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toration of Garden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19초

빌라 데스테의 정원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Garden Architecture in Italian Renaissance Villa d'Este)

  • 김은영;김규연;최종희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9-57
    • /
    • 2022
  • 본 연구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정원의 조영배경, 입지 및 공간구성특성 구명에 있어 주요한 역할을 점유하고 있는 빌라 데스테의 정원건축적 특성을 구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한 조사는 문헌조사와 현지조사로 구분하여 이루어졌으며,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영의 경우 16세기 중후반 설계가 피로 리고리오(Pirro Ligorio)가 이폴리토 데스테(Ippolito d'Este) 추기경의 지시 하에 빌라 조영이 시작되었으며, 이후 데스테 가문 소유로 계승되다 재정난으로 1850년 추기경 구스타프 폰 호엔로헤(Gustav von Hohenlohe)에게 소유권이 이전되어 훼손된 정원 복구에 힘썼고 세계 1차 대전을 겪으며 이탈리아 정부 소속으로 소유권이 넘겨진 빌라 데스테는 전쟁으로 인해 무너진 빌라의 대규모 복구 작업이 시작되고 세계 2차 대전을 겪었다. 또 한번 피해를 입은 빌라 데스테는 복구 과정까지 거친 후 현재는 많은 방문객을 받으며 운영되어지고 있다. 둘째, 입지의 경우 도심에 위치하는 우르바나 성격을 가지며, 산기슭에 위치한 계곡형의 지형조건을 가지고 있다.셋째, 공간구성의 경우 16세기 초기 코르틸레 델 벨베데레와 빌라 마다마의 노단의 설치, 기하학적 대칭 등의 조영원칙들에 영향을 받아 축선과 직교하며 정원의 각 부분이 전개된다. 주요 건물은 구릉에 위치하여 한눈에 정원과 주변 경관을 조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구성요소 중 건조물의 경우 계단, 로지아, 중정, 석굴 등이 있었고 구성요소 중 빌라 데스테의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인 수경관에는 분수, 캐스케이드, 벽천, 연못 등이, 식생으로는 월계수, 가시나무, 감탕나무 등이 있다.

편액과 시문으로 본 요월정원림(邀月亭園林)의 입지 및 조영 해석 (The Location and Landscape Composition of Yowol-pavilion Garden Interpreted from Tablet & Poetry)

