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hizomes

검색결과 332건 처리시간 0.027초

A Bisdesmosidic Cholestane Glycoside from the Rhizomes of Polygonatum sibiricum

  • Ahn, Mi-Jeong;Cho, Hee-Yeong;Lee, Mi-Kyeong;Bae, Ji-Yeong;Choi, Jang-Gyoo;Kim, Chul-Young;Kim, Jin-Woong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7권3호
    • /
    • pp.183-188
    • /
    • 2011
  • A bisdesmosidic cholestane glycoside was isolated from the rhizomes of Polygonatum sibiricum and the structure was elucidated by spectroscopic methods and acid hydrolysis as (22S)-cholest-5-ene-$1{\beta}$,$3{\beta}$,$16{\beta}$,22-tetrol 1-O-${\alpha}$-L-rhamnopyranosyl 16-O-${\beta}$-D-glucopyranoside. This compound exhibited weak cytotoxic activity with the $IC_{50}$ value, $63.6\;{\mu}M$ in human MCF-7 breast cancer line, whereas it failed to show agonistic activity at $100{\mu}M$ in TGR5 assay with Chinese hamster ovary (CHO) cell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a bisdesmosidic cholestane glycoside from Polygonatum species and the full assignments of $^1H$, $^{13}C$ NMR by HMBC, TOCSY and NOESY experiments were provided.

Dopamine에 의해 산화적 스트레스를 받은 Neuronal Cell에 뇌 보호 효과를 가지는 수종 생약추출물의 검색 (Neuroprotective Effects of Some Plant Extracts Against Dopamine-induced Oxidative Stress on Neuronal Cell)

  • 구억;이학주;이동호;이현정;함아롬;마응천
    • 생약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1-45
    • /
    • 2009
  • Parkinson's disease (PD) is the second most common neurodegenerative disorder after Alzhemier's disease. Neuropathologically, PD is characterized by the selective loss of dopaminergic neurons. The neuronal toxicity of cytosolic excess dopamine (DA) has been described in many studies using several cell lines. In dopaminergic neurons, cytosolic excess DA is easily oxidized via monoamine oxidase (MAO)-B, tyrosinase or by auto-oxidation to produce neurotoxic metabolites such as DA quinone. So, in the present study, we induced cell death by treatment of DA ($600{\mu}M$) in human neuroblastoma SH-SY5Y cell which was treated samples before 24 hr, and cell viability was measured by 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er (FACs) analysis. Of those tested, the extracts of Poria cocos (赤茯笭)(whole), Gastrodia elata (rhizomes), Eucommia ulmoides (炒)(barks), Syneilesis palmata (whole), Acorus gramineus (rhizomes), Ligustrum japonicum (leaves) showed neuroprotective effects in dose dependent manner.

제비꽃속(제비꽃과)의 신종 : 방울제비꽃 (Viola breviflora Jungsim Lee & M. Kim) (A new species of Viola (Violaceae): V. breviflora Jungsim Lee & M. Kim)

  • 이정심;황용;김무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84-87
    • /
    • 2014
  • 강원도 석병산에서 제비꽃속의 신종인 방울제비꽃(Viola breviflora Jungsim Lee & M. Kim)을 새로이 발견하여 기재하였다. 방울제비꽃은 무경종이고 꽃이 흰색이며 엽신과 엽병에 털이 있어 잔털제비꽃과 유사하다. 그러나 방울제비꽃은 잎이 장란형이고 엽저는 얕은 심장저이며 화경이 짧고 꽃이 많이 달리며 지하경은 L형이고 열매는 보라색이며 고산지대에서 자라는 반면에, 잔털제비꽃은 잎이 심장형이고 엽저는 깊은 심장저이며 화경이 길고 꽃이 적게 달리며 지하경은 무정형이고 열매는 녹색이며 주로 저지대에서 자라 두 종이 뚜렷하게 차이가 난다.

