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versible Process

검색결과 239건 처리시간 0.027초

리튬이차전지용 리튬과잉계 양극 산화물의 충방전 과정 중 원자 구조 열화 과정과 전기화학 특성에 대한 분석 (Analysis for Atomic Structural Deterioration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Li-rich Cathode Materials for Lithium Ion Batteries)

  • 박서현;오필건
    • 공업화학
    • /
    • 제31권1호
    • /
    • pp.97-102
    • /
    • 2020
  • 최근 리튬이차전지 양극 소재의 다양한 열화 메커니즘들이 밝혀지면서 이것을 제어하여 새로운 전기화학적 특성을 구현하고 기존 소재의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하는 연구결과들이 많이 보고되고 있다. 특히, 리튬과잉산화물은 250 mA h g-1 이상의 고 용량 차세대 리튬이차전지 양극 물질로 주목받고 있으나, 충방전 과정 중에 소재 특유의 원자 구조 열화로 인해 활용이 제한되고 있다. 본 연구는 0.4Li2MnO3_0.6LiNi1/3Co1/3Mn1/3O2 리튬과잉소재의 충방전 과정 중에서 겪는 원자 구조 변화 과정을 분석하여 소재의 열화 과정을 밝히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원자 단위의 분해능을 갖는 전자투과현미경을 활용하여 충방전 중 원자 구조의 변화 과정을 분석하고 이러한 구조 변화가 소재의 전기화학적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충전 과정 중에 발생한 다량의 리튬 빈자리로 인해 구조 불안정성이 일어났고, 이로 인해 전이 금속이 리튬 빈 자리로 이동하면서 구조 열화가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구조 변이는 리튬과잉소재의 가장 큰 문제점인 방전 전압 강하 특성을 야기한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톨라신의 용혈활성에 대한 Ni2+의 저해효과 (Inhibitory Effect of Ni2+ on the Tolaasin-induced Hemolysis)

  • 최태근;왕희성;김영기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2권1호
    • /
    • pp.28-32
    • /
    • 2009
  • 세균독소인 톨라신은 재배버섯에서 버섯균사 및 자실체의 구조를 파괴하여 갈반병을 일으킨다. 톨라신의 세포독성은 톨라신이 적혈구의 세포막에 pore를 형성하여 세포구조를 파괴하기 때문에 용혈활성을 측정하여 평가한다. 저자들은 $Zn^{2+}$$Cd^{2+}$에 의한 톨라신의 용혈활성 저해효과를 측정하는 중에 $Ni^{2+}$이 또 다른 저해제로 톨라신의 독성을 억제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Ni^{2+}$에 의한 톨라신 용혈활성의 저해는 농도의존적이었으며, Ki 값은 대략 10mM이었고, 이것은 $Ni^{2+}$$Cd^{2+}$에 비하여 저해효과가 높음을 의미한다. 용혈활성은 50mM 이상의 $Ni^{2+}$농도에서 완전히 제거되었으며, $Ni^{2+}$의 효과는 EDTA 첨가에 의해 가역적임을 확인하였다. 톨라신에 의한 용혈활성이 20mM $Ni^{2+}$에 의해서 완전히 억제된 상태에서 EDTA를 가하면 즉각 용혈활성이 나타났다. $Ni^{2+}$에 의한 톨라신 독성의 저해기작은 알 수 없지만, $Ni^{2+}$은 톨라신의 독성과정인 막결합, 분자중합체 형성, pore 형성, pore를 통한 막대한 양의 이온이동 등에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된 연구의 결과는 $Ni^{2+}$이 독성과정의 마지막 단계인 pore를 통한 이온이동 과정을 저해함을 보여준다.

사질토양에서의 과산화수소 및 미생물에 의한 Benzene의 이동 및 분해특성 (Transport and Degradation of Benzene affected by Hydrogen Peroxide and Microorganism in a Sandy Soil)

