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hus verniciflua S. bark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7초

Quantitative Analysis of Fustin and Sulfuretin in the Inner and Outer Heartwoods and Stem Bark of Rhus verniciflua

  • Kim, Min-Young;Chung, Ill-Min;Choi, Deog-Cheon;Park, Hee-Juh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5권4호
    • /
    • pp.208-212
    • /
    • 2009
  • The heartwood of Rhus verniciflua Stokes (Anacardiaceae) is widely used for a medicinal plant to treat diabetes mellitus and lingering intoxication in the folkloric society of Korea, while the stem bark has been traditionally used to treat menstrual disorder and helminthiasis. We previously reported that a flavonoid, fustin, isolated from the heartwood of R. verniciflua is effective in Alzheimer‘s disease and rheumatoid arthrit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to produce more flavonoid-rich fraction from this plant, the MeOH extracts from the plant parts of stem bark, outer heartwood, and inner heartwood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by HPLC. Phenolic or flavonoid compounds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p-coumaric acid, sulfuretin, fustin, fisetin, luteolin and astragalin) were detectable in the HPLC chromatogram. The orange-colored inner heartwood was found to contain the highest levels of fustin (16.96 mg/g) and sulfuretin (2.22 mg/g). Moreover, the inner heartwood accumulated fustin and sulfuretin at least 4-fold higher level as compared to the stem bark and outer heartwood. The levels of total phenolic compound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extents of antioxidant properties. Therefore, the inner heartwood of R. verniciflua could be used to increase fustin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which is capable of treating Alzheimer‘s disease and rheumatoid arthritis.

발효에 의한 옻나무 수피의 휘발성 유기성분 변화 (Chang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of Rhus verniciflua S. Bark by Fermentation)

  • 유근영;서혜영;한규재;정양모;김경수;홍광준;유상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08-314
    • /
    • 2007
  • 천연 약재식물인 옻나무 수피와 그 발효 옻나무 수피의 휘발성 유기성분을 SDE방법으로 추출하고 GC/MS로 분석하여 각각 51종, 27종의 휘발성 유기성분을 확인하였다. 옻나무 수피의 주요 휘발성 유기성 분으로는 2-methyl-3-buten-2-ol, 3-methylbutanal, 1-octen-3-ol, 3-methyl-2-butanone, pentanal, hexanal, ethyl lactate, ethanol 등이 주요 성분으로 전체 성분의 68%를 차지하였으며, 발효 옻나무 수피의 주요 휘발성 유기성분으로는 ethanol이 전체 성분의 68.29%로 나타났고, ethyl lactate, ethyl acetate, 3-methylbutanol 등을 포함한 화합물들이 주요 성분으로 전체의 96%를 차지하였다. 옻나무 수피에서 전체 함량의 1.10 mg/kg를 차지한 ethanol이 발효 옻나무에서는 676.83 mg/kg까지 증가하였다. Ethanol을 제외한 다른 alcohol류는 31.57%에서 6.87%로 감소하였으며, ester류는 4.4%에서 23.7.l%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발효과정 중의 중간대사산물에 의해서 생성된 것으로 사료되고, alcohol류와 aldehyde류의 감소 그리고 ester류의 상대적 농도의 증가로 다른 화합물들의 화학적 변화에 의한 유도화를 추측 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옻나무 수피가 발효 옻나무 수피로 발효되는 과정에서 맑은 화학적 성분의 변화가 확인 되었다.

옻나무 우죽의 수피생산량 분석 (Bark Production Analysis on Top Branch of Rhus verniciflua)

  • 송병민;이명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37-342
    • /
    • 2005
  • 본 연구는 옻을 채취한 옻나무에서 수피생산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옻나무의 직경에 따른 중량과의 관계와 우죽의 중량에 따른 수피와 건피량을 조사한 결과 옻나무중량에 대한 우죽중량의 비율은 평균 $48\%$였는데, 중량이 큰 나무들이 우죽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옻나무 직경이 최소한 8cm정도는 되어야 우죽에서 1kg이상의 건피를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옻나무 우죽의 수피를 측정한 결과 생피무게는 $1.1{\sim}l.5kg$에 해당하는 옻나무가 $43.3\%$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0.5{\sim}1.0kg$$37.5\%$로 조사되어 전체 우죽의 $80\%$이상이 1.5kg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피를 말린 건피의 무게는 $0.6{\sim}1.0kg$에 해당하는 나무들이 $50.8\%$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0.1{\sim}0.5kg$으로 $25\%$로 나타나 전체 옻나무의 $75\%$정도가 1.0kg이하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우죽중량에 대해 생피중량이 차지하는 평균비율은 $27\%$였으며, 우죽중량에 대한 건피중량의 평균비율은 $16\%$로 측정되었는데, 생피를 건조시켰을 때 평균건피중량은 생피의 $61\%$로 나타나 생피의 수분함유율이 평균 $39\%$로서 건피 1kg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우죽 6.25kg이 소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CEPA 처리(處理)가 옻나무의 칠액분비(漆液分泌) 및 수피생리(樹皮生理)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CEPA on the Secretion of Lacquer and Bark Physiology of Lactree(Rhus verniciflua Stokes))

