of cells of the articular disc were chondroid cells. The majority of cytoplasmic compartment were filled with intracytoplasmic microfilaments and cell organelles were not developed. Therefore, metabolic activities of the cell was markedly reduced and cells contained structures enduring mechanical stress, and cells which were in the process of degeneration were observed occasionally.

  • PDF

편평세포폐암에서 Argyrophilic Nucleolar Organizer Regions(AgNORs)의 임상적의의 (Clinical Significance of Argyrophilic Nucleolar Organizer Regions(AgNORs) In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Lung)

  • 한승범;전영준;이상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4호
    • /
    • pp.513-521
    • /
    • 1995
  • 연구배경: 세포의 증식능력을 반영한다고 알려진 NORs를 간편한 은염색으로 발현시켜서 AgNORs 수가 정상조직과 종양조직의 비교감별과 종양의 증식능력판단에 유용한지를 알기위하여 파라핀 포매된 편평세포폐암 조직을 이용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수술로써 절제한 파라핀 포매된 편평세포폐암 조직 36예를 Mourad 등의 방법으로 은염색하였다. 1,000 배 배율하에서 종양조직과 정상조직에서 임의로 100 개씩 세포를 선정해서 핵당 평균 AgNORs수를 구하였다. 결과: 종양조직에서 TNM병기에 따른 핵당 평균 AgNORs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정상조직과 종양조직을 비교허여 정상조직에서는 $1.74{\pm}0.25$, 종양 조직에서는 $4.05{\pm}0.80$으로 종양조직의 핵당 평균 AgNORs수가 정상조직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았다(p<0.001). 결론: TNM분류에 따른 각 병기별 종양조직과 인접 정상조직의 핵당 평균 AgNORs수를 비교하여도 각 병기에서 종양조직의 평균 AgNORs수가 정상조직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05).

  • PDF

Dibutyryl Cyclic AMP에 의해 成熟이 抑制된 Mouse 卵子의 微細構造에 관한 硏究 (Studies on the Fine Structures of Mouse Oocyte Whose Maturation has been suppressed in Vitro by Dibutyryl Cyclic AMP)

  • 崔林淳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7-101
    • /
    • 1975
  • dbcAMP에 의한 卵子의 核 崩壞 抑制作用을 電子顯微鏡的으로 究明하기 위하여 생쥐 濾胞卵子의 微細構造를 관찰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結論을 얻었다. 1. 實驗群에서의 核膜의 彎曲은 對照群의 것에 비하여 얼마간 줄고 있으며 2種의 核膜이 정상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나, 核膜을 따라 무수히 많은 核膜孔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核 崩壞 抑制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2. mitochondria는 對照群에서는 細胞質 전체에 산재해 있고, cristae의 構造가 뚜렷하지 못한 未分化 혹은 移行型의 것들이 많은 반면, 實驗群에서는 mitochondria가 대체로 核 周邊部에 모여 있으며 cristae가 얼마간 발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3. Iysosome은 實驗群에서 그 構造도 보다 단순하고 또 그 數도 對照群에 비하여 얼마간 減少하고 있다. 4. Golgi complex는 對照群에서는 전현적인 顆粒, 層板狀 構造를 하고있으나, 實驗群에서의 것은 그다지 뚜렷하지가 않다. 5. multivesicular body는 兩群이 모두 다수 나타나고 있으며, tonofilament도 무수히 존재하고, 細胞質 전반에 걸쳐 free ribosome이 존재하고 있다. 6. 細胞膜의 microvilli의 形態는 實驗群에서는 無定形으로 변하고 있으며, perivitellin space도 상당히 넓어지고 있다. 7. 以上의 觀察結果로 미루어 보아 dbcAMP를 處理하여 24시간 배양한 卵子와, 卵巢에서 직접 採取한 卵子의 電子顯微鏡的 構造에는 근본적인 변화는 볼 수 없으며, 實驗群의 卵子에서 核膜孔의 數가 뚜렷이 증가하고 있는 것은 dbcAMP가 核膜의 透過性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므로써 卵子의 成熟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