  • 백두성;박춘화;김동주;김희성;이한웅;박용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6권2호
    • /
    • pp.49-56
    • /
    • 2001
  • 방향족 탄화수소계 화합물중 하나인 benzene은 대수층내에서 물리, 화학, 생물학적 작용에 의하여 분해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주상실험을 통하여 세 가지 서로 다른 형태의 분해를 분석하는 것이다. 사질토양에서 benzene의 이동특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KCl및 benzene을 추적자로 사용한 서로 다른 네 가지 경우 (case 1: 과산화수소수와 미생물을 모두 적용하지 않은 경우, case 2: 과산화수소만, case 3: 미생물만, case 4: 과산화수소와 미생물을 모두 적용)의 주상실험이 수행되었다. 모든 경우의 주상실험에서 도출된 KCl 및 benzene의 파과곡선에서 첨두농도의 도달시간은 거의 일치하였고 benzene의 첨두농도가 KCl의 값보다 매우 낮았다. 이 결과로부터 benzene의 운송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지연현상이 아닌 비가역 흡착 및 분해에 의한 감쇄작용임을 알 수 있었다. 흡착 및 분해에 의한 benzene의 감쇄작용은 과산화수소 및 미생물을 첨가하였을 때 증가하였다. 모든 경우의 주상실험에서 용존산소는 benzene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이것은 bengene의 분해에 의하여 용존산소가 소모되었음을 의미한다. 미생물을 첨가한 주상실험 결과 (case 3과 case 4) 침출수에서의 미생물의 농도는 초기 주입농도보다 매우 낮았고, benzene이 파과한 후에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이것은 토양 표면으로의 가역 및 비가역 흡착에 의한 미생물의 지연현상에 기인한 것이라고 사료된다.

  • PDF

하수처리수 재이용을 위한 직접접촉식 막증발법 적용 가능성 연구 (A Feasibility Study on Sewage Discharge Water Treatment for Water Reuse by Direct Contact Membrane Distillation)

  • 최용준;최지혁;신용현;조형락;손진식;이상호
    • 멤브레인
    • /
    • 제26권1호
    • /
    • pp.70-7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수를 원수로 사용하여 직접 접촉식 막증발법을 적용하여 원수 온도와 원수 유량 변화에 따른 하수처리수의 COD, TN, TP, TOC의 제거율 변화와 여과플럭스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하수처리수에 의한 분리막의 오염 가역성을 평가하기 위해 1차 증류수만을 사용하여 물리세정을 수행한 후 플럭스의 회복률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원수의 온도 및 유량에 관계없이 원수가 3배 농축될 때까지 여과를 진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하수처리수의 주요 오염물질인 COD, TN, TP, TOC에 대한 제거율이 92%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비교적 낮은 온도인 $50^{\circ}C$$60^{\circ}C$에서 원수의 유량에 따라 최소 13.8 LMH에서 20.3 LMH로 높은 여과플럭스를 나타냈다. 그리고 높은 농축계수까지 여과 실험을 진행했음에도 불구하고 낮은 여과플럭스의 감소를 나타냈으며 1차 증류수를 이용한 짧은 시간 동안의 물리세정만으로 최소 90% 이상의 높은 여과 플럭스 회복율을 나타냈다. 따라서 하수처리수 재이용을 위한 공정으로 막증발법의 적용이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치근활택술과 치은박리소파술 후 치아동요도 변화에 관한 연구 (Clinical Evaluation of Tooth Mobility Following Root Planing and Flap Operation)

  • 방은경;채중규;김종관;조규성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9권4호
    • /
    • pp.893-914
    • /
    • 1999
  • Tooth mobility may be the decisive factor that determines whether dental treatment of any kind is undertaken. Although tooth mobility in isolation says little in itself, the finding of increased tooth mobility is of both diagnostic and prognostic importance. Only the detection of an increase or decrease in mobility makes an evaluation possible. Thus prior to treatment, we must understand the pathologic process causing the observed the tooth mobility and decide whether the pattern and degree of observed tooth mobility is reversible or irreversible. And then it must be decided whether retention and treatment or extraction and replac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ooth mobility at different time period during root planing and flap operation and to relate changes in mobility to each treatment method. Twenty-one patients (287 teeth) with chronic adult periodontitis were treated with root planing(control group) and flap operation(experimental group), and each group was divided 3 subgroups based upon initial probing pocket depth (1-3mm, 4-6mm, 7mm and more). Tooth mobility was measured with $Periotest^{(R)}$ at the day of operation, 4 days, 1 week, 2 weeks, 3 weeks, 4 weeks, 8 weeks, 12 weeks after each treatment. Tooth mobility, attachment loss, radiographic bone loss, and bleeding on probing were measured at the day of operation, 4 weeks, 8 weeks and 12 weeks after treatment. 1. In group initial probing depth was 1-3mm, tooth mobility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root planing and flap operation. 2 . In group initial probing depth was 4-6mm, 7mm and more, tooth mobility had decreased in 12 weeks after root planing(p<0.01). And the mobility had increased after flap operation(p<0.01) and was at peak in 1 week, and decreased at initial level in 4 weeks, below the initial level in 12 weeks(p<0.01). 3. In 1 week, significant difference in tooth mobility betwee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was found(p<0.01) but, in 12 weeks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found. 4. Change of immediate tooth mobility after treatment was more larger in deep pocket than in shallow one. In group with the same probing pocket depth, the change of tooth mobility in molar group was greater than that of premolar group. 5. Tooth mobility before treatment was more strongly correlated with radiographic bone loss (r=0.5325) than probing depth, attachment loss and bleeding on probing, in 12 weeks after treatment, was more strongly correlated with attachment loss($r^2$=0.4761) than probing depth and bleeding on probing. Evaluation of the treatment effect and the prognosis after root planing and flap operation were meaningful on tooth initial probing depth 4mm and more. After flap operation, evaluation of the prognosis should be performed at least in 4 weeks and in 12 weeks after treatment, no difference in tooth mobility between two groups was observed. Radiographic bone loss and attachment loss were good clinical indicators to evaluate tooth mobility.