  • 최태봉;김만조;현정오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1호
    • /
    • pp.116-125
    • /
    • 2000
  • 본 연구는 CEPA(2-chloroethyl phosphonic acid)처리가 옻나무(Rhus verniciflua Stokes)의 수피생리 및 해부학적 변화와 칠액의 분비촉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강원도 횡성군에 조성된 7년생 옻나무단지에서 크기가 비슷하고 생장이 균일한 개체 40본을 선발하여, CEPA가 각각 0%, 0.1%, 1%, 10% 함유된 lanolin pastes를 1.2m 높이에서 4방향으로 처리하고 5주 후 농도별 수피두께와 수피내 옻산함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수피조직의 해부학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수피조직을 광학현미경하에서 관찰하였다. CEPA 처리시 수피의 내피두께는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수피내 옻산 생산량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CEPA 0.1% 처리시 평균 내피두께는 1.65mm이고, 1% 처리구는 1.96mm였으며, 10% 처리구에서 3.59mm로 대조구의 1.43mm에 비해 약 2.5배 증가하였다. 이는 사부조직의 확대와 세포간극이 넓어진 것에 기인한다. 또한 CEPA에 의해 수피내 옻산 분비가 촉진되어 CEPA 처리목은 무처리목에 비해 더 많은 양의 옻산을 분비하였다. 수피내 단위면적당 평균 옻산함량은 CEPA 0.1% 처리구의 경우 $5.11mg/cm^2$이였고, 1% 처리구는 $6.86mg/cm^2$였으며, 10% 처리는 $12.12mg/cm^2$으로 대조구의 $4.29mg/cm^2$보다 2.8배 증가하였다. 옻나무 내피를 해부학적으로 관찰한 결과 단위면적당 칠액구 수에는 큰 차이가 없었지만 전체 칠액구 수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칠액구의 크기가 외피쪽으로 갈수록 현저히 커졌다. 또한 CEPA를 처리한 나무의 경우 유세포가 치밀하였으며, ray층 수가 무처리구의 경우 1-2층인데 반하여 처리구에서는 2-3층으로 잘 발달되어 있었다.

  • PDF

Anti-rheumatoidal Arthritis Effect of Sulfuretin Isolated from Rhus veniciflua

  • Park, J.W.;B.J. Yoon;Park, J.K.;Lee, K.T.;Y.N. Han;Park, H.J.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84-84
    • /
    • 2001
  • The heartwood of Rhus verniciflua has been known to be effective for lingering intoxication and diabetes mellitus and rheumatoidal arthritis in traditional folk medicine in Korea. We have previously reported that antimutagenic effect of flavonoids derived from the heartwood extract of R. verniciflua, and sulfuretin was the active component. Recently, we have demonstrated that sulfuretin could be an anti-inflammatory principle of the R. verniciflua heartwood partially dependent on cyclooxigenase-inhibitory activity.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demonstrate the anti-rheumatoidal arthritis effect of the R. verniciflua heartwood extract, its EtOAc fraction and the main flavonoids, sulfuretin and fustin. All the test samples showed variably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s on hind paw edema induced by Freund's complete adjuvant reagent (FCA reagent). Sulfuretin treatment with 10 mg/kg (i.p.) for seven days showed the inhibitory effect of 54.2${\pm}$3.0%, Similar trends in RA- and CRP tests, vascular permeability test and trypsin inhibitor test were also found. In addition, no dead mouse was found even when the dose was increased up to 5,000 mg/kg (i.p.). Treatment with 250-1,500 mg/kg on normal rats did not show any marked toxicological significances in the tests of body weight gain, wet weight of organs and hepatic function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heartwood of R. verniciflua could be an adequate crude drug for rheumatoidal arthritis with an active component of sulfuretin. The toxicological safety of the heartwood of R, verniciflua is contrasted to known severe allergenic action of the stem bark or its exudate.

