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hizoctonia solani AG-2-2 (IIIB)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9초

Rhizoctonia solani AG 2-2IIIB에 의한 마 뿌리썩음병의 한국 내 발생 (Occurrence of Stem Canker and Tuber Rot on Yam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AG 2-2IIIB in Korea)

  • 홍성기;이재국;이영기;이상엽;김완규;심홍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66-270
    • /
    • 2012
  • 2011년 안동과 진주의 마 재배포장에서 줄기 지제부 및 괴근썩음 증상이 나타났다. 병징을 나타내는 부위로부터 Rhizoctonia와 유사 속에 속하는 20개 균주가 분리되었다. rDNA-internal transcribed spacer(ITS) 염기서열 상동성을 기초로 8균주는 Rhizoctonia solani, 12균주는 Ceratobasidium sp.로 동정되었다. rDNA-ITS 염기서열의 cluster 분석에 의해 R. solani에 속하는 8개 균주 중 7개 균주는 균사융합군 AG 2-2IIIB, 1균주는 AG 1-1A에 속하였다. 또한, Ceratobasidium sp.에 속하는 12균주 중 7균주는 AG-Fa, 3균주는 AG-A, 나머지 2균주는 각각 AG-Fb와 AG-O에 속하였다. R. solani AG 2-2IIIB 균주들은 마의 줄기와 괴근에 병원성이었으나 R. solani AG 1-1A와 모든 Ceratobasidium sp. 균주는 비병원성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조사지역에서 R. solani AG 2-2IIIB가 마의 줄기 및 괴근썩음병을 일으키는 중요한 병원균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이 연구는 국내에서 R. solani AG 2-2IIIB에 의한 마 뿌리썩음병에 대하여 처음으로 보고하는 것이다.

Damping-off of Fischer's Ragwort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AG-2-2 (IIIB)

  • Moon, Youn-Gi;Park, Ki-Jin;Kim, Wan-Gyu
    • 한국균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413-416
    • /
    • 2021
  • In July 2019, damping-off symptoms of young Fischer's ragwort (Ligularia fischeri) plants were observed in four vinyl greenhouses of a farmer located in Taebaek, Gangwon Province, Korea. This disease occurred in 20-30% of plants in the vinyl greenhouses investigated. Nine isolates of Rhizoctonia sp. were obtained from the diseased plants. All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as Rhizoctonia solani AG-2-2 (IIIB), based on morphological,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anastomosis test. Three isolates were used for artificial inoculation test on Fischer's ragwort. Pathogenicity of these isolates was confirmed on the plants with the inoculation tests. Damping-off symptoms observed on the inoculated plants were similar to those observed in the diseased plants in the vinyl greenhouse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R. solani AG-2-2 (IIIB) being the causative agent in damping-off in Fischer's ragwort.

잔디에서 분리한 Rhizoctonia spp.의 동정과 병원성 (Identification and Pathogenicity of Rhizoctonia species Isolated from Turfgrasses)

  • 이두형;최양윤;이재홍;김진원
    • 한국균학회지
    • /
    • 제23권3호통권74호
    • /
    • pp.257-265
    • /
    • 1995
  • 잔디의 마름병을 일으키는 Rhizoctonia spp.의 형태적 특징과 병원성을 조사하였다. R. cerealis Van der Hoeven, R. oryzae Ryker et Gooch 및 R. solani $K{\ddot{u}hn}$이 형태 및 배양적 특성에 따라 동정되었다. R. solani의 균주들은 균사융합군 및 배양형이 1(1A), 2-2(IIIB) 및 2-2(IV)로 나누어졌다. R. cerealis, R. oryzae 및 R. solani는 bentgrass와 한국들잔디에 잎집썩음과 잎마름증상을 나타냈다. 접종실험결과 R. cerealis와 R. oryzae 균주들은 한국들잔디보다는 bentgrass에서 병을 심하게 유발시켰다. R. solani AG 1(1A) 균주들은 bentgrass에 대해서 강한 병원성을 나타냈으나 한국들잔디에는 병원성이 중정도이였고 AG 2-2(IIIB) 균주들의 병원성은 들잔디에 중정도, bentgrass에는 약하였다. 들잔디에서 분리한 AG 2-2(IV)는 들잔디에는 중정도, bentgrass에는 약한 병원성을 나타냈다.