  • 이현우;김상욱;임근홍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2-45
    • /
    • 2014
  • 본 연구는 편액과 시문이 과거 누정원림의 고유한 입지 및 조영 특성 추론의 중요한 준거(準據)가 된다는 전제 하에, 요월정원림(邀月亭園林)을 대상으로 과거 시점의 입지 및 조영 해석을 고구(考究)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요월정원림이 갖는 의미와 문화재적 위상과 가치의 진정성 제고 및 보존의 당위성을 논의할 목적으로 시도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월정원림은 정원주 김경우(金景遇)를 비롯한 당대 거유들이 교유한 시율풍류의 현장이었다. "조선환여승람 호남읍지(湖南邑誌) 장성읍지(長城邑誌)" 등 고문헌을 통해 사화(士禍)를 피해 머문 은신처로서의 성격과 함께 지역정체성을 형성한 교두보로서의 장소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요월정원운(邀月亭原韻)"을 통해 누정원림 작정(作庭) 의도 및 조영 동기를 확인한 바, 요월정원림은 세속과 탈속 그리고 현실과 이상이 뒤섞여 길항(拮抗)한 공간으로 해석된다. 둘째, 당호 요월(邀月)은 누정에서 조망했을 때의 승경적 요인 및 자연현상과 관련된 명칭으로, 마주한 '월봉산에 뜨는 달을 맞이함'을 함의하는 어휘로, 이는 자연의 섭리이자 풍류로서 탈속의 이미지와 맞닿아 있다. 즉 요월정은 세속의 희비를 벗어나 자연의 섭리를 따르려한 조영 의도를 반영한 당호로 해석된다. 셋째, 요월정원림의 입지는 "영광속수여지승람(靈光續修輿地勝覽)"을 통해 조영자가 퇴관 후 휴식을 위해 마련한 처소였으며, 월봉산을 마주하여 황룡강(黃龍江)이 굽이쳐 흐르던 승경지였음을 고문헌과 다수의 시문을 통해 확인하였다. 특히, 수호인 인터뷰에 따르면 요월정원림에서 야경의 시지각 빈도(頻度)는 수호인 거처인 고직사에서 요월정을 향해 황룡강 방향인 동쪽을 숙시각(熟視角)으로 조망했을 때가 가장 높다고 한다. 또한 시지각 강도(强度)가 가장 높고 아름다운 풍경은 요월정 좌측 배후면에서 달이 부상하여 요월정 전면(前面)의 배롱나무동산을 가로질러 요월정과 마주한 월봉산 사이에 남중한 때로 증언한 바 있다. 현재 요월정원림의 좌향은 $SE\;141.2^{\circ}$로서 거의 남동향 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요월정 좌향 설정은 지형조건뿐 아니라 달의 궤적을 유상(遊賞)하기에 최적화된 방향과 시계(視界)를 확보하기 위한 기도(企圖)가 담겼다고 판단된다. 나아가 전면의 황룡강 수면 위로 남중한 달빛이 투영됨으로써, 하늘의 달과 황룡강 강물에 투영된 달이 동시에 감지되게끔 고려된 것으로 추론된다. 넷째, 현재 요월정원림은 요월정과 광산김씨문숙공파종회각(光山金氏文肅公派宗會閣) 및 고직사(庫直舍)로 구성된 '내원 권역'과 진입부를 아우른 배롱나무동산 및 소나무 배후림이 포함된 '외원 권역'으로 구분된다. 나아가 '용소 및 수생식물원 권역' 및 최근 조성된 '황룡정과 공원 권역'으로 외연(外緣)이 확산되면서 교란되고 변용되었다. 다섯째, 조영 당시 요월정원림은 누정에서 조망한 풍경을 안아 들여 누정을 중심으로 지근거리의 일정한 자연을 점유한 방식인 '경계 없는 산수원림'이었으나, 현재 복합경관은 과거 원형경관과는 괴리된 '이질화 분절화 파편화된' 경관으로 파악된다. 마지막으로, 요월정원림이 문화재지정보호구역임을 감안할 때, 편액과 기문에 묘사된 완전한 원형경관으로의 복원은 아니더라도 최소한 원림권역에서의 경관적 악영향과 시각적 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수립이 요망된다.

두실(斗室) 심상규(沈相奎)의 남한산성 옥천정(玉泉亭) 정원유적 (The Study on the Dusil Sim, Sang-Gyu's Okcheonjeong Garden Ruins in Namhansanseong)

  • 노재현;김세호;김화옥;박율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75-87
    • /
    • 2017
  • 이 논문은 남한산성(南漢山城) 행궁(行宮) 후원에 위치한 옥천정(玉泉亭)을 조명한 논문이다. 옥천정 일대는 남한산성 행궁 내에 존재했던 관설(官設) 정자터이지만 이 못지않게 조선후기 경화세족의 정원 문화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소이기도 하다. 기존의 남한산성 발굴 조사에서 바위글씨를 통해 자취가 알려졌지만 그동안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않아 건축시기 및 조영자 등에 대한 기초적인 사항조차 정립되지 못했다. 본고는 이러한 현실에 주목하여 문헌분석을 통해 옥천정의 기초자료를 구축하였으며, 현장의 바위글씨를 판독하여 옥천정 정원의 면모를 추찰하는 한편 문헌과의 대조를 통해 옥천정의 정확한 위치를 비정하였다. 옥천정은 19세기 대표적인 경화세족 중 하나인 심상규가 광주유수의 임소였던 남한산성 행궁 후원에 조성하고 경영한 정자로 산기슭의 맑은 물줄기에 연하여 입지하고 있다. 물줄기가 흘러 여러 암반으로 구성된 폭포 풍애폭(楓靄瀑)은 작은 못을 이루어 추수담(秋水潭)을 만들었고, 폭포의 석벽은 옥천(玉泉)으로 인식되었다. 폭포 전면에는 옥천정임을 알리는 입석 옥천암 표석이 존재하고 그 위로는 영연대(泠然臺)를 중심으로 한 바위언덕과 단풍나무숲이 어우러진 임원(林苑)이 나타나 전형적인 임천정원(林泉庭苑)의 특성을 보인다. 풍애폭에서 작은 소로인 가미경(歌薇逕)을 따라 약 60m 오르면 행궁 일대를 부감할 수 있는 시야를 확보한 옥천정이 존재한다. 옥천정은 행궁 후원에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심상규에 의해 반공적(半公的)인 정원(semi public garden)으로 조성되고 운영되었다. 옥천정은 남한산성에 존재하는 유일한 정원 유적이며 반드시 보존되어야 할 중요한 유산이다. 본 연구가 세계문화유산 남한산성을 보다 온전하고 진정성 있게 복원해 나아가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대구광역시 금호강 주변의 3개 습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 가남지, 안심습지, 점새늪을 중심으로 -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Three Wetlands around Geumho River, Daegu Metropolitan City - Ganam Reservoir, Anshim Wetland and Jeomsae Swamp -)