Anti-osteoporot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by Rhizomes of Kaempferia parviflora Wall. ex Baker

  • Nguyen, Phuong Thao;Bui, Thi Thuy Luyen;Lee, Sang Hyun;Jang, Hae Dong;Kim, Young Ho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2권1호
    • /
    • pp.13-19
    • /
    • 2016
  • In this report,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peroxyl radical-scavenging and reducing capacities) and anti-osteoporotic activities of extracts and isolated constituents (1 - 16) from the rhizomes of Kaempferia parviflora Wall. ex Baker on pre-osteoclastic RAW 264.7 cells. Compound 5 exhibited significant peroxyl radical-scavenging capacity, with TE value of $8.47{\pm}0.52{\mu}M$, while compound 13 showed significant reducing capacity, with CUPRAC value of $5.66{\pm}0.26{\mu}M$, at $10.0{\mu}M$. In addition, flavonoid compounds 2, 4, 6, 8, 10, 12, and terpene compound 15 showed significant inhibition of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TRAP) in NF-${\kappa}B$ ligand-induced osteoclastic RAW 264.7 cells, with values ranging from $16.97{\pm}1.02$ to $64.67{\pm}2.76%$.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K. parviflora could be excellent sources for the antioxidant and anti-osteoporotic traditional medicinal plants.

갈대(Reed, Phragmites communis Trin.)의 방제를 위한 제초제 스크리닝방법의 확립 - I. 갈대의 육묘 (Establishment of Herbicide Screening Methods for Reed (Phragmites communis Trin.) Control - I. Propagation of Reed)

  • 황인택;최정섭;이희재;홍경식;조광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1-27
    • /
    • 1996
  • 갈대방제용 제초제의 스크리닝재료를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갈대의 종자, 지하경, 달뿌리풀의 포복경 및 갈대의 마디절편을 이용하여 온실에서 육묘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갈대의 종자, 지하경, 달뿌리풀의 포복경 및 갈대의 마디절편의 발아율은 각각 5, 46, 65, 75%로 나타났다. 2. 갈대의 종자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보관이 용이하지만 발아율이 매우 낮고 육묘기간이 긴 문제점이 있었다. 3. 갈대의 지하경은 채취가 어렵고 채취시기도 11~3월로 제한되어 있었다. 또한 낮은 발아율, 지하경의 크기와 형태의 불균일, 초기 생육시 개체간의 차이, 보관상의 어려움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지하경을 이용하여 갈대를 육묘할 때는 원예용 부농상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4. 달뿌리풀의 포복경은 발아율이 비교적 높고 채취가 간편하지만 채취시기가 8~9월로 한정되어 있었으며 보관에 어려움이 있었다. 5. 갈대의 마디절편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재료의 확보가 용이 하고 발아율이 비교적 양호할 뿐만 아니라 균일한 실험재료를 육성할 수 있었다. 마디절편은 채취 후 곧바로 사용해야 하며 중위절의 마디가 가장 높은 발아율을 보였으나 8월 이후에 채취한 마디에서의 발아율은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온실에서 모주를 재배하면서 필요시 절단하여 사용한다면 제초제 스크리닝용 갈대의 계속적인 육묘가 연중 가능할 것이다.

  • PDF

자생 양치식물 9종의 성엽 및 근경 추출물의 α-glucosidase 억제 활성 (Alpha-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Obtained from Nine Pteridophyte Species Native to Korea)

  • 김나래;지래원;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11-416
    • /
    • 2013
  • 본 연구는 자생 양치식물 9종의 성엽과 근경을 재료로 ${\alpha}$-glucosidase 억제활성을 분석하여 천연 ${\alpha}$-glucosidase 저해제로서 개발 가능한 식물 소재를 선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수확된 성엽과 근경은 수세 후 동결건조 하였으며, 건조시료를 분쇄하여 100% 메탄올 용매로 30분 동안 초음파 추출을 하였고, 추출 후 감압여과 하여 ${\alpha}$-glucosidase 억제활성을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구로는 acarbose를 사용하였다. 추출물 $50{\mu}L$에 0.7 unit ${\alpha}$-glucosidase 효소액 $100{\mu}L$를 넣고 혼합하여 $37^{\circ}C$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1.5 mM ${\rho}$-NPG 기질용액을 $50{\mu}L$ 넣고 $37^{\circ}C$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1 M $Na_2CO_3$ 1 mL로 반응을 정지시키고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0.7 unit ${\alpha}$-glucosidase 용액의 활성을 50%를 억제하는데 필요한 시료의 농도($IC_{50}$ 값)를 구하였다. 양치식물 9종의 ${\alpha}$-glucosidase 억제활성은 성엽($IC_{50}=14.00{\sim}913.33{\mu}g{\cdot}mL^{-1}$)과 근경 추출물($IC_{50}=12.93{\sim}205.84{\mu}g{\cdot}mL^{-1}$)에서 공히 acarbose($IC_{50}=1413.70{\mu}g{\cdot}mL^{-1}$)에 비해 높았다. 양치식물의 추출물은 acarbose에 비해 성엽은 1.55~100.98배, 근경은 6.87~109.3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엽에서는 석위의 억제활성이, 근경에서는 꿩고비의 ${\alpha}$-glucosidase 억제활성이 가장 높았다. ${\alpha}$-Glucosidase 활성의 50%를 억제하기 위한 성엽과 근경의 필요 생체량은 공히 꿩고비(각 0.35, 0.27 mg)에서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엽의 경우는 석위의 $IC_{50}$ 값이 가장 높았으나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이 꿩고비에 비해 2.4배 낮아, 오히려 꿩고비의 경제성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꿩고비는 적은 생체량으로도 높은 ${\alpha}$-glucosidase 억제활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경제적인 천연 ${\alpha}$-glucosidase 저해제 소재로써 개발 가치가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토성에 따른 삼백초 생육특성과 유효성분 함량 (Growth Characteristics and Available Component of Saururus chinensis Baill in Different Soil Texture)