  • PDF

Identification and Pathogenicity of Rhizoctonia solani Isolates Causing Leaf and Stem Rot in Three-Leaf Ladybell

  • Wan-Gyu Kim;Hyo-Won Choi;Gyo-Bin Lee;Weon-Dae Cho
    • 식물병연구
    • /
    • 제29권4호
    • /
    • pp.377-383
    • /
    • 2023
  • In 2020 and 2021, we surveyed diseases of three-leaf ladybell (Adenophora triphylla) plants grown in fields at two locations in Korea. During the disease surveys, severe leaf rot symptoms were observed on the young plants in Hongseong, and stem rot symptoms on the adult plants in Cheolwon. The incidence of leaf rot was 5-60%, and that of stem rot 1-10%. We obtained 6 fungal isolates each from the leaf rot lesions and the stem rot lesions. All the isolates were morphologically identified as Rhizoctonia solani. Anastomosis test and investigation of cultural features of the fungal isolates revealed that the isolates from the leaf rot lesions corresponded to R. solani AG-1(IB), and those from the stem rot lesions to R. solani AG-2-2(IIIB). Two isolates each of R. solani AG-1(IB) and AG-2-2(IIIB) were used for DNA sequence analysis and pathogenicity test to three-leaf ladybell plants through artificial inoculation. The anastomosis groups and cultural types of the R. solani isolates were confirmed by the sequence analysis. The pathogenicity tests revealed that the isolates of R. solani AG-1(IB) caused only leaf rot symptoms on the inoculated plants, and those of R. solani AG-2-2(IIIB) leaf rot and stem rot symptoms. The induced symptoms were similar to those observed in the fields investigated. Leaf and stem rot of three-leaf ladybell caused by the two anastomosis groups and cultural types of R. solani is first reported in this study.

잔디 Large patch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한 길항 미생물의 선발과 항균력 검정 (Antimicrobial test of Antagonistic Microbes for Biological Control of Large patch of Zoysiagrass)

  • 마기윤;이긍주
    • 한국잔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잔디학회 2011년도 제24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35-35
    • /
    • 2011
  • A large patch disease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AG2-2(IV) is a serious problem in turfgrass sites including golf courses and sports fields in Korea.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solate some antagonistic microorganisms and to explain some involving mechanisms. Initially single colonies which were formed from the filtrates of various soil samples were obtained from LB culture and then co-cultured with R.solani AG2-2(IV) on PDA plate to explore some antagonistic microbes against for large patch fungus, Rhizoctonia solani AG2-2(IV). Out of total 82 antagonistic isolates which commonly had inhibition effect on Rhizoctonia solani AG2-2(IV) mycelial growth, one candidate (YPIN22) showed the most antifungal effect, which was confirmed by the longest distance from the edge of bacterial colony to the mycelial edge of the Rhizoctonia solani AG2-2(IV) in the dual culture. A succeeding investigation was to test any potential effect of the isolate on growth inhibition of 5 other turfgrass pathogens including R. solani solani AG2-2(IIIB), P. ultimum, C. caudatum, C. lunata, and F.oxysporum. Preliminary result indicated that the new isolate YPIN22 was also found to have antagonistic potential on the growth inhibition of those turfgrass pathogenic fungi, which was explained by inhibition zones ranging from 8 to 22mm. A further explanation of some characteristics of the isolate YPIN22 will be discussed in detail.

  • PDF

Rhizoctonia solani의 균사융합군 및 배양형별 작물에 대한 병원성 (Pathogenicity of Anastomosis Groups and Cultural Types of Rhizoctonia solani on Crops)