  • 유주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67-90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ecological data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ree wetlands by surveying the vascular plants in Ganam reservoir, Ahnshim wetland and Jeomsae swamp. The whole taxa of vascular plants were 376 taxa including 90 families, 252 genera, 341 species, 7 subspecies, 24 varieties, 2 forms, 1 hybrid and 1 cultivar, and the planted species were 66 taxa including Ginkgo biloba and so on. The rare plants were 7 taxa including Euryale ferox(VU), Aristolochia contorta(LC), Koelreuteria paniculata(VU), Sagittaria trifolia(DD), Hydrocharis dubia(LC), Ottelia alismoides(LC) and Sparganium stoloniferum(VU). The Korean endemic plant was 1 taxon of Lespedeza maritima. In total, there were 21 taxa of floristic target species including 1 taxon of garde V, 2 taxa of grade IV, 6 taxa of grade III, 5 taxa of grade II and 7 taxa of grade I . The hydrophytes were 51 taxa including 36 taxa of emergent species, each 6 taxa of floating-leaved and submerged species and 3 taxa of free-floating species.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79 taxa including 75 taxa of naturalized plants and 4 taxa of casual alien plant. The ecosystem disturbing species 6 taxa including Sicyos angulatus, Ambrosia artemisiifolia, Lactuca seriola, Symphyotrichum pilosum, Paspalum distichum and Humulus scandens.

차즈기(Perilla frutescens var. acuta)의 생육에 미치는 생장억제제의 영향 (Effect of Growth Retardants on the Growth of Periila fuetescens var. acuta)

  • 이종석;박영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11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usability as potted flowers and garden plants by controlled plant height using growth retarda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dwarfing effect according to the degree of exposure the sun, but growth was well under full exposure to the sun. The plant height was decreased by application of Cycocel (CCC), Bonzi (paclobutrzol), Ancymidol, and Uniconazol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reatment of Bonzi $5mg{\cdot}L^{-1}$ was most dwarfing effect for both full sun exposure or 70% controlled shading condition. No consistent different was found in stem diameter, leaf color change, the content of chlorophyll and anthocyanin when the concentration of plant growth retardants was altered. These factors were affected only by light intensity. In comparison to the results of the control group, leaf length, leaf width, plant width and petiole length were all reduced by the application of growth retardants.

아파트 단지 1층 베란다 앞 녹지공간 사용실태 비교 (The Comparison of Using State of Greenery Space in Front of One Story Veranda in Apartment Complex)

  • 김대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9
    • /
    • 2000
  • Recently, the number of unsold apartments has been increasing, and apartment furnishing companies have tried a marketing strategy by utilizing the outdoor space for differentiation. There are many differentiation strategies. One of them is to improve the dwellings-on-ground space in apartment complex. Owing to the high density and high-rise of apartment buildings, the dwellings-on-ground apartment complex have been recognized as not good housing by residents in korea. The precedent study on the responses from residents showed the negative effects mainly due to sunlight, daylight, view and privacy and the positive effects from good accessibility and good environment for children and elderly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dwellings-on-ground space and to suggest the most appropriate type of the dwellings-on-ground space through the residents' desires and preferences. In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shows three results for the design improvement: 1) Providing private gardens and individual accesses to the dwellings-on-ground. 2) Providing private garden with flower bed to intensify the visual aspect. 3) Furnishing variable transformation of unit plan in dwellings-on-ground, for example, maisonette, etc.

