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hizobium meliloti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초

Zoogloea ramigera 115SLR의 생고분자물질 생합성에 관여하는 pyruvyl transferase gene의 cloning 및 염기서열 결정

  • 이삼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15-422
    • /
    • 1996
  • A gene coding for a pyruvyl transferase enzyme involved in exopolysaccharide biosynthesis of Zoogloea ramigera 115SLR was isolated and sequenced. A 4.5 kb of BamHI DNA fragment was isolated from chromosomal DNA using a probe derived from ketal pyruvyl transferase gene of Xanthomonas campestris. The nucleotide sequence of 2.66 kb Pst1/HindIII DNA fragment which was homology with a probe revealed the existence of two complete open reading frames (ORF2 and ORF3) and two partial open reading frames (ORFI and ORF4).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of ORF3 was homologous to the ketalase (GumL product) of X campestris with 49.5% of similarity and 21.6% of identity. ORF2 on the other hand showed the higher identity with the ketalase (ExoV product) of Rhizobium meliloti (36%) as well as the ketalase of X campestris (23%) than that of ORF3. A gene product of ORF2 was determined with a bacteriophage T7 RNA polymerase/promoter system in E. coli. The molecular weight of protein was 33,500 dalton.

  • PDF

Cyclosophoraose as a Novel Chiral Stationary Phase for Enantioseparation

  • JUNG, YUN-JUNG;LEE, SANG-HOO;PAIK, SEUNG-R.;JUNG, SEUN-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6호
    • /
    • pp.1338-1342
    • /
    • 2004
  • Cyclosophoraoses (Cys), cyclic ${\beta}-(1{\rightarrow}2)-D-glucans$ produced by Rhizobium meliloti 2011, were used as a novel chiral stationary phase for the enantiomeric separation. A novel Cys stationary phase, chemically immobilized onto porous silica via aminopropyltrimethoxysilane as a molecular linker, showed good separation for each racemate of bupivacain (separation factor, $\alpha$=1.3), propranolol ($\alpha$=1.3), and fenoprofen ($\alpha$=2.9), respectively, under the mobile phase of water: methanol (80:20, v/v) at a constant flow rate of 0.9 ml/min at pH7.

야산(野山) 목초지용(牧草地用) 내산성(耐酸性) 우수(優秀) 질소고정균주(窒素固定菌株) 개발(開發) -II. 내산성(耐酸性) R. meliloti 의 기내선발(器內選拔) 및 토양(土壤) 접종효과(接種效果)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Acid Tolerant and Superior Nitrogen Fixation Symbionts for Pasture on Hilly Land -II. Selection of Acid Tolerant R. meliloti in virto and Inoculation Effect in Soils)

  • 강위금;최주현;조강진;정연태;조무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2-77
    • /
    • 1989
  • 우수(優秀) 질소고정균주(窒素固定菌株)를 개발(開發)하여 척박(瘠薄)한 야산(野山) 개발지(開發地)에서 효율적(效率的)인 초지조성(草地造成)을 꾀하고자, 기존(旣存) 알팔파 목야지(牧野地)에서 분리(分離)한 근류균(根瘤菌)으로부터 기내(器內) 내산성(耐酸性) 균주(菌株) 탐색(探索)과 토양(土壤)에서 선발균주(選拔菌株)의 내산성(耐酸性) 발현(發現)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1. pH 5.0의 시험관배지(試驗管培地)에서 근류형성(根瘤形成)을 보인 균주(菌株)는 "YA03"과 "YA09"였으며 공생효과면(共生效果面)에서 "YA03"이 우수(優秀)하였다. 2. "YA03"균주(菌株) 접종(接種)에 의(依)한 알팔파 생육(生育)과 질소(窒素) 고정력(固定力)은 무비(無肥)에서 뿐만 아니라 요소(尿素) 1.25mM 농도(濃度)에서 타균주(他菌株)보다 좋았다. 3. 알팔파 생육(生育)에 대(對)한 질소수준별(窒素水準別) "YA03" 균주(菌株)의 알팔파 접종효과(接種效果)는 접종(接種)+요소(尿素) 1.25mM > 접종(接種)+요소(尿素) > 무시용(無施用) > 무접종(無接種)+요소(尿素) 2.5mM 순(順)으로서 근류균(根瘤菌) 접종(接種)과 함께 요소(尿素)를 여용(旅用)하는 것이 효과적(效果的)이었다. 4. pH 5.0인 산성척박지(酸性瘠薄地)에서 알팔파에 대(對)한 R. meliloti "YA03" 균주(菌株) 접종(接種)은 무접종(無接種)보다 320%, pH 7.5의 비옥(肥沃)한 토양(土壤)에서 무접종(無接種) 재배(栽培)보다는 31% 건물중(乾物重) 증가(增加)를 보이므로써 내산성(耐酸性)이 큰 R. meliloti 균주(菌株)로 "YA03"를 선발(選拔)하였다.

