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hizopus chinensi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5초

Biodiesel Production: Utilization of Loofah Sponge to Immobilize Rhizopus chinensis CGMCC #3.0232 Cells as a Whole-Cell Biocatalyst

  • He, Qiyang;Xia, Qianjun;Wang, Yuejiao;Li, Xun;Zhang, Yu;Hu, Bo;Wang, Fe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7호
    • /
    • pp.1278-1284
    • /
    • 2016
  • Rhizopus chinensis cells immobilized on loofah (Luffa cylindrica) sponges were used to produce biodiesel via the transesterification of soybean oil. In whole-cell immobilization, loofah sponge is considered to be a superior alternative to conventional biomass carriers because of its biodegradable and renewable properties. During cell cultivation, Rhizopus chinensis mycelia can spontaneously and firmly adhere to the surface of loofah sponge particles. The optimal conditions for processing 9.65 g soybean oil at 40℃ and 180 rpm using a 3:1 methanol-to-oil molar ratio were found to be 8% cell addition and 3-10% water content (depending on the oil's weight). Under optimal conditions, an over 90% methyl ester yield was achieved after the first reaction batch. The operational stability of immobilized Rhizopus chinensis cells was assayed utilizing a 1:1 methanol-to-oil molar ratio, thus resulting in a 16.5-fold increase in half-life when compared with immobilized cells of the widely studied Rhizopus oryza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ransesterification of vegetable oil using Rhizopus chinensis whole cells immobilized onto loofah sponge is an effective approach for biodiesel production.

A Newly Isolated Rhizopus microsporus var. chinensis Capable of Secreting Amyloytic Enzymes with Raw-Starch-Digesting Activity

  • Li, Yu-Na;Shi, Gui-Yang;Wang, Wu;Wang, Zheng-Xi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2호
    • /
    • pp.383-390
    • /
    • 2010
  • A newly isolated active producer of raw-starch-digesting amyloytic enzymes, Rhizopus microsporus var. chinensis CICIM-CU F0088, was screened and identified b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es. This fungus was isolated from the soil of Chinese glue pudding mill, and produced high levels of amylolytic activity under solid-state fermentation with supplementation of starch and wheat bran. Results of thin-layer chromatography showed there are two kinds of amyloytic enzymes formed by this strain, including one $\alpha$-amylase and two glucoamylases. It was found in the electron microscope experiments that the two glucoamylases can digest raw corn starch and have an optimal temperature of $70^{\circ}C$. These results signified that amyloytic enzymes secreted by strain Rhizopus microsporus var. chinensis CICIM-CU F0088 were types of thermostable amyloytic enzymes and able to digest raw corn starch.

Rhizopus의 아밀라아제에 관한 연구 1 (Studies on the Amylase of Rhizopus(I))

  • 이영녹;윤경하
    • 미생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1-50
    • /
    • 1973
  • 151 strains which belong to the gens Rhizopus were isolated from 750 specimens collected through all over South Korea, and 19 species of the genus, all of which are unrecorded in Korea,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modified Takeda-Yamamoto's classification key. The species identified are as follows ; R. nigricans, R.formosaensis, R.achlamydosporus, R.tritici, R.javanicus, R.cuiuniang, R liquefaciens, R.chungruoensis, R.acidus, R.chinensis, R.delemar, R.hangchow, R.japonicus, R.arrhizus, R.bahrnenesis, R.tonrinensis, and R.shanghaiensis.

  • PDF

Polyurethane Foam을 이용한 리파아제 생산 균주 Rhizopus chinesis의 고정화 (Immobilization of Rhizopus chinesis using Polyurethane Foams)

  • 주지선;류희욱장용근
    • KSBB Journal
    • /
    • 제7권3호
    • /
    • pp.172-178
    • /
    • 1992
  • 담체로 사용된 polyurethane foam은 Rizopus chinensis의 균사가 부착하여 안정하게 증식할 수 있게 하였다. 고정화를 위해 사용된 네 종류의 polyurethane foam중 GP-160이 고정하ㅗ 매체로 우수한 성질을 보였고, 입자의 크기는 7-8mm가 적당하였다. Rizopus chinensis의 현탁 배양과 polyurethane foam에서의 고정화 배양을 비교할 때, 전체 리파아제의 활성도는 큰 변화가 없었지만, 고정화 배양의 경우 extracellualar lipase의 생성을 억제하여 intracellular lipase의 활성도를 현탁 배양의 경우보다 약 2배가량 높일 수가 있었다. 고정화 세포의 열안정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35~$50^{\circ}C$사이에서 열에의한 비활성화 에너지값을 구해본 결과, 그 값이 28.7kcal/mol로서 본 연구에서 제조된 고정화 세포의 생촉매가 배교적 좋은 열안정성을 갖고 있다.