  • PDF

TWINSPAN과 CCA Ordination에 의한 서해안 곰솔림과 토양환경과의 상관 분석 (An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Pinus thunbergii Forests and Soil Conditions by TWINSPAN and CCA Ordination in West Coast of South Korea)

  • 김민하;박종민;장규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5-59
    • /
    • 2016
  • Vegetation and soil conditions of four sites in west coastal forests in South Korea, were examin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inus thunbergii forests structure and soil conditions. The P. thunbergii forests were divided into four clusters; 1) P. thunbergii - Prunus sargentii var. sargentii, 2) P. thunbergii - Robinia pseudoacacia, 3) P. thunbergii - P. densiflora and 4) P. thunbergii - Quercus serrata. The soil of each site was poor in chemical characteristics but good enough for land plants to grow because of its low sal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by CCA Ordination, certain excessive soil nutrition has influenced on vegetation and specific species distribution. Forty eight species were found in the whole sites of coastal forests and some species appeared in every site. They are P. thunbergii, R. pseudoacacia, Rhus chinensis, Idesia polycarpa and Morus alba. For the tree species importance value, P. thunbergii was followed by R. pseudoacacia, Q. serrata, P. densiflora, Celtis sinensis, M. alba, I. polycarpa and Q. mongolica in order.

초음파안개분무시스템을 이용한 벽면녹화 관수시스템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Irrigation System of Greenwell Using Ultrasonic Mist Fogger System)

  • 김경훈;김용;성현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135-143
    • /
    • 2013
  • Ultrasonic mist fogger and the fan were used for investigating the availability of fog circulation system in greenwall and the potential growing ability of the plant. The mist caused by ultrasonic mist fogger was circulated by the fan through the pipeline and supplied to the pots containing plants. Moisture content of the 3 different soils was measured at different irrigation time points. The moisture content of 15-26% in PP and Co soil was maintained at irrigation of 24H, 18H, 12H in a day. Proper growth condition was found in Ardisia pusilla and Hosta plantaginea at the height of L level after 1 month of growth when the plants were irrigated by the fog circulation system.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fog circulation, by ultrasonic mist fogger to the green walls is system of choice for suppling moisture to plants.

경주시 남천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Namcheon Stream in Gyeongju City)

  • 유주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5-46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ecologically important data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river ecosystem. Namcheon Stream, the study site, is a local river flowing from the east to the west of Gyeongju.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518 taxa including 98 families, 321 genera, 467 species, 9 subspecies, 32 varieties, 4 forms, 4 hybrids and 2 cultivars. The rare plants were 4 taxa including Aristolochia contorta, Koelreuteria paniculata, Hydrocharis dubia and Sparganium stoloniferum.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Populus × tomentiglandulosa, Salix koriyanagi, Lespedeza maritima, Weigela subsessilis and Hemerocallis hakuunensis. The floristic target species were 27 taxa including 2 taxa of grade IV, 4 taxa of grade III, 7 taxa of grade II and 14 taxa of grade I.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92 taxa including Pterocarya stenoptera, Conyza canadensis, Vulpia myuros and so on. The ecosystem disturbing species were 6 taxa including Rumex acetosella, Sicyos angulatus, Solanum carolinense, Ambrosia artemisiifolia, Lactuca seriola and Symphyotrichum pilosum.

옥상녹화지의 생태적 효과와 이용 효과의 상관성 (Relationships Between Ecological and Utilizational Effectiveness of Green Roof Sites)

  • 김현;이관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4-122
    • /
    • 2008
  • Roof greening recently emerged to be an important issue of environmental policies in a city. To cover roofs of buildings with green vegetation gives chances not only to improve urban environmental function but also provides the opportunities of environmental learning and convenience for users in the building. This study aimed to give directions for roof greening plan to designers by acknowledg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ecological and utilizational effectiveness. 10 sites and 15 variables were adopted to measure the relationships. As a result, no positive correlations was found between them. One of the results in correlation analysis among variables, however, showed that the roof gardens have high utilizational effectiveness only when a green roof was made by focusing on ecological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concepts that will guarantee user's convenience such as accessibility, entrance and exit, facilities for convenience and learning. The results implies that a green roof has to be designed considering multi-functional effects. Correlation between species of vegetation and the number of daily users, average staying hours, and attending level for environment educational programs were not significant. These findings imply that when a green roof has to be take high utilizational effectiveness, both plentiful vegetation species and design concepts for users' convenience are should be consid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