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hizobium japonicum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8초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의 질소고정(窒素固定)에 관한 연구 -III. 신개간지(新開墾地) 토양에서 근류균(根瘤菌)의 접종(接種) 및 개량제시용이 질소고정(窒素固定)과 대두수량에 미치는 효과 (Studies on Symbiotic Nitrogen Fixation in Soybeans -III. Effects of Soil Improvement on N2 Fixation and Yield of Soybean Inoculated with Rhizobium japonicum in Newly Reclaimed Upland Soil)

  • 류진창;이상규;이혁호;홍종운;조무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88-194
    • /
    • 1983
  • 토양비옥도가 극(極)히 낮은 신개간지(新開墾地)에 있어서 근류균(根瘤菌)의 접종(接種) 및 비료(肥料)와 개량제 시용(施用)이 질소고정(窒素固定)과 대두수량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밝히고자 pot시험(試驗)을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대두(大豆) 근류(根瘤)에 의(依)한 질소고정량(窒素固定量)은 근류균(根瘤菌)의 접종(接種)과 비료(肥料) 및 개량제 시용(施用)으로 현저히 증가하였다. 2. 근류균(根瘤菌) 접종(接種)으로 질소흡수량 및 질소고정량(窒素固定量)을 높여 콩수량을 4~10% 증대시켰다. 3. 콩 다수확재배기술체계 확립(確立)을 위하여 토양비옥도가 극(極)히 낮은 신개간지(新開墾地)에서는 개량제의 시용(施用)과 근류균(根瘤菌)과 접종(接種)이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 PDF

Flavonoids와 근류균의 상호작용 (Interactions between Rhizobia and Flavonoids)

  • 강상재;박우철;서상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6호
    • /
    • pp.551-555
    • /
    • 1997
  • 본 연구는 숙주특이적인 근류형성에 두과작물의 뿌리분비물에 포함된 기주특이적인 flavonoids와 근류균의 상호작용에 대해 실험하였다. Flavonoid 화합물에 대한 근류균의 생물학적 활성은 B. japonocum의 경우 대두의 뿌리분비물에 포함된 flavonoid화합물인 daidzein과 genistein에서는 생장 증진 효과가 나타났으며, alfalfa의 뿌리분비물에 포함된 flavonoid인 luteolin에서는 생장 저해 효과가 나타났으며, R. meliloti의 경우 luteolin의 경우 생장증진 효과가 나타났으며, daidzein과 genistein의 경우 생장저해효과가 나타났다. 각 근류균의 흡수 특이성은 B. japonicum에서 daidzein과 genistein이 각각 $14.95\;{\mu}g/g$$14.20\;{\mu}g/g$로 가장 높고 luteolin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R. meliloti의 경우 luteolin이 $18.31\;{\mu}g/g$으로 가장 높고 daidzein과 genistein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사실로 숙주특이적인 flavonoids가 근류균의 숙주특이성에 깊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Rhizobium japonicum의 생리적(生理的) 특성(特性) 및 Plasmid DNA의 분리(分離) (Isolation of Plasmid DNA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Rhizobium japonicum)

  • 오세헌;강상재;박우철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2권
    • /
    • pp.69-82
    • /
    • 1994
  • 6개(個) 품종(品種)의 대두(大豆)로 부터 분리(分離)된 대두(大豆) 근류균(根瘤菌)의 생리적(生理的) 특성(特性) 및 plasmid DNA의 분리(分離)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YEM 배지(培地)에서 S117, S118, 011, DY-1균주(菌株)는 생육속도(生育速度)가 느리고 alkaline 반응(反應)을 나타내었으며, S110, S111, S114, S115, S116, S120, 010균주(菌株)들은 생육속도(生育速度)가 빠르고 산반응(酸反應)을 나타내었다. fast-growing형(型)과 slow-growing형(型) R. japonicum은 모두 극모성 또는 주모성 편모(鞭毛)를 가진 그람 음성(陰性) 간균(桿菌)이며, 한천 평판에서 점액성(粘液性)이 있는 유백색(乳白色) colony를 형성(形成) 하였다. 접종(接種) 7일후(後), fast-growing형(型)의 colony는 직경(直徑)이 2.0-4.0mm였고, slow-growing 형(型)의 colony는 대체로 0.5-1.5였다. fast-growing형(型)은 pH4.5에서 한결같이 감수성(感受性)이 있고, pH9.5에 내성(耐性)이 있는 반면 slow-growing형(型)은 정반대로 나타났다. 조사(調査)된 균주(菌株)들은 모두 생육(生育)을 위한 탄소원(炭素源)으로써 glucose를 이용(利用)하였으며, 010과 321을 제외하고 모든 균주는 starch는 전혀 이용(利用)하지 못하였으며 fast-growing형(型) 만이 sucrose를 이용(利用)하였다. 조사(調査)된 slow-growing R. japonicum은 일반적으로 15-250kb 정도(程度)의 1-3개(個)의 plasmid DNA를 함유하는 반면, fast-growing R. japonicum은 20-250kb정도(程度)의 1-3개(個)의 plamid DNA를 함유(含有)하고 있었다.

