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hizopogon rubescen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Pisolthus tinctorius, Rhizopogon spp. 및 Suillus pictus균(菌)의 접종에 의한 리기테다소나무 묘목에 형성된 외생균근의 형태 (Morphology of Ectomycorrhizae of Pinus rigida × P. taeda Seedlings Inoculated with Pisolthus tinctorius, Rhizopogon spp. and Suillus pictus)

  • 이창헌;고대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2권4호
    • /
    • pp.319-327
    • /
    • 1993
  • 본(本) 연구(硏究)는 우리나라에 인공식재(人工植栽)된 몇몇 지역(地域)의 리기테다소나무림(林)에 자생(自生)하는 몇가지 균근균(菌根菌)을 분리(分離) 동정(同定)하고, 도입(導入) 균근균(菌根菌)인 Pt균(菌)과 분리된 자생(自生) 균근균(菌根菌) Ra균(菌), Rb균(菌), Sp균(菌) 등(等)의 접종에 의해 리기테다소나무묘(苗)에 형성(形成)된 균근(菌根)의 해부학적(解剖學的)인 형태(形態)를 조사(調査)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분리(分離) 동정(同定)된 Rhizopogon rubescens, Rhizopogon sp., Suillus pictus균(菌)과 도입종(導入種)인 Pisolithus tinctorius균(菌) 등(等)을 리기테다소나무묘(苗)의 근부(根部)에 인공접종(人工接種)한 결과(結果) 균근(菌根)을 형성(形成)하였다. 2. 균근(菌根)이 형성(形成)된 뿌리는 균사(菌絲)가 뿌리 표면(表面)을 감싸고 있으며 Hartig net와 균투(菌套)가 발달(發達)하였다. 또한 Hartig net의 발달(發達)로 인(因)하여 세포간극(細胞間隙)이 두꺼워졌다. 3. 균근(菌根)의 세포에서는 비균근(非菌根)의 세포(細胞)에서보다 액포의 크기는 작았고, 세포질(細胞質)의 양(量)은 많았다. 그러나 핵(核)의 크기에는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 PDF

Multivesicular bodies 및 Cytolysomes에 관(關)한 전자현미경적(電子顯微鏡的) 연구(硏究)

  • 김우갑;김창환;박홍덕;양희영
    • Applied Microscopy
    • /
    • 제6권1호
    • /
    • pp.21-32
    • /
    • 1976
  • Rhizopus nigricans, Aspergillus niger, Aspergillus ochraceus의 균계 Agricus bisporus, Rhizopogon rubescens의 자실층균계 및 담자기세포, Marchantia polymorpha, Pogonatum inflexum, Pteridium aqiulium 의 동화조직, Pinus densiflora, Ginkgo biloba, Panax ginseng 의 엽육조직의 소편을 glutaralehyde-paraformalehyde 및 $OsO_4$에 고정하여 다소포체 및 세포질용해체와 관련된 다양상인 막성구조의 기원과 기능에 관하여 전 자현미경적으로 추구하였다. Rhizopus nigricans, Aspergillus niger, A. ochraceus, Agricus bisporus, Rhizopogon rubescens 의 동심원상인 다층막, 미에린一소포-관상구조의 복합체, 평행다층막구조등은 원형질막에서 유래된다. Marchantia polymorpha, Pogonatum inflexum, Pteridium aquilinum, Pinus densiflora, Ginkgo biloba, Panax ginseng 에 있어서 pinocytotic vesicles 외에 다양상안 막성구조는 원형질막과 세포질안의 무과립성 소포체에서 유래된다. 원형질막에서 유래되는 것은 다소포체인 것과 미에린 양구조인 것으로 구분되고, 이것은 2차액포를 형성하거나 또는 1차액포안으로 유리되어 퇴화한다. 세포질안의 소포체가 세포질의 일부를 포위하고 그 내부에 막증식과 더불어 세포질이 감소되면서 다층막구조로 변하고, 이것은 액포안으로 유리되어 퇴화한다. 세포질의 소포체에서 유래되는 것은 액포분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세포질분리체 또는 세포용해체인 것으로 믿어진다.

