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vised Risk Priority Number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K21 보병전투차량에 FMEA 적용을 통한 RPN 평가방법 재정립 (Reestablishment of RPN Evaluation Method in FMEA Procedure for K21)

  • 이창희;양경우;김상부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06-315
    • /
    • 2012
  • Purpose: To ensure good quality munitions, we require quantitative risk management and optimal risk management of system characteristics. Methods: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FMEA) is a widely used technique to assess or to improve reliability of products at early stage of design and development. Traditionally, the prioritization of failures for corrective actions is performed by developing a risk priority number (RPN). Results: This paper reestablishes an effective methodology for prioritization of failure modes in FMEA procedure. Revised evaluation criteria of RPN are devised. Conclusion: To verify the proposed methodology, it is applied to RPN evaluation for K21 infantry combat vehicle.

가전용 모터의 FMEA 실시 과정에서의 RPN 평가방법 재정립 (Reestablishment of RPN Evaluation Method in FMEA Procedure for Motors in Household Appliances)

  • 김상연;김호균;윤원영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9
    • /
    • 2007
  •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FMEA) is a widely used technique to assess or to improve reliability of products at early stage of design and development. Traditionally, the prioritization of failures for corrective actions is performed by developing a risk priority number (RPN). In practice, due to insufficient evaluation criteria specific to related product and processes, RPN is not properly evaluated. This paper reestablishes an effective methodology for prioritization of failure modes in FMEA procedure. Revised evaluation criteria of RPN are devised and a refined FMEA sheet is Introduced. To verify the proposed methodology, it is applied to RPN evaluation for motors in household appliances.

FMEA에서 공통원인고장이 포함될 경우의 고장원인에 대한 위험평가 절차 (A Risk Evaluation Procedure in FMEA for Failure Causes including Common Cause Failures)

  • 김병남;권혁무;홍성훈;이민구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327-338
    • /
    • 2018
  • Purpose: A risk evaluation procedure is proposed for common failure causes in FMEA(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The conventional FMEA does not provide a proper means to compare common failure causes with other failure causes.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 risk evaluation procedure in FMEA where common failure causes and other failure causes exist together. Methods: For each common failure cause, the effect of each combination of its resulting failures is recommended to be reevaluated considering their interactive worsening effect. And the probability that each combination of failures is incurred by the same common cause is also considered. Based on these two factors, the severity of each common cause is determined. Other procedures are similar to the conventional method. Results: The proposed procedure enables to compare and prioritize every failure cause. Thus, the common causes, each of which incurring two or more failures, and other causes, each of which is corresponding to one failure, can be fairly compared. Conclusion: A fair and proper way of comparing the common failure causes and other causes is provided. The procedure is somewhat complicated and requires more works to do. But it is worth to do.

과학기술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다루는 과학교육에 관한 초등교사의 교육 경험과 교육 준비도 및 요구도 (Elementary School Teachers' Educational Experiences, Readiness, and Needs for Science Education That Addresses the Risks Posed by Science and Technology)

  • 김진희;나지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2권4호
    • /
    • pp.523-537
    • /
    • 2023
  • 본 연구는 과학기술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다루는 과학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교육 경험과 교육 준비도 및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수의 교사가 과학교육에서 과학기술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다루어 본 경험이 없었다. 둘째,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위험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알고 있는 교사의 수가 모르는 교사의 수보다 더 많았다. 셋째, 위험지각, 위험평가, 위험관리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도를 비교하면, 위험지각에 대한 이해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위험평가에 대한 이해도가 낮았다. 넷째, 대다수 교사가 위험에 대한 교육 및 연수를 받은 경험이 없었다. 다섯째, 위험교육의 10가지 목표를 가르치기 위한 교사의 현재 역량 수준은 정보 활용과 실천 역량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확률 해석과 위험평가 방법에 대한 평가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여섯째, 다수의 교사는 학교 과학 수업에서 과학기술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대해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특히 실천 역량, 정보 활용, 의사 결정 역량 순으로 중요하다고 응답하였고 실천 역량, 정보 활용, 대중매체의 영향 평가 순으로 교육이 시급하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교사들은 학교 과학 수업에서 위험을 다루게 될 때 예상하는 어려움으로 관련 교육자료의 부족, 위험교육 관련 교수 이론에 대한 이해 부족, 과학 교과 내용 및 성취기준과의 관계 순으로 높게 응답하였다. 일곱째, 위험교육의 10가지 목표별 교육 요구도를 산출한 결과, 위험 특성의 영향 평가, 의사 결정 역량, 실천 역량, 위험평가 방법에 대한 평가가 초등교사가 우선하여 요구하는 항목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