  • PDF

무거운 란탄족 이온 착물의 전기화학적 연구 (Electrochemical Studies on the Heavy Lanthanide Complexes)

  • 박종민;김재균;손병찬
    • 분석과학
    • /
    • 제5권3호
    • /
    • pp.249-261
    • /
    • 1992
  • 무거운 란탄족 이온($Gd^{3+}$, $Tb^{3+}$, $Dy^{3+}$, $Ho^{3+}$, $Er^{3+}$, $Tm^{3+}$, $Yb^{3+}$$Lu^{3+}$)과 alixarin red S(ARS) 사이에 생성한 착물의 전기화학적 거동을 직류폴라로그래피, 펄스차폴라로그래피 및 순환전압전류법으로 연구하였다. 0.1M LiCl 지지전해질 용액에서 착화제인 ARS는 2전자 1단계의 가역성환원반응으로 $30^{\circ}C$까지는 확산 지배적이었으며 전극반응에서 흡착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란탄족 이온과 ARS는 1:3 착물을 형성하였으며 이 착물의 환원파는 펄스차이폴라로그래피 및 순환전압전류법으로 흡착성 착물파임을 확인하였다. 착물파의 환원전위는 ARS의 환원파보다 음전위에서 나타났으며 란탄족이온의 농도의 증가에 따른 ARS의 봉우리전류($P_1$)의 감소와 착물의 봉우리전류($P_2$)의 증가는 pH=9.5, 0.1M LiCl 및 ARS의 농도 $1{\times}10^{-3}M$일 때 란탄족 이온의 농도 $2{\times}10^{-6}M{\sim}6.4{\times}10^{-5}M$ 범위에서 직선적으로 변화하였다.

  • PDF

가미청상보하탕(加味淸上補下湯)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이 천식 관련 cytokine 분비에 미치는 영향 (The inhibitory effects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 of Gamichungsangbohatang on cytokines related to ashtma)

  • 정승연;이성헌;황준호;이건영;김진주;정희재;이형구;정승기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521-532
    • /
    • 2006
  • Backgrounds and Objectives: A major goat in asthma therapy isto reduce or prevent the inflammatory response associated with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reversible airway obstruction and airway remodelling.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eosinophilic infiltration is a prominent feathure in the pathophysiology of asthma. The importance of the Presence of eosinophils in the airways of asthmatics has long been recognized, but the mechanism by which these cells are recruited and retained in the lung are only now being elucidated Production of chemotactic cytokines by bronchial epithelial cells may contribute to the local accumulation of eosinophils in Patients with bronchial asthma.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inhibitory effect of extraction of herbal dicoction, Gamichungsangbohatang(GMCSBHT) on eosinophil chemotactic cytokines. Material and Methods:We used water and 70% ethanol extracts of GMCSBHT and pulmonary epithelial cell lines A549(human type II -like epithelial cells). We estimated cytotoxic effects of GMCSBHT, and estimated the effects of water and 70% ethanol extracts of GMCSBHT on chemokines from prestimulated A549 cells by sandwich ELISA. Results: Chemokines of eotaxin, IL-8 were inhibited by GMCSBHT in dose-dependent manner. And ethanol extract of GMCSBHT has more inhibitory effects on eotaxin, IL-8 than hot water extract. Conculusion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supression of the expression of chemokines can be accomplished by GMCSBHT treatment, so GMCSBHT may inhibit the iuflammatory process by eosinophils in asthma.