  • PDF

우리나라 토착대두근류균(土着大豆根瘤菌)의 분포상태(分布狀態)와 생리(生理) 및 생태학적(生態學的) 특성(特性) -제(第)IV보(報) 토착대두근류균(土着大豆根瘤菌)의 질산환원(窒酸還元) 및 균체단백질(菌體蛋白質) 특성(特性)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digenous Soybean Rhizobia Distributed in Korea -IV. Dissimilartory Nitrate Reduction and Protein Characteristics of Indigenous Soybean Rhizobia)

  • 류진창;서장선;이규영;이상규;조무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75-283
    • /
    • 1987
  • 전보(前報)에 이어 토양(土壤)의 특성(特性)이 상이(相異)한 대두재배지(大豆栽培地)로 부터 토착대두근류균(土着大豆根瘤菌)을 분리(分離)하여 유리(遊離) 상태(狀態)에서 질소환원작용(窒素還元作用)과 균체단백질(菌體蛋白質)의 전기영동(電氣泳動) pattern 상의 차이(差異)를 1차원(次元) 및 2차원(次元) 전기영동상(電氣泳動像)으로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토착대두류균(土着大豆瘤菌)의 생육형(生育型) 및 이화적(異化的) 질산환원작용(窒酸還元作用)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4개군(個群)으로 구분(區分)되었다. 즉(卽) 총(總) 87개(個) 검정균주(檢定菌株)중 fast-grower는 38.7%, slow-grower는 61.3%로서 fast grower 보다 많았다. 2. 이들 각(各) 생육형간(生育型間)에는 탈질형(脫窒型)과 비탈질형(非脫窒型)(질산호흡형(窒酸呼吸型))으로 구분(區分)되었으나, 질산환원효소결여형(窒酸還元酵素缺如型)은 나타나지 않았다. fast-grower와 slow-grower 간(間)에 탈질형(脫窒型)은 전자(前者) 31%, 후자(後者)에서 89%, 그리고 비탈질형(非脫窒型)은 전자(前者) 69%, 후자(後者)에서 11%로 나타났다. 3. 토착대두근류균(土着大豆根瘤菌)의 균체단백질(菌體蛋白質)의 특성(特性)은 1차원(次元) 및 2차원(次元) 전기영동상(電氣泳動像)에서 fast-grower와 slow-grower의 양생육형간(兩生育型間)에는 차이(差異)를 볼수 있었으나, 탈질형(脫窒型)과 비탈질형간(非脫窒型間)에는 현저(顯著)한 차이(差異)를 나타내지 않았다.

  • PDF

Rhizobia에서 Malonyl-CoA synthetase와 Malonamidase의 확인 (Identification of Malonate-specific Enzymes, Malonyl-CoA Synthetase and Malonamidase, in Rhizobia)

  • 김유삼;채호준;이은;김용성
    • 미생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0-48
    • /
    • 1991
  • Two malonate-specific enzymes, malonyl-CoA synthetase and malonamidase, were found in free-living cultures of Rhizobium japonicum, Rhizobium meliloti, and Rhizobium trifolii, that infect plant roots where contain a high concentration of malonate. Malonyl-CoA synthetase catalyzes the formation of malonyl-CoA, AMP, and PPi directly from malonate, coenzyme A, and ATP in the presence of $Mg^{2+}$ Malonamidase is a novel enzyme that catalyzes hydrolysis and malonyl transfer of malonamate, and forms malonohydroxamate from malonate and hydroxylamine. Both enzymes are highly specific for malonate. These results show that Rhizobia have enzymes able to metabolize malonate and suggest that malonate may be used in symbiotic carbon and nitrogen metabolism.

