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hizoctonia solani AG-2-1

Search Result 76, Processing Time 1.7 seconds

Helicosporium sp.의 항균활성 및 항균물질의 분석

  • 주우홍;배기정;이상명;최승태;정영기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2년도 생물공학의 동향 (X)
    • /
    • pp.215-218
    • /
    • 2002
  • 식물병원균에 대한 Helicosporium 의 항균작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식물병원균인 Rhizoctonia solani, Rhizoctonia solani AG2-2, Fusarium oxysporium, Phytophthora dreschler, Alternaria 속을 선정하였고, 이에 대한 항균작용을 검토한 결과, Rhizoctonia solani, Rhizoctonia solani AG2-2 에는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lternaria에는 미약한 항균활성을 가졌으며 Fusarium oxysporium, Phytophthora dreschler에 대해서는 항균활성을 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항균물질의 구조를 $^1H-NMR$ 스펙트럼을 통해서 분석한 결과 이 물질은 콜레스테롤 에 해당하는 구조를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식물유래 천연물, TGR-N1의 잔디 진균병에 대한 방제효과 검정 (Control Activities of Natural Compound, TGR-N1, against Turfgrass Fungal Diseases in vitro and in Field)

  • 김정남;김인섭;전민구;박덕훈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7-63
    • /
    • 2006
  • 이 연구는 식물유래 천연물, TGR-N1의 잔디진균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In vitro실험에서 TGR-N1은 잔디진균병에 대해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TGR-N1의 500배, 1000배액은 Rhizoctonia solani AG 1-1, Rhizoctonia solani AG2-2, Rhizoctonia cerealis, Sclerotinia homoeocarpa, Colletotrichum graminicola 에 대해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Pythium spp.에 대해서는 항균효과가 없었다. TGR-N1의 Rhizoctonia solani AG 1-1, Rhizoctonia solani AG2-2에 대한 포장방제 실험결과, TGR-N1 500배액의 방제가는 각각 86.1%와 83.3%의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이 연구 결과 식물유래 천연물 TGR-N1의 항균 활성이 확인되었는 바 천연물 농약으로서의 잠재성을 보여 주었다.

Fusarium oxysporum과 Rhizoctonia solani에 의한 카네이션 줄기썩음병 (Stem Rot of Carnation Caused by Fusarium oxysporum and Rhizoctonia solani)

  • 최정식;정성수;김정만;소인영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14-318
    • /
    • 1994
  • Incidence of stem rot on carnation (Dianthus caryophyllus L.) ranged 11 to 29% in Namwon and Chongup area during the growing seasons from 1993 to 1994. Among 129 isolates from carnations in Namwon, 77 isolates were identified as Rhizoctonia solani, 38 isolates were Fusarium oxysporum and 14 isolates were not identified. Among 169 isolates in Chongup, 19 isolates were identified as R. solani, 106 isolates as F. oxysporum and 44 isolates were not identified. Among 77 isolates of R. solani isolated from the specimens of Namwon, 52 isolates were classified as anastomosis group AG 2-2 by anastomosis test, 14 isolates as AG 2-1 and 11 isolates as AG 4. Among 19 isolates from specimens of Chongup, 14 isolates were classified as anastomosis group AG 2-2 and 5 isolates as AG 4. Pathogenicity tests revealed that isolates of F. oxysporum and R.solani AG 2-2 were highly virulent and isolates of R.solani AG 2-1 and AG 4 were mildly virulent.

  • PDF

잔디에 Rhizoctonia 마름병을 유발하는 Rhizoctonia spp.의 침투성 살균제에 대한 반응 (Response of Systemic Fungicides of Rhizoctonia spp. Causing Rhizoctonia Blight on Turfgrass)

  • 장태현;이승준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4호
    • /
    • pp.387-394
    • /
    • 2013
  • Rhizoctonia spp. 에 의한 Rhizoctonia 마름병은 잔디에서 중요한 병이며, 골프장에서 잔디의 좋은 품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살균제를 사용하고 있다. 본시험은 포장에서 분리한 R. solani AG-1 IB, R. cerealis 및 R. solani AG2-2에 대한 침투성 살균제인 flutolanil, pyraclostrobine, and hexaconazole에 대하여 실내에서 상대적인 균사생장을 효과적으로 50%억제하는 $EC_{50}$농도를 결정하는 시험을 수행하였다. 각각 살균제에 대한 감수성은 3종의 Rhizoctonia균주에 대하여 5 수준의 농도를 사용하였다. 3종류의 살균제에 대한 $EC_{50}$ 값은 R. solani AG-1 IB에서 가장 낮았다. 하지만, R. solani AG2-2에 대한 살균제 감수성은 pyraclostrobine 과 flutolanil에서 평균 $EC_{50}$ 값이 0.026 ${\mu}g\;a.i.\;ml^{-1}$ 와 0.044 ${\mu}g\;a.i.\;ml^{-1}$ 로 가장 높았다. R. cerealis은 hexaconazole에서 $EC_{50}$ 값이 0.022 ${\mu}g\;a.i.\;ml^{-1}$로 가장 감수성이 낮았다. 각각의 살균제의 $EC_{50}$값을 사용하여 두 농약을 혼용한 3종의 조합에서 3종의 병원균에 대한 균사 생장억제율은 R. solani AG2-2에서 가장 높았다. 본 연구결과는 포장에서 Rhizoctonia 마름병을 방제하기 위하여 실내에서 침투성 살균제에 대한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다.