  • 김인재;김민자;남상영;윤태;김홍식;정승근;홍성수;황방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43-147
    • /
    • 2006
  • 삼백초(三白草) 재배에 있어서 토성에 따른 생육과 유효성분을 분석하여 안정적인 재배법을 확립하고 고품질 삼백초를 생산하고자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삼백초의 절수와 엽수, 분지수는 토성 간 차이가 없었으며, 주당 줄기와 잎의 무게는 사양토가 가장 많고, 양토, 식양토, 사토의 순으로 무거웠다. 직경 5mm이하 뿌리는 토성 간차이가 없었으나, $5.1{\sim}10.9\;mm$의 굵기는 사양토, 양토 그리고 식양토에서 $437{\sim}465\;g$로 차이가 없었고, 11 mm이상은 식양토가 많았다. 건물율은 $19.1{\sim}20.8%$로 차이가 없었다. 나. 잎의 quercetin-glycoside 함량은 양토와 사양토에서 $219.3{\sim}222.4\;mg/100\;g$로 가장 높았으며, quercitrin>rutin>isoquercitrin>hyperin의 순으로 높았다. 줄기는 사토와 사양토가 각각 14.8 mg/100 g과 12.4 mg/100 g로 가장 많았으며, quercetin-glycoside 중 rutin이 가장 높았다. 다. 뿌리의 lignans 함량은 식양토, 양토, 사앙토, 사토의 순으로 높은 경향이었으며, lignans 관련 물질 중 manassatin B가 가장 많았다.

Sulfonylurea계 제초제가 처리된 다년생 잡초의 재생양상과 저장전분량의 변화 (Regrowth Patterns of the Perennial Weeds Treated with Sulfonylureas and Starch Degradation in the Rhizome)

  • 황인택;이관휘;홍경식;김진석;이병회;조광연
    • 농약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6-41
    • /
    • 2002
  • Sulfonylurea계 제초제 pyrazosulfuron-ethyl과 bensulfuron-methyl을 대상으로 다년생 잡초의 재생특성과 저장전분의 변화 양상을 조사하였다. Pyrazosulfuron-ethyl을 처리하였을 때 너도방동사니가 24일 후 재생되어 5가지 다년생 잡초 중 가장 빠르게 재생하였으며, 올방개, 올미, 벗풀 등이 각각 $30{\sim}39$일 이후부터 재생하였고, 가래는 55일 이후 재생되었다. 너도방동사니의 마디의 수와 엽기별 처리에 따른 재생력의 차이에서는 bensulfuron-methyl에 대하여 4마디 식물체가 2마디 식물체보다 약 2배의 재생력을 보였고, 처리시기가 2엽기, 3엽기, 4엽기로 늦어질수록 재생력이 증가하였다. 크기에 따른 올방개의 재생력은 $0.3{\sim}0.5g$ 크기의 올방개보다 $1{\sim}1.5g$ 크기의 올방개가 bensulfuron-methyl에 대하여 재생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처리시기에 따른 올방개의 재생력은 2엽기 처리보다 3엽기 처리에서 재생율이 감소되었다. 모경에 대한 의존기간은 벗풀의 경우 맹아된 후 12일이며, 올방개는 18일로 나타났다. 정상적으로 생장할 경우 영양번식체 내의 전분이 고갈되는 시기는 벗풀의 경우 맹아 후 18일, 올방개의 경우 27일로 나타났으며, 유리당의 최고치는 벗풀의 경우 맹아 후 9일, 올방개의 경우 18일로 나타났다. 올방개 괴경은 벗풀 괴경보다 1.5배 많은 전분을 함유하고있었다.