  • PDF

Rhizobium japonicum원형질체 형성과 근류 bacteroids에 미치는 glycine의 영향 (Glycine Effect on Spheroplasting and Nodule Bacteroids of Rhizobium Jjaponicum)

  • 김성훈;김창진;이윤;유익동;민태익
    • 미생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97-202
    • /
    • 1985
  • Glycine이 R.japonicum의 spheroplasting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Fast-growing R. japonicum R-271은 4mg/ml의 glycine 함유배지에서 생육이 정상이었으나 세포 형태는 배양시간에 따라 변화하였으며 colony 형성단위는 log-phasedlgn 현저히 감소하였다. R-271은 3.5mg/ml glycine 함유배지에서 6시간 배양후에, slow grower R-214는 0.1mg/ml glycine 함유배지에서 24시간 배양후에 lysozyme의 작용을 받았다. 두 균주 모두 이러한 처리에 의해 96%이상의 spheroplast 형성빈도를 나타내었다. 한편 spheroid-type cell은 대두근의 nodule에서 분리한 bacteroid에서도 관찰되었으며 nodule extract에 존재하는 유리 amino acid 중 glycine 은 다른 amino acid에 비해 소량 존재하고 있었다.

  • PDF

토착대두근류균(土着大豆根瘤菌)의 균주(菌株) 인식(認識)과 분류(分類)를 위한 혈청면역적(血淸免疫學的) 검정(檢定) (Strain Recognition and Classification of Korean Native Rhizobium japonicum by Seroimmunological Method)

  • 임선욱;김민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41-148
    • /
    • 1988
  • 본(本) 시험(試驗)은 우리나라 토착대두근류균(土着大豆根瘤菌)의 균주(菌株) 인식(認識)과 분류(分類)를 위하여 서울농대(農大) 시험포장(試驗圃場)의 13개(個) 대두품종근류(大豆品種根瘤)에서 순수분리(純粹分離)한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 27개(個)와 본(本) 실험실보유(實驗室保有)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 6개(個)에 대하여 혈청면역적(血淸免疫學的) 시험(試驗)을 행(行)하였으며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된다. 1. 항원조성(抗原組成)이 상이(相異)한 4개(個)의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에 대하여 얻어진 4가지 항혈청(抗血淸)과 위 33개(個)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을 tube 응집반응(凝集反應), 응집소(凝集素) 흡착반응(吸着反應) 및 gel 면역확산반응(免疫擴散反應)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 33개(個) 대두근류균중(大豆根瘤菌中) 25개(個)를 4가지 serogroup과 그에 속(屬)한 각(各) serotype으로 구분(區分)할 수 있었다. 2. 33개(個) 대두근류균중(大豆根瘤菌中) Hill, 밀양품종(密陽品種)에서 분리(分離)한 2가지 분리균(分離菌) 및 방사(放射), 장백품종(長白品種)에서 분리(分離)한 2가지 분리균(分離菌), 그리고 팔달(八達), 새알, 장백품종(長白品種)에서 분리(分離)한 4가지 분리균(分離菌)이 혈청면역학적(血淸免疫擧的) 검정(檢定)에 의하여 각각(各各) 동일균주(同一菌株)로 밝혀졌다. 3. 본(本) 실험결과(實驗結果), 혈청면역학적(血淸免疫學的) 방법(方法)에 의하여 우리나라 토착대두근류균(土着大豆根瘤菌)의 균주(菌株) 인식(認識) 및 체계적(體系的)인 분류(分類)와 아울러 균주(菌株)와 대두품종간(大豆品種間)의 친화성(親和性)을 밝히는 것이 가능(可能)하리라 생각된다.

  • PDF

콩에 대한 근류균과 균근균의 혼합 접종효과 (Dual Inoculation Response of Soybean with Rhizobium And Mycorrhiza)

  • 강위금;박향미;이재생;고지연;이용환;전원태;김민태;좌재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25-331
    • /
    • 2012
  • 콩재배시 질소와 인산질 양분의 공급원으로서 근류균과 균근균의 접종효과를 질석충진 포트와 포장토양에서 검토하였다. 영남지역 32개 밭토양에서 포자발아력이 우수한 균근균 Acaulospora sp., Gigaspora sp., Glomus sp. 3종을 분리하여 각각의 포자 10개를 질석으로 충진한 포트에 $1{\times}10^8$ cells의 근류균 Bradyrhizobium japonicum YCK 213과 함께 다장콩과 은하콩에 접종했을 때 콩의 착협기 지상부 건물중과 뿌리혹무게는 다장콩의 Glomus sp. 접종구에서만 유의적인 ($P{\leqq}0.05$) 증가를 보였다. 이 Glomus sp.를 pH 5.2, 유효인산 464 mg $kg^{-1}$, 토착 B. japonicum $1{\times}10^3$ cells, 그리고 균근균 포자가 $10{\pm}0.2$개 분포하는 적황색토에서 인산과 칼리만 시용하고 질소를 결재한 상태로 $4.8{\times}10^6$ cells의 B. japonicum YCK 213과 10개의 Glomus 포자를 다장콩 2립에 접종한 결과, 콩의 수량은 질소 3 - 인산 ($P_2O_5$) 3 - 칼리 ($K_2O$) 3.4 kg $10a^{-1}$의 관행시비구(275.2 kg $10a^{-1}$)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지는 않았지만 절대수량으로 볼 때 근류균 단독접종구는 2.4%, 근류균과 균근균 혼합접종구에서는 3.9% 증가되었다.

