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ponsive Teaching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19초

초등학교 4학년 혼합계산 지도에 대한 고찰 (Review of the Unit on the Mixed Calculations in the 4th Grade)

  • 고정화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2권4호
    • /
    • pp.477-494
    • /
    • 2012
  • 본 연구는 혼합계산 문제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사례 및 오류유형, 혼합계산 지도에 널리 활용되는 기억술, 혼합계산의 핵심인 연산 순서의 규칙에 관한 역사적 논의 및 성격을 고찰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자연수의 혼합계산 단원의 교과서의 내용구성 및 전개 방식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지도에 관한 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실생활 문제 상황과 연산 순서의 규칙 사이의 왜곡된 논리적 연결성을 지적하였다. 둘째, 연산 순서의 규약적 성격을 고려하여 교과서를 구성하여야 함을 제시하였다. 셋째, 연산 순서의 문제는 식의 구조에 대한 이해와 결부시켜야 함을 지적하였다. 넷째, 혼합계산식의 이해를 돕는 다양한 교수학적 전략을 참고할 것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차후 혼합계산과 관련된 교과서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PDF

Breaking the Silence: Revealing the limits of Preschool Teachers' Cultural and Linguistic Competence (CLC) in Saudi Arabia

  • Allehyani, Sabha Ha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8호
    • /
    • pp.222-234
    • /
    • 2022
  • Backgroun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new Saudi Vision 2030, the education system is keen on developing Early Childhood (EC) curricula to meet the needs of children from diverse cultural and linguistic backgrounds, in addition to preparing teachers to be the main driving forces in this field. To achieve these strategic goals,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has taken the lead in terms of their continuous professional achievements. Purpose: The recent study tended to explore the promotion of Cultural and Linguistic Competence (CLC) of teachers in preschool institutions in different sectors in the Kingdom of Saudi Arabia (KSA) include public, private and international. Method: In the current study, (n=300) of preschool female teachers, who had experience teaching children from diverse language and cultural backgrounds, participated voluntarily by filling out the exploratory questionnaire. It was designed on a five-point Likert scale. The credibility of the scale and th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were ascertained, and the content for which it was designed verified in terms of the purposes of the current investigation.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preschool female teachers in the private preschool settings have a higher level of CLC compared to those who were teaching in public and international preschools in KSA. In the private sector, preschool female teachers showed create abilities to provide culturally responsive environments for diverse students, applying various communication styles, and showing proper attitudes and values toward diversity. Implication: The current study provided key implications for policy makers regarding the promotion of CLC for all teachers, particularly preschool in government settings in KSA. It contributed to revealing the cultural awareness of preschool teachers' values and attitudes toward diversity.

유아 미디어 리터러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Effects of Media Literacy Program for Young Children)

  • 강은진;현은자
    • 아동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9-87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edia literacy program for young children and explore its applicability and effects on young children's media literacy learning. Media literacy, as a concept combined literacy, or the ability to read and write, with media, is about more than just consuming information or understanding technological aspects of media, but is defined as expand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that are responsive to the changing nature of information in human environment. In order to develop media literacy program for young children, the goal and objectives, content areas,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and evaluation of media literacy program were searched and establish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a total of 51 children at age 5-6. The research had been implemented for 8 weeks integrated into daily activities of kindergarten children.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ing with children using animations, and children-made-cartoons during the pre- and post-tests, and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using rating criteria.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in children's abilities to reception,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ity. This research made a major contribution to provision of a ground for developing an effective media literacy program for young children.