Rhizoctonia solani AG 2-2IIIB에 의한 마 뿌리썩음병의 한국 내 발생 (Occurrence of Stem Canker and Tuber Rot on Yam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AG 2-2IIIB in Korea)

  • 홍성기;이재국;이영기;이상엽;김완규;심홍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66-270
    • /
    • 2012
  • 2011년 안동과 진주의 마 재배포장에서 줄기 지제부 및 괴근썩음 증상이 나타났다. 병징을 나타내는 부위로부터 Rhizoctonia와 유사 속에 속하는 20개 균주가 분리되었다. rDNA-internal transcribed spacer(ITS) 염기서열 상동성을 기초로 8균주는 Rhizoctonia solani, 12균주는 Ceratobasidium sp.로 동정되었다. rDNA-ITS 염기서열의 cluster 분석에 의해 R. solani에 속하는 8개 균주 중 7개 균주는 균사융합군 AG 2-2IIIB, 1균주는 AG 1-1A에 속하였다. 또한, Ceratobasidium sp.에 속하는 12균주 중 7균주는 AG-Fa, 3균주는 AG-A, 나머지 2균주는 각각 AG-Fb와 AG-O에 속하였다. R. solani AG 2-2IIIB 균주들은 마의 줄기와 괴근에 병원성이었으나 R. solani AG 1-1A와 모든 Ceratobasidium sp. 균주는 비병원성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조사지역에서 R. solani AG 2-2IIIB가 마의 줄기 및 괴근썩음병을 일으키는 중요한 병원균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이 연구는 국내에서 R. solani AG 2-2IIIB에 의한 마 뿌리썩음병에 대하여 처음으로 보고하는 것이다.

잔디 Brown patch와 Large patch병 방제를 위한 향균성 약용식물 탐색 (Screening for Antifungal Medicinal Plants against Brown Patch and Large Patch Diseases of Turfgrass)

  • 백수봉;심성철;구한모;여운각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83-194
    • /
    • 1998
  • 21과 30종의 약용식물의 Rhizoctonia solani AG1-1(brown patch)와 R. solani AG2-2(large patch)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계피, 목단피, 백선피가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R. solani AG1-1에 있어 계피와 목단피는 100% methanol로 추출한 것이 활성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백선피는 80% methanol로 추출한 것이 높게 나왔다. 반면에 R. solani AG2-2에 있어서는 모두 100% methanol에서 활성이 가장 높게 나왔다. 농도별 활성은 이들 조추출물의 500배 희석액에서 60%이상 공시균주의 균사생장이 억제되었다. 항균specturum은 목단피가 가장 넓었다. 계피조추출물은 250배이상 희석액에서 목단피의 조추출물은 100배이상 희석액에서 약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백선피의 조추출물은 전혀 약해를 나타내지 않았다. 처리 30일후 방제가는 목단피 처리구 75.0%, 백선피 처리구 79.1%로였다.

  • PDF

잔디에서 분리한 Rhizoctonia spp.의 동정과 병원성 (Identification and Pathogenicity of Rhizoctonia species Isolated from Turfgrasses)

  • 이두형;최양윤;이재홍;김진원
    • 한국균학회지
    • /
    • 제23권3호통권74호
    • /
    • pp.257-265
    • /
    • 1995
  • 잔디의 마름병을 일으키는 Rhizoctonia spp.의 형태적 특징과 병원성을 조사하였다. R. cerealis Van der Hoeven, R. oryzae Ryker et Gooch 및 R. solani $K{\ddot{u}hn}$이 형태 및 배양적 특성에 따라 동정되었다. R. solani의 균주들은 균사융합군 및 배양형이 1(1A), 2-2(IIIB) 및 2-2(IV)로 나누어졌다. R. cerealis, R. oryzae 및 R. solani는 bentgrass와 한국들잔디에 잎집썩음과 잎마름증상을 나타냈다. 접종실험결과 R. cerealis와 R. oryzae 균주들은 한국들잔디보다는 bentgrass에서 병을 심하게 유발시켰다. R. solani AG 1(1A) 균주들은 bentgrass에 대해서 강한 병원성을 나타냈으나 한국들잔디에는 병원성이 중정도이였고 AG 2-2(IIIB) 균주들의 병원성은 들잔디에 중정도, bentgrass에는 약하였다. 들잔디에서 분리한 AG 2-2(IV)는 들잔디에는 중정도, bentgrass에는 약한 병원성을 나타냈다.