  • PDF

벼의 small ubiquitin-like modifier E3 ligase, OsSIZ1 돌연변이체의 특성 분석 (Characterization of small ubiquitin-like modifier E3 ligase, OsSIZ1, mutant in rice)

  • 박형철;구성철;김훈;최원균;윤대진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9권4호
    • /
    • pp.235-241
    • /
    • 2012
  • 식물체에서 sumoylation 기작은 성장 및 발달에 중요한 기능을 수행할 것이다. 특히, SUMO E3 ligase는 SUMO 단백질을 목적 단백질로 전달해주는 마지막 단계의 sumoylation 기작 구성요소이며, 다양한 신호전달에 특이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벼에서 SUMO E3 ligase, SIZ1 유전자에 T-DNA가 삽입된 Ossiz1-2 돌연변이 식물체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OsSIZ1 단백질이 OsSUMO1 단백질과 상호작용함으로써 OsSIZ1이 SUMO E3 ligase의 기능을 수행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Ossiz1-2 돌연변이 식물체는 형태학적으로 발달과 성장의 다양한 부분에서 미성숙상태로 유지됨이 보였다. 특히, 야생형인 동진벼와 비교하여 초장의 성장 및 등숙율에서 상당히 낮은 정도를 보여 주었다. 이와 같이, 벼에서 SUMO E3 ligase로써 OsSIZ1 단백질의 생리학적인 기능은 성장과 발달 그리고, 수확량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sumoylation 시키는 기작에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사려된다.

(Sr,M)FeO3-y계(M=Ca)의 화학적 성질과 열분석에 대한 연구 (Studies on Chemical Properties and Thermal Analysis of (Sr,M)FeO3-y System (M=Ca))

  • 이은석
    • 공업화학
    • /
    • 제8권6호
    • /
    • pp.954-959
    • /
    • 1997
  • $Sr_{1-X}M_XFeO_{3-y}$ 계에서 (M=Ca), x=0.1, 0.2, 0.3, 0.4, 0.5에 대응하는 페로브스카이드계 고용체를 공기중, 1473K에 18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합성하였다. X-선회절분석 결과 모든 고용체는 단순 입방정계를 나타내며, x=0.3까지는 x값의 증가에 따라 단위세포의 부피가 감소하고, x=0.4 이후에는 급격히 증가한다. 모어염 분석에 의하여 각각의 조성에 대한 $Fe^{4-}$ 이온의 몰비($\tau$값), 산소공위의 양(y값) 및 비화학양론적 화학식을 결정하였다. TG/DTA 실험(온도범위:300~1173K) 결과 x=0.1, 0.2인 시료는 3-y값이 감소하며, 냉각시 3-y값이 거의 가역적인 증가 경향을 보였다. $x{\geq}0.3$인 시료는 가역적인 무게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냉각과정에서 3-y값은 거의 2.5를 유지하였다.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범위에서 모든 시료의 전기전도도 값은 반도성 범위에서 변화하였다. 그리고 일정한 온도에서의 전도도는 x값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본 훼라이트 계의 전도도 메카니즘은 혼합원자가 상태 사이의 전도성 전자의 건너뜀 모형으로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고온에서 각 시료의 전도성은 금속성으로 변화하였다.

  • PDF

구형 Sn 표면의 SnO2 나노와이어 네트워크: 합성과 NO2 감지 특성 (SnO2 Nanowire Networks on a Spherical Sn Surface: Synthesis and NO2 sensing properties)

  • 팜티엔헝;조현일;슈엔하이엔뷔엔;이상욱;이준형;김정주;허영우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2.2-142.2
    • /
    • 2018
  • One-dimensional metal oxide nanostructures have attracted considerable research activities owing to their strong application potential as components for nanosize electronic or optoelectronic devices utilizing superior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In which, semiconducting $SnO_2$ material with wide-bandgap Eg = 3.6 eV at room temperature, is one of the attractive candidates for optoelectronic devices operating at room temperature [1, 2], gas sensor [3, 4], and transparent conducting electrodes [5]. The synthesis and gas sensing properties of semiconducting $SnO_2$ nanomaterials have become one of important research issues since the first synthesis of SnO2 nanowires. In this study, $SnO_2$ nanowire networks were synthesized on a basis of a two-step process. In step 1, Sn spheres (30-800 nm in diameter) embedded in $SiO_2$ on a Si substrate was synthesized by a chemical vapor deposition method at $700^{\circ}C$. In step 2, using the source of these Sn spheres, $SnO_2$ nanowire (20-40 nm in diameter; $1-10{\mu}m$ in length) networks on a spherical Sn surface were synthesized by a thermal oxidation method at $800^{\circ}C$. The Au layers were pre-deposited on the surface of Sn spherical and subsequently oxidized Sn surface of Sn spherical formed SnO2 nanowires networks.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high-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images indicated that $SnO_2$ nanowires are single crystalline. In addition, the $SnO_2$ nanowire is also a tetragonal rutile, with the preferred growth directions along [100] and a lattice spacing of 0.237 nm. Subsequently, the $NO_2$ sensing properties of the $SnO_2$ network nanowires sensor at an operating temperature of $50-250^{\circ}C$ were examined, and showed a reversible response to $NO_2$ at various $NO_2$ concentrations. Finally, details of the growth mechanism and formation of Sn spheres and $SnO_2$ nanowire networks are also discus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