  • PDF

고온하에서 질소시비가 근류균을 접종한 Alfalfa의 생육부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EFFECT OF NITROGEN AND AGE OF ALFALFA (Medicago sativa L. ) SEEDING ON GROWTH AND NODULATION WHEN GROWN UNDER A HOT ENVIRONMENT)

  • 김무성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5-30
    • /
    • 1987
  • 영양액을 사용한 고온하의 Growth chamber에서 근류균을 접종한 Alfalfa의 수양시기별 작물명부위에 대한 실표시비의 영향에 관한여 미국 University of Nevada에서 실험한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초장과 그장에 대한 실표시비의 효과는 높이 인정되었으나 근장에 있어서는 유의성이 없는 다소의 증가을 보였다. 실표시비의 작물의 용접과 건물수량은 무실표구에 비하여 2배이상의 증가를 보여 실표시비의 높은 효과를 나타냈다. 근류의 착생수에 있어서도 실표시비의 효과가 인정되었으나 전구 공히 근류균의 활동이 미흡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들은 Alfalfa 분배시 소량의 실표시비의 장려를 암시하는 것 같다.

  • PDF

Bradyrhizobium sp. SNU001 nod 유전자 클로닝 (Molecular Cloning of nod Genes from Bradyrhizobium sp. SNU001)

  • 고세리;심웅섭;안정선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46-251
    • /
    • 1992
  • 대두 (Glycine max) 뿌리혹의 질소고정 공생균주 Bradyrhizobium japonicum SNU001 의 nod 유전자를 클로닝하였다. Rhizobium meliloti 의 4.5 kb EcoRI/ HindIII 절편을 탐침으로 한 게놈 혼성화 반응을 분리균주의 게놈상에 nod 유전자가 존재함을 확인하고, lambda EMBL3-BamHI vector 를 이용하여 genomic library 를 작성하였다. 작성된 library 로부터 1, 2 차 선별과정을 통해 nod 유전자가 있는 클론 1-5 를 선별하고, 클론 2로부터 nod DABC 탐침과 lambda DNA 탐침을 사용한 혼성화반응을 수행하여 삽입된 genomic DNA 에 대한 부분적인 제한효소 지도를 작성하였다. nod DABC 탐침과 가장 강한 혼성화반응을 보인 phage 클론 lambda CNS-1 의 3.9 kb BamHI 절편을 pBS KS(+) vector 에 subcloning 하고 동일한 탐침을 이용한 혼성화반응을 통해 subclone pBjCNS-1 을 선별하였다. 이 subclone 에 대한 부분적인 제한효소 지도를 작성하여 nod DABC 가 1.8 KpnI/SacI 절편에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 PDF

Molecular Genetics of the Model Legume Medicago truncatula

  • Nam, Young-Wo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7권2호
    • /
    • pp.67-70
    • /
    • 2001
  • Medicago truncatula is a diploid legume plant related to the forage crop alfalfa. Recently, it has been chosen as a model species for genomic studies due to its small genome, self-fertility, short generation time, and high transformation efficiency. M. truncatula engages in symbiosis with nitrogen-fixing soil bacterium Rhizobium meliloti. M. truncatula mutants that are defective in nodulation and developmental processes have been generated. Some of these mutants exhibited altered phenotypes in symbiotic responses such as root hair deformation, expression of nodulin genes, and calcium spiking. Thus, the genes controlling these traits are likely to encode functions that are required for Nod-factor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To facilitate genome analysis and map-based cloning of symbiotic genes, a bacterial artificial chromosome library was constructed. An efficient polymerase chain reaction-based screening of the library was devised to fasten physical mapping of specific genomic regions. As a genomics approach, comparative mapping revealed high levels of macro- and microsynteny between M. truncatula and other legume genomes. Expressed sequence tags and microarray profiles reflecting the genetic and biochemical event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interactions of M. truncatula are assembled in the databases. Together, these genomics programs will help enrich our understanding of the legume biology.