  • PDF

우리나라 수학교사의 다문화역량 실태 연구 : 다문화수학교사교육 방안 탐색을 위한 제언 (An Analysis of Korean Mathematics Teacher's Multicultural Competence: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 송륜진;노선숙;주미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3권3호
    • /
    • pp.313-333
    • /
    • 2013
  • 본 연구는 초 중등 수학교사의 '다문화역량'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학교과에서 다문화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역량 함양을 위한 다문화교사교육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론적 검토 및 통계적 검증을 거쳐 5점 척도의 '수학교사의 다문화역량 측정도구'를 구성하고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초 중등 수학교사 30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학교사들의 다문화역량 평균은 2.636(표준편차 .290)로 조사되었고 다문화와 관련한 일반적인 지식 및 신념을 묻는 범주A와 비교하여 수학교과의 특성이 반영된 범주 B, C, D의 평균이 낮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집단별 비교를 위한 분산분석 결과 '교사의 경력', '다문화교사 교육 이수 여부',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에 대한 간접 접촉 경험 여부'에 따른 집단별 차이가 없는 반면, '다양한 문화적 배경의 사람들과 직접 접촉 경험 여부', '교사의 전공'에 따라 다문화역량이 집단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교과를 통해 다문화교육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실천적 맥락의 다문화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PDF

고교시설 디자인 지표의 적용 분석 연구 - 경기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Design Indicators of the High School Facilities - Focused on High School in Gyeonggi-do -)

  • 조경식;아이게림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45-53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to improve a school building through comparing and analyzing facilities of high schools located in Gyeonggi - do Province on the basis of the Design Indicator for the Korean Educational Buildings. Two types of high schools were examined for this study. Some of them are high schools selected by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as a school equipped with superior facilities and the others are high schools equipped with general facilities. 8 items such as safety, comfort, the function of education, utilization, the public, eco-friendliness, technology performance, economical efficiency were examined by 5 point Likert scale. Findings showed that all facilities of both types of high schools received high ratings in terms of safety, utilization, and technology performance. However, the evaluation index on 'various used outdoor space' and 'public buildings harmonized with surroundings' of the education function of both types of high schools was low, which implies that the facility related to the education function needs to be improved. It infers that facilities are simplified and harmony with surroundings disappears when altering the design of the school building due to the convenience of building and the problem of the budget. Therefore, these need to be primarily controlled. Additionally, in high schools with general facilities, the evaluation index on 'aesthetic interior and exterior design of comfort', 'the responsive space to the demand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function of education', and eco-friendless were so low that these factors need to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the school building.

공감적 발화와 훈육적 발화 -학생들의 과학적 설명 구성에서 두 초등 교사의 대조적인 접근- (Two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trasting Approaches During Students' Construction of Scientific Explanations)

  • 한문현;오필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67-180
    • /
    • 2023
  • 과학 교실에서 교사의 개입은 학생의 실천에 주요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본 연구는 교사가 학생들의 과학적 설명구성 과정에서 어떤 종류의 발화를 하여 학생들의 실천에 개입하는지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두 명의 초등학교 교사인 L과 K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그들의 6학년 과학 '식물의 구조와 기능' 단원이 과학적 설명 구성 수업으로 재구성되었다. 두 교사에게 매 수업에서 반응적 교수의 일환으로 학생의 과학적 실천을 도울 수 있도록 요청하였다. 연구 결과, 두 교사는 각각 주로 공감적 발화 또는 훈육적 발화를 사용하였으며, 이들은 학생들의 과학적 실천의 정서적, 과정적, 개념적 측면을 돕기 위해 사용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중 공감적 발화는 알아채기, 적극적 수용, 대안 제시의 순서로 진행되어 학생들의 실천을 조력하였고, 이와는 대조적으로 훈육적 발화는 학생들의 실천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에서 부족함 찾기, 평가하기, 촉구하기의 순서로 이루어졌다. 두 교사가 각각 공감적 발화와 훈육적 발화를 사용하는 까닭을 논의하였으며, 과학 교육에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장애 유아 통합보육을 위한 교사 지원이 어린이집 교사의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er Support Program for the Integration of Handicapped Children on Teaching Efficacy of Daycare Center Teachers)