  • 김완규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1-32
    • /
    • 1996
  • Rhizoctonia solani 균주들의 각 균사융합군 및 배형별 72종의 기주작물에 대한 병원성을 접종실험에 의해 조사하였다. 33종의 작물에서 단독으로 분리된 균사융합군 및 배양형은 그 기주작물에 병원성이 강하였으며, 8종의 작물에서 단독으로 분리된 것들은 병원성이 약하거나 강하였고, 6조의 작물에서 단독으로 분리도니 것들은 병원성이 약하거나 없었다. 26종의 작물에서 같이 분리된 균사융합군 및 배양형은 그 기주작물에 대한 병원성이 대부분 다르거나 간혹 비슷했다. AG-1(IA)는 1종을 제외한 기주작물에 잎마름병 혹은 잎썩음병과 잎집무늬마름병을 일으켰다. AG-1(IB)는 19종의 기주작물에 잘록병과 잎마름병 혹은 잎썩음병을 일으켰으나, 9종의 기주작물에는 병징을 약하게 유발시키거나 혹은 유발시키지 못했다. AG-1(IC)는 2종의 유채속작물에 잘록병과 밑둥썩음병 혹은 잎썩음병을 일으켰다. AG-2-1은 1종을 제외한 기주작물에 잘록병, 밑둥썩음병, 관부썩음병, 눈마름벼, 뿌리썩음병, 잎마름병을 일으켰다. AG-202(IIIB)는 기주작물에 뿌리 및 줄기썩음병, 잎마름병, 잘록병, 잎자루썩음병을 일으켰다. AG-2-2(IV)는 기주작물에 잘록병, 관부썩음병, 줄기썩음병, 라이족토니아마름병을 일으켰다. AG-3은 감자에 검은무늬썩음병을 일으켰다. AG-4는 42종의 기주작물에 여러 가지 병을 일으켰으나, 3종의 기주작물에는 잘록병, 눈마름병, 잎집무늬마름병을 일으켰으나, 9종의 기주작물에는 병징을 약하게 유발시키거나 혹은 유발시키지 못했다.

  • PDF

국내(國內) 작물(作物)에서 분리한 Rhizoctonia solani 균주(菌株)들의 균사융합군(菌絲融合群)과 배양적(培養的) 특성(特性) (Anastomosis Groups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Rhizoctonia solani Isolates from Crops in Korea)

  • 김완규;조원대;이영희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09-324
    • /
    • 1994
  • 68종의 병든 작물(作物)에서 분리한 총 2,276균주의 Rhizoctonia solani를 균사융합군(菌絲融合群) 검정결과(檢定結果), 균사융합군(菌絲融合群) AG-1, AG-2-1, AG-2-2, AG-3, AG-4, AG-5로 분류되었다. 이들 균주중 1,091균주는 AG-1으로 동정(同定)되고, 326 균주는 AG-2-1, 191 균주는 AG-2-2, 71 균주는 AG-3, 505 균주는 AG-4, 92 균주는 AG-5로 동정(同定)되였다. AG-1의 균주들중에서 791 균주는 배양형 IA 로 분류되고, 280 균주는 배양형 IB, 나머지 균주들은 배양형 IC 로 분류되었다. AG-2-2의 균주들 중에서 112 균주는 배양형 IIIB로 분류되고, 나머지 균주들은 배양형 IV로 분류되었다. AG-1의 배양형 IA, IB, IC 는 각각 7종, 26종, 2종의 작물(作物)에서 분리되었다. AG-2-1은10 종의 작물(作物)에서 분리되었다. AG-2-2의 배양형 IIIB와 IV는 각각 7종 및 3종의 작물(作物)에서 분리되었다. AG-3은 감자에서만 분리되었다. AG-4는 43종의 작물(作物)에서 분리되었으며, AG-5는 13종의 작물(作物)에서 분리되었다. 45종의 작물(作物)에서는 단일한 균사융합군(菌絲融合群)이 분리되었으나, 나머지 작물(作物)에서는 둘 혹은 둘 이상의 균사융합군(菌絲融合群)이 분리되었다. 일부 균사융합군(菌絲融合群) 혹은 배양형의 배양적인 모습은 서로 비슷하였으나, 하나의 균사융합군(菌絲融合群) 혹은 배양형에 속하는 균주들의 배양적인 모습은 다른 균사융합군(菌絲融合群) 혹은 배양형에 속하는 균주들의 배양적인 모습과 대부분 달랐다. AG-1, AG-2-2, AG-4, AG-5의 균사생장 최적온도(最適溫度) 범위는 $26{\sim}30^{\circ}C$이고, AG-2-1과 AG-3의 균사생장 최적온도(最適溫度) 범위는 $22{\sim}26^{\circ}C$였다. AG-2-1의 균사생장 최저온도(最低溫度)는 $2{\sim}3^{\circ}C$로서 가장 낮았고, AG-1(IA)와 AG-4의 균사생장 최저온도(最低溫度)는 $10{\sim}11^{\circ}C$로서 가장 높았으며, 이외 다른 균사융합군(菌絲融合群)의 균사생장 최저온도(最低溫度) 범위는 $5{\sim}10^{\circ}C$였다. AG-2-2(IIIB)의 균사생장 최고온도(最高溫度)는 $36{\sim}37^{\circ}C$로서 가장 높았고, AG-2-1의 균사생장 최고온도(最高溫度)는 $29{\sim}30^{\circ}C$로서 가장 낮았으며, 이외 다른 균사융합군(菌絲融合群)의 균사생장 최고온도(最高溫度) 범위는 $31{\sim}36^{\circ}C$였다. $26^{\circ}C$에서의 균사생장율(菌絲生長率)을 비교한 결과, AG-1(IC)가 가장 빨리 자랐으며, AG-1(IA) 와 AG-1(IB)가 다음으로 빨리 자라고, AG-2-1이 가장 느리게 자랐다.