  • PDF

상수리나무에 대(對)한 모래밭버섯균(菌)과 알버섯균(菌)의 접종효과(接種效果) (Inoculation Effect of Quercus acutissima Carr. with Pisolithus tintorius (Pers.) Coker et Couth and Rhizopogon rubescens(Tul.) Tul)

  • 이천용;이원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85-88
    • /
    • 1987
  • 상수리나무에 대한 모래밭버섯균(Pt)와 알버섯균(Rr)의 접종효과(接種效果) 및 적정(適正) Pt 접종량(接種量)을 구명(究明)코저 토양소독(土壤消毒)을 실시(實施)하고 균근균(菌根菌)을 접종(接種)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균근형성율(菌根形成率)은 생장(生長) 2년차(年次)에 Pt가 최고(最高) 42%, Rr이 36%로 비교적 낮았으나 1년차(年次)에는 높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2. 상수리나무묘목(苗木)의 생장(生長)은 토양소독구(土壤消毒區)에서 우세하였으며 특히 Pt 배량접종구(倍量接種區)가 가장 좋았다. 3. Rr 접종구(接種區)는 Pt 접종구(接種區)와 비슷한 생장(生長)을 하여 Rr 균(菌)의 접종효과(接種效果)가 나타났다. 4. 토양소독후(土壤消毒後) 균접종(菌接種)으로 지하부(地下部) 중량(重量)이 크게 증가(增加)하였으며 따라서 조림후(造林後) 활착율증대(活着率增大)가 기대된다. 그러나 토양무소독구(土壤無消毒區)에서는 균접종효과(菌接種效果)가 뚜렷하지 않았음. 5. 엽내양분함량(葉內養分含量)은 N과 $P_2O_5$에서 처리간(處理間)의 차(差)없이 상당히 높았고 $K_2O$와 CaO는 토양소독접종구(土壤消毒接種區)가 높아 균접종(菌接種)에 의한 양분흡수(養分吸收) 효과(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 PDF

소나무류 균근균의 배양적 특성비교 및 인공접종에 의한 해송묘목에의 균근협성 (Comparison of mycorrhizal fungi associated with Pinus species in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artificial mycorrhizal synthesis on Pinus thunbergii seedlings)

  • 이종규;이훈용;이상용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5권1호
    • /
    • pp.77-88
    • /
    • 1999
  • 소나무류의 뿌리나 토양에서 분리된 균근균의 배양특성 비교와 인공접종에 의한 소나무 묘목에의 균근형성을 시도하였다. 소나무류 균근균은 다양한 생장특성을 지니고 있었는데, 배지별 생장에서 민자주방망이버섯(Ln73/92)은 PDA 에서, Paxillus sp.는 FDA 에서, 알버섯(FRI91017)은 Hagem배지에서, 나머지 균근균들은 MP배지에서 생장이 양호하였다. 용도나 pH를 달리한 배양조건에서 대부분의 균근균들은 $25^{\circ}C$에서 생장이 양호하였으나 모래밭버섯(FRI91004와 Pt 1)은 $30^{\circ}C$가 최적온도였고, pH도 균근균의 종류에 따라 약산성에서부터 약알칼리성에 이르기까지 최적 pH가 다양하였다. 생장시에 선호하는 탄소원의 종류도 균근균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였으나 탄소원으로 xylose를 첨가한 배지에서는 모든 균근균의 생장이 불량하였다. 질소원은 $KNO_3$ 또는 asparagine을 선호하는 종류가 많았고 urea를 첨가한 배지에서는 거의 모든 균근균이 생장하지 못하였다. 균근균을 해송묘목에 인공접종하여 균근균을 형성시킨 결과, 모래밭버섯인 Pt1균주만 3개월만에 성공적으로 균근을 형성하여 외생균근의 전형적인 특징인 두꺼운 균사막으로 덮인 분지된 세근이 관찰되었으며 조직염색법에 의해 처리된 균근형성뿌리의 횡단절단면을 Nomarski interference microscope로 관찰하여 표피세포에 형성된 fungal mantle과 피층세포에 형성된 Hartig net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