  • 박나리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47-265
    • /
    • 2018
  • 본 연구는 장애 유아 통합보육을 위한 교사 지원이 어린이집 교사의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에는 서울과 경기 지역 4개 어린이집 12명의 어린이집 교사가 실험 집단에 선정되었고, 5개 어린이집 12명의 교사가 통제 집단에 선정되었다. 교사 지원은 교사 교육과 현장 관찰 및 자문, 온라인 자문을 통해 실시되었다. 교사 교육은 집단 교육을 통해 발달 영역의 이해, 교육과정 수정, 활동중심삽입교수, 협동 학습, 직접 교수, 장애 이해 교육, 행동 지원, 가족 지원 등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개별 교육을 통해 각 교사들의 장애유아 통합보육의 요구를 반영한 장애유아 보육의 실제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자문을 제공하였다. 실험집단 어린이집 당 10회씩 현장 관찰 및 자문을 실시하였고, 이메일과 핸드폰 자문을 통해 교사들의 수업을 지원 하였다. 교사의 교사 효능감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사전-사후 검사 통제 집단 설계를 적용하였으며, 장애 통합에 대한 일반 교사의 교사 효능감 척도(Teachers' Efficacy in Inclusive Practices: TEIP)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의 분석을 위해 두 집단 간 교사 효능감의 사전-사후 검사 간 차에 대해 두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고, 결과 두 집단 간 교사 효능감과 하위 영역인 통합교육 효능감, 협력 효능감, 행동관리 효능감의 사전 사후 변화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장애 유아 통합보육 현장에서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고, 어린이집 교사들의 통합보육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교사들의 실제적 요구에 반응적이고, 장애 유아 통합의 다양한 변인을 반영하고, 참여자들 간의 대등한 협력적 관계를 강조한 교사 지원을 제공한 점이 연구 결과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장애 유아 통합보육 지원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현장의 실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과학 수업의 혼성공간에서 드러나는 중학생의 지식자본 및 교수학습 특성: 7학년 생명 영역을 중심으로 (Funds of Knowledge and Feature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Hybrid Space of Middle School Science Class: Focus on 7th grade Biology)

  • 이민주;김희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731-744
    • /
    • 2014
  • 학습자가 가진 문화와 자원을 수업의 중심 자원으로 이끌어내고자 하는 노력은, 학습자에게 보다 호응할 수 있는 교수학습을 모색하는 연구자들에게 중요한 단초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수업의 혼성적 공간에서 학습자들이 드러내는 지식자본으로는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보고, 이같은 지식자본이 자발적 과정을 통해 수업 상황으로 유입되고, 수업의 핵심적 자원으로 작용하려면 어떠한 교수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7학년 '주변의 생물', '식물과 영양' 단원에서의 실제 수업 상황에서 5개월에 걸친 참여관찰을 수행하였고, 학습자의 지식자본이 가장 활발하게 부상하는 수업을 추출하였으며, 근거이론에 기반한 지속적 비교분석법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범주화 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의 지식자본은 가정, 지역공동체, 또래문화, 대중문화 등의 4가지 기반에서 근거한 것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으며, 특히 또래문화와 관련된 지식자본이 학습자의 보다 활발한 발화 및 참여를 촉진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 이와 같은 지식자본이 수업 상황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유입되기 위해서는 혼성적 수업 환경의 제공과 더불어 유입된 지식자본의 보편성, 지식자본의 공유와 확장, 그리고 지식의 공동 구성 및 공유라고 하는 실행공동체의 지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은 교수학습적 특성에 기반하여, 학습자가 가진 '잠재적 수업자원'으로서의 지식자본을 어떻게 '실질적인 수업의 자원'으로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학습자의 지식자본을 기반으로 한 수업은 전통적인 수업에서 점점 소외되고 있는 다양한 비참여자들을 포함하여 학습자들을 보다 적극적으로 수업으로 초대할 수 있는 발판이 되어준다. 또한 학습자의 삶에서 비롯된 경험과 과학 지식의 혼성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지식의 공동 구성을 가능하게 하며, 보다 유의미한 학습 경험으로 자리 잡을 수 있게 한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