  • PDF

DNA-probe를 이용한 미생물 검출 진단 방법의 개발

  • 김영대
    • 미생물과산업
    • /
    • 제25권2호
    • /
    • pp.2-6
    • /
    • 1999
  • 151 strains which belong to the gens Rhizopus were isolated from 750 specimens collected through all over South Korea, and 19 species of the genus, all of which are unrecorded in Korea,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modified Takeda-Yamamoto's classification key. The species identified are as follows ; R. nigricans, R.formosaensis, R.achlamydosporus, R.tritici, R.javanicus, R.cuiuniang, R liquefaciens, R.chungruoensis, R.acidus, R.chinensis, R.delemar, R.hangchow, R.japonicus, R.arrhizus, R.bahrnenesis, R.tonrinensis, and R.shanghaiensis.

  • PDF

식품부패 및 병원성미생물에 대한 천연약용식물 추출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ies of Natural Medicinal Herbs on the Food Spoilage or Foodborne Disease Microorganisms)

  • 오덕환;함승시;박부길;안철;유진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957-963
    • /
    • 1998
  • 민간요법 또는 식품가공 공정에서 그 안정성이 확보되어 생약재료 또는 식품가공재료로서 사용되고 있는 약용식물에 대하여 항균력을 검색하였고 그중 가장 항균력을 나타낸 황련을 사용하여 활성성분을 분획 추출물한 다음 이 추출물로 부터 여러 종류의 부패 미생물 및 병원성균에 대한 항균성을 검색하였다. 산사, 황련, 측백, 창출 및 석창포 에탄올 추출물은 그람 양성 또는 음성세균 모두에 대하여 강한 항균성을 나타내었으며, 토사자 에탄올추출물은 그람음성 세균에서만 항균성을 나타내었고 사군자, 숙지황 및 백제 에탄올추출물은 거의 또는 모든 시험균에 대하여 항균력을 나타내지 않았다. 황련의 에탄올추출물은 기존에 보고된 많은 한약제의 에탄올추출물과 비교하여 볼 때 적은 농도에서도 매우 다양하고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그람양성 또는 음성세균 모두 강한 항균력을 보였다. 한편, 황련 에탄올 추출물은 $100^{\circ}C$에서 각각 30분 또는 1시간 동안, $121^{\circ}C$에서 15분간 열처리한 후 Listeria monocytogenes균에 대한 생육저해환을 측정한 결과 상기의 모든 열처리에 의해서도 무열처리군과 비교하여 볼 때 항균력의 차이가 없어 열에 매우 안정 하였다. 또한 생육배지의 pH 변화가 Listeria monocytogenes균의 생육억제에 대한 황련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배양배지의 pH 가 중성에서 알칼리성으로 갈수록 황련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더욱 증가되었고 약산성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황련 에탄올추출물은 알칼리성 조건하에서 더욱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황련 에탄올추출물로부터 부분정제한 물질의 항균력은 검색된 미생물중 그람양성세균, 그람음성세균, 효모 및 곰팡이균 모두에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나 Candida utilis, Rhizopus javanicus에는 억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식중독세균인 Listeria monocytogenes과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부분정제물질의 생육저해 효과를 조사한 결과 두균주 모두 $100{\;}{\mu}g/mL$의 농도에서는 무첨가 대조균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으며 $500{\;}{\mu}g/mL$ 첨가구에서는 Listeria monocytogenes균은 36시간까지는 생육을 억제하였으나 그 이후부터는 급속한 생육을 하였고 Staphylococcus aureus균은 완전히 생육이 억제되었고 $1000{\;}{\mu}g/mL$ 첨가구에서는 두 균주 모두 완전히 생육이 억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