  • PDF

Zoogloea Ramigera 115SLR로부터 다당류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분리 및 염기서열 결정 (Cloning and Sequencing of a Gene Involved in the Biosynthesis of Exopolysaccharide in Zoogloea Ramigera 115SLR)

  • Sam-Pin Lee;Min Yoo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9
    • /
    • 2000
  • Zoogloea ramigera 115SLR로부터 다당류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분리하기 위해서 균주의 genomic DNA로부터 제조된 gene bank로부터 plasmid pLEX3이 얻어졌다. 이로부터 재조합된 5.0 kb DNA fragment를 포함하는 plasmid pLEX10은 다당류의 형태를 변환시키는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중에서 upstream 영역에 해당하는 1.7 kb DNA fragment가 분리되었다. 1.7 kb DNA 염기서열의 결과로부터 단백질을 인지 할 수 있는 2개의 ORF가 존재하였으며, 50 kDa 단백질을 인지 할 수 있는 ORF3은 X. campestris의 다당류 생합성 유전자들인 gumC와 R. meliloti의 exoP와 아미노산의 동질성을 나타내었다. ORF4는 N-terminal 영역이 결여된 단백질을 인지하며, Thermotoga maritime의 다당류 export에 관여하는 단백질과 동질성을 보였다. Z. ramigera 115SLR and Z. ramigera 115SLR/pLEX10은 각각 slime또는 capsule 형태의 다당류를 생합성하며 이들로부터 생합성된 다당류양은 각각 0.26% (w/v) and 0.16% (w/v)였다.

  • PDF

근류균의 종자 접종방안의 차이가 근류형성 및 Alfalfa 유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 Inoculation Methods on the Nodulation and the Growth of Alfalfa Seeding)

  • 이광회;이호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92-197
    • /
    • 1981
  • Alfalfa에 대한 국내분이 근유균의 유효성과 효과적인 근유균 접종방법을 밝히고져 배지상에서 이들 균주의 근유형성 및 질소고정능력을 검토한 다음 이들 균주에 3가지 종자접종방법을 적용하여 사경재배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근유균 접종에 따른 근유의 형성은 접종 2주후부터 볼 수 있었고 유묘의 생장은 대조구보다 현저히 증가되있으며 질업처리구(70ugN/ml)와 차이가 없어 두 균주는 모두 유교균주로 평가되었다. 2. 두 균주 모두 Broth-vacuum 방법으로 접종한 것은 근규의 형성은 있었으나 실험기간 중 유묘의 생장에 있어서는 무접종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3. Peat & lime pelleting 방법은 두 균주 모두에서 근유형성과 유묘생장을 현저히 증가시켰으나 Peat-adhesive 방법은$ A_1$ strain 에서 만 효과적이었다. 4. 근유의 무게와 지상부 건물중 그리고 근유의 무게와 근중사이에는 두 균주 모두에서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 PDF

저온하에서 질소시비가 근류균을 접종한 Alfalfa의 생육부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Effect of Nitrogen and Age of Alfalfa ( Medicago sativa L. ) Seeding on Growth and Nodulation When Growth under a Cool Environment)

  • 김무성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51-156
    • /
    • 1986
  • 저온하(低溫下)의 Growth chamber에서 근유균(根瘤菌)(R-12)를 접종(接種)한 Alfalfa의 수확시기별(收穫時期別) 작물(作物) 각부위(各部位)의 질소시비(窒素施肥)의 효과에 관하여 미국(美國) University of Nevada에서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들을 요약(要略)하면 다음과 같다. 초장(草長), 근장(根長) 및 전장(全長)에 있어서는 질소시비(窒素施肥)의 효과가 나타나지 아니하였으며 작물(作物)의 용적(容積)과 건물수량(乾物收量)은 질소시비(窒素施肥)의 효과를 가져왔다. 질소시비구(窒素施肥區)의 근유균(根瘤菌)의 착생수(着生數)는 무질소구(無窒素區)에서 보다 많았으나 질소고정량(窒素固定量)이 작물(作物)의 원활한 생육(生育)을 위하여서는 미흡(未洽)한 것으로 생각(生覺)된다. 이상의 결과(結果)들은 Alfalfa를 재배시(栽培時) 소량(小量)의 질소시비(窒素施肥)의 필요성(必要性)을 암시하는 것 같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