Malonate Metabolism: Biochemistry, Molecular Biology, Physiology, and Industrial Application

  • Kim, Yu-Sam
    • BMB Reports
    • /
    • 제35권5호
    • /
    • pp.443-451
    • /
    • 2002
  • Malonate is a three-carbon dicarboxylic acid. It is well known as a competitive inhibitor of succinate dehydrogenase. It occurs naturally in biological systems, such as legumes and developing rat brains, which indicates that it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symbiotic nitrogen metabolism and brain development. Recently, enzymes that are related to malonate metabolism were discovered and characterized. The genes that encode the enzymes were isolated, and the regulation of their expression was also studied. The mutant bacteria, in which the malonate-metabolizing gene was deleted, lost its primary function, symbiosis, between Rhizobium leguminosarium bv trifolii and clover. This suggests that malonate metabolism is essential in symbiotic nitrogen metabolism, at least in clover nodules. In addition to these, the genes matB and matC have been successfully used for generation of the industrial strain of Streptomyces for the production of antibiotics.

콩 근류균계간 경합과 숙주 친화성의 품종간 차이 (Competition and Host-strain Interaction of Soybean Rhizobium Strains on Two Soybean Cultivars)

  • 박의호;싱글톤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718-724
    • /
    • 1996
  • 본 실험에서는 콩 재배품종과는 친화성이 없다고 알려진 R. fredii (fast-grower)와 기존의 근류균계인 B. japonicum 간의 상호작용 및 숙주친화성 등을 효율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뿌리분할방법(split-root system)을 사용하였으며, 근류균 이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을 목적으로 실험이 수행되었다. Lee와 Peking 품종 및 R. fredii인 PRC205(P205) 균계와 B. japonicum인 USDA110(U110) 균계를 이용하였다. 뿌리분할장치의 양분된 뿌리에 독립적으로 접종하였으며 처리당 4반복씩 완전임의로 배치하였다. 균계간 경합을 보기 위하여 4조합의 근류균계들을 분할장치 양측에 동시 접종하였으며, 또한 균계간 상호작용을 보기 위하여 6조합의 균계를 반분된 뿌리의 양측에 1주일 간격으로 접종하였다. 접종후 3주만에 근류착생 정도와 생육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Lee품종에서는 분할된 뿌리 양쪽에 P205만 접종되었을 때 근류중이 가장 작았던 반면 Pe-king 품종에서는 P205만 접종되었을 때 근류중이 가장 컸다. 2. 두 균계를 동시에 접종했을 때 Lee 품종에서는 UlIO에 대해 P205의 경합력이 거의 없었으나 Peking 품종에서는 오히려 P205의 경합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양 품종 모두 처리에 따른 뿌리의 생육은 차이가 없었으나 지상부 생육량에서는 Lee 품종의 경우 P205만 처리되었을 때 현저히 적었으며 Peking 품종은 P205 단독처리에 비해 U110 단독처리시 적었다. 4. P205를 1차 접종했을 때 Lee품종의 경우 2차 접종된 side의 근류수와 근류중을 현저히 감소시켰는데 다만 U110의 근류수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Peking품종에서는 근류수에 미치는 영향은 적었으나 근류중은 상당히 억제하였다. 5. U110을 1차 접종했을 경우에는 두 품종 공히 반대편 side의 근류착생을 심하게 저해하였다. 6. Lee 품종의 경우 1차 접종된 균계가 2차 접종된 side의 뿌리생육을 다소 억제하였으나 처리간 차이가 있었으며 근류착생이 불량했던 P205 처리구에서도 뿌리의 생육은 양호하였다. 반면에 Poking 품종에서는 거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7. 지상부 생육은 Lee품종의 경우 U110 1차 접종구가, Peking 품종에서는 P205 1차 접종구에서 양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