맹종죽(孟宗竹) (Phyllostachys pubescens) 임분(林分) 내(內) 지상부(地上部) 생체량(生體量) 및 지하부(地下部) 양분(養分) 함량(含量) 추정(推定) (Estimation of Aboveground Biomass and Belowground Nutrient Contents for a Phyllostachys pubescens stand)

  • 황재홍;정영교;이상태;김병부;신현철;이경재;박규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3호통권160호
    • /
    • pp.161-167
    • /
    • 2005
  • 맹종죽의 지상부(죽간, 가지, 잎) 및 지히부(지하경, 뿌리) 부위별 현존량과 낙엽층 및 토양 내 양분 함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경상남도 진주시 내 맹종죽 임분을 대상으로 $20m{\times}20m$ 표본지 조사구 3개를 설치한 후 입죽 밀도 및 임분 구조 등을 조사한 다음 발순 연도별 3본씩의 맹종죽을 벌채한 후 흉고직경변수 모형을 적용하여 생체량 추정 대수회귀식 (log Y=a + blogX)을 조제하였다. 조사지 맹종죽 임분 지상부 전체 생체량은 69.7 ton/ha였으며, 지하경 및 뿌리 생체량은 13.7 ton/ha과 7.5 ton/ha로 각각 조사되었다. 전체 지상부 생체량 중 죽간은 약 60%, 엽은 24%, 가지는 16%를 차지하였다. 한편, 흉고직경이 굵어질수록 전체 생체량 중 죽간이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였다. 죽간의 건중량 대 생중량 비는 시료 채취 부위가 올라갈수록 또한, 죽령이 증가할수록 연차적으로 증가하였다. 맹종죽 임분 내 낙엽층의 양분 분포는 질소가 45.1 kg/ha로 가장 높았고, 칼슘>칼륨>마그네슘>인산>나트륨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하경의 양분은 질소와 칼륨이 가장 많았고, 마그네슘, 나트륨, 칼슘 순이었다. 뿌리의 양분은 칼륨이 가장 많았으며 질소와 인산 순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맹종죽 임분 내 탄소 저장량 계량화 및 확대를 위한 관리 방안 도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파대가리(Kyllinga brevifolia var. leiolepsis H.) 종자형성과 근경(根莖)의 번식특성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Seed and Rhizome of Green kyllinga(Kyllinga brevifolia var. leiolepsis H.))

  • 김진석;곽현희;정선요;조광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01-308
    • /
    • 1996
  • 파대가리 근경(根莖)의 번식특성과 종자형성에 관련한 일장반응(日長反應)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한 일련의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근경(根莖)의 발생양상을 보면 신초엽(新稍葉)이 4매정도 출현할 때 기부엽액(基部葉腋)에서 2-3개의 1차 근경(根莖)이 나오며 이들이 지표면을 따라 뻗어가면서 신장되었고, 1차 근경(根莖) 각 마디에서 신초(新稍)가 발생되어 이로부터 다시 2-3개의 2차 근경(根莖)이 발생되었다. 이와 같은 번식특성으로 눈이 하나가 달린 근경절편(根莖切片)을 1년동안 생육시키면 5차 근경(根莖)까지 발생되고, 신초수(新稍數)도 대략 688개나 되었다. 2. 한 개의 눈을 가진 근경절편(根莖切片)으로부터 형성된 영양번식체는 종자 한 개로부터 형성된 것에 비하여 약 3배정도, 종자형성량의 경우는 2.5 배정도 많은 경향이었다. 천립중(千粒重)을 기준한 종자의 충실도는 8월 전후에 발생된 개체에서 가장 좋았다. 3. 파대가리는 대략 14시간 이하의 단일조건(4월 중하순 이전과 7월 중하순 이후)에서 생식생장으로 전환되며, 각 신초(新稍)는 단일에 대해 독립적으로 반응하되 잎이 2-3매 출현되었을 무렵 7회 이상의 단일주기를 접했을때 화성(花性)이 유도되는 경향이었고, 화성(花性)이 유도될 수 있는 단일조건하에 식물체가 자랄지라도 최소한 4매의 옆이 발생된 이후에 화기(花器)가 출현되었다. 4. 지베렐린($GA_3$) 처리는 단일조건에 생육된 개체들의 출수(出穗)를 3일 정도 촉진시켰지만 장일 조건에서 생육된 경우에는 출수유기(出穗誘起)에 전혀 영향을 주지 못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