  • PDF

무에서 분리한 Rhizoctonia solani 균주들의 균사융합군의 병원성 (Anastomosis Groups and Pathogenicity of Rhizoctonia solani Isolates from Radish)

  • 김완규;조원대;이영희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12
    • /
    • 1994
  • Incidence of radish disease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ranged from 1 to 30% in fields located at Hwaseong, Naju and Yeoncheon in Korea during the growing seasons in 1989, 1990 ad 1993. A total of 133 isolates of R. solani was obtained from the diseased seedlings, leaves and roots of radish collected. The fungus was most commonly isolated from the roots. Among 133 isolates of R. solani, 56 isolates were classified as anastomosis group AG-1 by anastomosis test, 37 isolates as AG-2-1, and 40 isolates as AG-4. Among the isolates of AG-1, 26 isolates were grouped as cultural type IA, and the others as cultural type IB. Cultural types IA and IB of AG-1, were isolated from the leaves, AG-2-1 from the roots, and AG-4 from the seedlings, leaves and roots. Pathogenicity tests revealed that the AG-1(IA) isolates were highly virulent on leaves of radish, but avirulent on the seedlings, petioles and roots. The AG-1(IB) isolates were highly virulent on the leaves, but mildly virulent on the seedlings and avirulent or mildly virulent on the petioles and roots. The AG-2-1, isolates were mildly virulent on the leaves and seedlings and mildly or highly virulent on the petioles and roots. The AG-4 isolates were highly virulent on the seedlings and mildly or highly virulent on the leaves, petioles and roots.

  • PDF

AFLP를 이용한 Rhizoctonia solani 균주들의 분자계통학적 특성규명 (Molecular Systematics of Rhizoctonia solani Isolates from Various Crops with AFLP)

  • 최혜선;김경수;김희종;이윤수
    • 미생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0-45
    • /
    • 2000
  • Rhizoctonia solani 분류를 위해 균사의 anastomosis group과 phylogenetic group간의 유전적 차이의 분석을 위해 AFLP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각 집단의 유사도는 크게 5집단으로 나뉘어졌다. 균주 9와 균주 20은 0.777을 나타내며 AG-5 group에 속하였고 균주 6은 균주 24와 0.670으로 AG-3 group에 속하였다. 균주 3은 균주 13과 0.844, 균주 10과 0.833의 높은 상동성을 보이며 AG-2-2 group에 속하였다. 균주 2는 균주 11과 0.744, 균주 3은 균주 13과 0.844, 균주 4는 균주 5와 0.870, 균주 5는 균주 16과 0.833을 나타내며 AG-1 group에 속하였다. 균주 7은 균주 8과 0.837의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고, 균주 8은 AG-1( I B)와 0.751를 나타냈고, 균주 1과 균주 7,8은 AG-1( I B)에 속하였다.

  • PDF

Foot Rot of Bok Choy and Kale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AG-2-1 in Korea

  • Kim, Wan-Gyu;Lee, Gyo-Bin;Shim, Hong-Sik;Cho, Weon-Dae
    • 한국균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33-137
    • /
    • 2021
  • Foot rot symptoms were occasionally observed on young bok choy (Brassica rapa subsp. chinensis) and kale (B. oleracea var. viridis) plants grown in vinyl greenhouses located in Icheon and Yangpyeong, Gyeonggi Province, Korea. These observations were made during disease surveys in April 2020. The incidence of diseased plants in the vinyl greenhouses investigated was 0.5-1.0% in bok choy and 0.5-5.0% in kale. Five isolates of Rhizoctonia sp. were obtained from diseased roots of bok choy and three isolates of Rhizoctonia sp. were taken from diseased stems of kale. All the Rhizoctonia sp. isolates were identified as Rhizoctonia solani AG-2-1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astomosis test. Three isolates each of R. solani AG-2-1 from bok choy and kale were tested for pathogenicity in their host plants by artificial inoculation. The tested isolates induced foot rot symptoms on the inoculated bok choy and kale plants. The symptoms on the bok choy and kale, induced by the artificial inoculation, were similar to those observed on plants from the vinyl greenhouses that were investigated. This is the first report of R. solani AG-2-1 causing foot rot in bok choy and kale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