  • PDF

장수버섯 배양으로 제조한 발효옻 추출물이 장류 미생물의 증식 및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Extracts from Fermented-Rhus verniciflua Stem Bark with Fomitella fraxinea on the Growth and Enzyme Activity of Soybean Product-fermenting Microorganisms)

  • 최한석;여수환;정석태;최지호;강지은;김명곤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35-243
    • /
    • 2012
  • 옻의 장류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urushiol이 제거된 발효옻 추출물이 장류발효미생물의 증식 및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발효옻 알코올 추출물은 Bacillus 속과 Z. rouxii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었으나 열수 추출물은 Bacillus 속과 Z. rouxii를 포함한 젖산균, 효모, 대장균에 항균활성이 없었다. 발효 옻 열수 추출물은 L. plantarum, L. mesenteroides, S. cerevisiae의 균체성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Bacillus속에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B. licheniformis, B. sutilis의 균체를 1.3-4.5배 증가시켰다. 그러나 Z. rouxii는 균체량을 감소시켰으며 유해 미생물인 B. cereus와 E. coli에 대한 증식억제 효과도 나타내지 않았다. 발효옻 열수 추출물은 B. licheniformis와 B. subtilis가 생산하는 amylase와 protease의 활성을 큰 폭으로 증가시켰으며, amylase는 B. licheniformis 11052P 균주에서 protease는 B. subtilis 10854에서 그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지방 및 cellulose 분해활성은 B. licheniformis와 B. subtilis의 모든 균주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발효옻 추출물의 헬리코박터파이로리 생장억제 및 항염증 활성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fermented Rhus verniciflua stem bark extract and its growth inhibitory effect on Helicobacter pylori)

  • 최은영;석기태;최한석;김명곤;권용수;김명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502-507
    • /
    • 2016
  • 본 연구는 장수버섯(Fomitella fraxinea)을 이용하여 발효처리 한무독화 옻나무 추출물의 위장기능 개선능을 확인하고자 발효옻추출물을 이용하여 H. pylori 생장억제활성, 위암세포 생장억제활성과 항염증 활성을 평가하였다. H. pylori를 접종한 배지에 발효옻 추출물을 농도별로 첨가하였을 때 2.0 mg의 농도에서 4.0 mm의 생장억제환을 확인하였으며, 발효옻 추출물을 배지에 1.0-5.0 mg 농도로 혼합한 후 H. pylori을 접종한 경우에도 생장억제능이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세포 수준에서 H. pylori에 의해 유발된다고 알려진 위암과 위염 개선능을 평가하고자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은 0.1-1.0 mg/mL의 농도범위로 AGS 위암세포 생장억제활성 및 NO 생성 저해율을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0.25 mg/mL 이상의 농도에서 20% 이상의 위암세포 생장억제활성을 확인하였으며, LPS로 염증을 유도한 RAW 264.7 세포에서 추출물 0.25 mg/mL처리시 90%의 높은 NO 생성 저해율을 확인하였다. 염증유발인자인 iNOS와 COX-2의 발현 억제율은 0.50 mg/mL 농도에서 각각 50, 10%의 억제율을 보여 NO 생성저해율은 iNOS에 의한 영향인 것으로 사료된다. 상기 결과로 발효옻 추출물은 H. pylori 생장억제능 및 높은 NO 생성저해 활성이 확인됨으로서 간접적인 위암발생 억제제 및 항염증제로서의 이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발효옻 추출물을 이용한 위장개선 식의약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생각되며 이를 위해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장수버섯 균사체가 배양된 옻피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Rhus verniciflua Stem Bark Cultured with Fomitella fraxinea)

  • 최한석;김보현;여수환;정석태;최지호;박효숙;김명곤
    • 한국균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72-178
    • /
    • 2010
  • 옻피의 일반성분은 수분 1.64%, 지방 8.09%, 단백질 7.28%, 회분 6.48%, 당류 5.39%로 구성되어 있었던 반면, 장수버섯을 증식시킨 옻나무 껍질은 각각 7.64%, 3.86%, 3.59%, 6.30%, 불검출 이었다. 배양물의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97.41mg%으로 대조구(71.91 mg%)에 비하여 35% 증가하였으며 phosphoserine(55.06 mg%), ammonia(17.84 mg%), aspartic acid (6.05 mg%)가 주요 유리아미노산 이었다. 배양물의 총 phenolic acid함량은 422.89 ppm/283.86 ppm(알코올/물 추출물)이었으며 syringic acid와 gallic acid가 주요 성분이었고 vanillic, protocatechuic acid가 소량 함유되어 있었다. 항산화활성(DPPH, $IC_{50}$)은 $28.54\;{\mu}g/54.70\;{\mu}g$ (알코올/물 추출물)으로 gallic acid가($IC_{50}\;1.84\;{\mu}g$) 주요 영향 요소이었다. 배양물의 NIH3T3세포에 세포독성($IC_{50}$)은 알코올 추출물 $50\;{\mu}g/200\;{\mu}L$, 물 추출물 $90\;{\mu}g/200\;{\mu}L$이었으며 UV조사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stress에 대하여 $20-25\;{\mu}g/200\;{\mu}L$ 농도에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배양물의 물 추출은 전구지방세포(3T3-L1)의 분화를 촉진시켰으며 $10\;{\mu}g/200\;{\mu}L$의 농도에서 가장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