  • PDF

가축분뇨액비의 길항미생물에 의한 토양전염성 병원균의 생육억제 효과 (Inhibition of in Vitro Growth of Three Soil-borne Turfgrass Diseases by Antagonistic Bacteria from Composted Liquid Manure)

  • 류주현;심규열;김기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6호
    • /
    • pp.879-886
    • /
    • 2014
  • 가축분뇨액비의 토양전염성 잔디병해들의 억제능력을 알아보고자 군위, 논산, 무안, 여주, 이천, 익산, 합천, 횡성 등 8개 지역의 가축분뇨액비생산시설에서 생산된 액비를 이용하여 기내에서 수행하였다. 가축분뇨액비와 병원균주들과의 대치배양을 통해 총 110종의 길항미생물을 선발하였으며, 각 병원균주별로 길항능력이 우수한 한 종씩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각각의 미생물은 16s rRNA 서열분석을 통해 brown patch에 길항력을 보인 ICIIIB60은 Alcaligenes sp., large patch에 길항력을 나타낸 GWIV70은 Bacillus licheniformis Ab2, dollar spot에 길항력을 보인 ISSH20은 B. subtilis C7-3으로 동정되었다. 이들의 최적배양조건은 NB 배지(ICIIIB60)와 TSB 배지(GWIV70, ISSH20)에서 온도는 $29.5^{\circ}C-31.4^{\circ}C$의 범위에서, pH는 6.5-7.3의 범위에서 잘 자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각 균주를 5종의 살균제와 혼용한 결과, ICIIIB60 균주는 테부코나졸 제제, GWIV70와 ISSH20 균주는 토클로포스메틸 제제에서 생존율이 높아 혼용처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가축분뇨액비는 비료로서의 역할뿐만이 아니라 잔디 병해를 줄일 수 있는 친환경적인 소재로 이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SCB저농도액비의 기능성향상을 위한 섬유소 분해 미생물균주탐색 (Screening of Cellulose Decomposing Microorganisms for Functional Improvement for SCB (Slurry Composting and Biofiltering) Liquid Fertilizer)

  • 임혜정;김영선;함선규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8-51
    • /
    • 2011
  • 본 연구는 SCB저농도액비의 기능성향상을 위한 섬유소분해 미생물균주를 탐색하고 선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예초물 퇴비에서 섬유소분해 미생물균주는 배양 및 형태적 특성에 따라 5개의 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섬유소 분해 미생물균주의 배지에 따른 균생장은 TSB배지에서 배양할 때 균의 생장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섬유소분해 미생물균주를 SCB저농도액비에 접종한 결과, 접종 후 18시간에는 균생장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다가 24시간이 지나면서 급격히 증가하여 36시간 후에 균생장이 최고조를 이룬 뒤 48시간 이후에는 사멸기가 시작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NB배지에서 보다 TSB배지에서 CDMs의 생장속도가 빠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요 잔디병원균에 대한 항균력을 검정한 결과 Sclerotinia homoeocarpa, Rhizoctonia solani AG2-2(IV)와 Pythium spp.에서 CDMs을 첨가한 SCB 저농도액비는 각각 14.1, 11.0, 26.8% 균사생장이 억제되었다.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으나, 잔디 퇴비에서 선발된 CDMs을 배양한 SCB저농도액비를 지속적으로 코스관리에 이용한다면 일부 잔디병원균에 효능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