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piratory protection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26초

특성화 고등학교 용접 실습의 유해인자 노출 실태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Exposure to Hazardous Factors of Welding Lab Activities in Specialized High School)

  • 김민주;장성은;김화일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56-165
    • /
    • 2024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exposure status of welding students in specialized high school welding labratories, compare it with the exposure to welding hazards of industrial workers, and seek to improv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youth through domestic and international exposure standards. Methods: This study compares the level of exposure to hazardous factors in a welding laboratory of a vocational high school in Jeollanam-do and a welding process in a general industrial site by measuring the work environment. A 10-question survey was conducted to review the effects of welding hazards on the human body, carcinogenicity information, international (US, UK, France) exposure standards, gener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groups, and awareness of occupational health. Results: Exposure to hazardous factors in both groups was below the standards set by MOEL.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were exposed to higher levels than workers, and some hazardous factors exceeded the standards when compared to international exposure standards. During the survey, students were less aware of the hazards of welding, safety and health education, and the need for work environment measurement than workers. Conclusions: For the respiratory protection of students in vocational high school welding labs, it is necessary to create a comfortable training environment. Exposure standards for harmful factors should be strictly applied, such as overseas standards, or exposure should be limited by setting a limit on the number of hours of welding practice per week.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duct safety and health education for welding students to raise their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measuring the working environment and wearing appropriate protective equipment.

Evaluation of Filtration Efficiency and Inhalation Airflow Resistance of Uncertified Masks in Asian Countries

  • Sohyun Kang;Soomin Kim;Ji Soo Kim;Gayoung Lee;Annisa Utami Rauf;Kraichat Tantrakarnapa;Shih-Chun Candice Lung;Kiyoung Lee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67-273
    • /
    • 2024
  • Background: During the coronavirus pandemic, masks played a critical role in preventing respiratory infections. While the performance of masks such as KF-certified masks and N95 masks was evaluated and managed by the authorities, the performance of common masks was not.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uncertified masks in four Asian countries against certification standards (Korean KF80, KF94, and US N95). Methods: Thirty uncertified mask products from Indonesia, 20 from South Korea, 26 from Taiwan, and 30 from Thailand were purchased to perform performance evaluations. The uncertified masks included disposable dental masks, cloth masks, and children's masks. Filtration efficiency and inhalation airflow resistance test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Korean KF80, KF94, and US N95 protocols. Results: None of the 106 identified masks complied with the KF94 standard. A few complied with the KF80 standard: four from Indonesia, four from South Korea, 13 from Taiwan, and 16 from Thailand. Some of the masks met the N95 standard: one from Indonesia, three from South Korea, two from Taiwan, and one from Thailand. Conclusions: Since many uncertified masks did not comply with performance standards, wearing them might not have provided sufficient protection. Performance of uncertified masks could provide critical information for next pandemic management.

1시간 자가호흡관찰에 의한 기계적 호흡치료로부터의 이탈 (Weaning Following a 60 Minutes Spontaneous Breathing Trial)

  • 박건욱;원경숙;고영민;백재중;정연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3호
    • /
    • pp.361-369
    • /
    • 1995
  • 연구배경: 이탈의 방법은 통상적으로 자가호흡 관찰, IMV, PSV등이 행해지고 있지만, 이중 어떤 방법이 다른 것보다 우수하다는 결론은 없다. 자가호흡관찰에 의한 이탈에는 주로 T-tube를 이용하는 방법이 이용되는데, high flow로 산소를 공급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탈 후에는 기도유지가 어렵거나 지속적인 흡입치료가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발관을 하는 것이 호흡일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기관내 튜브가 그 내경에 따라 다양하지만 정상 기도저항(< $2cmH_2O/L/sec$)보다 훨씬 더 높은 기도저항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이에 저자들은 기관내 튜브를 통한 산소공급으로 1시간 자가호흡관찰 후 이탈 및 발관을 동시에 시행하는 방법의 임상적 유용성을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대상은 1993년 6월부터 1994년 6월까지 호흡부전으로 기계적 호흡치료를 받은 환자들이며, 이탈시도의 기준은 첫째, 호흡부전을 초래한 기저질환이 호전되고, 둘째, 생명증후들이 안정한 상태로 유지되며, 셋째, $FiO_2$ 0.4 이하에서 동맥혈 가스분석상 산소분압이 55mmHg 이상인 경우로 하였다. 55명 중 위의 이탈기준을 만족시키는 18명의 환자의 평균 연령은 $51.5{\pm}17.5$세이며, 남녀비는 1:1 이였고, 총 기계호흡시간은 38시간에서 341시간의 범위(평균 $105.9{\pm}83.4$시간)를 보였다. 이탈방법은 이탈기준을 만족시키는 대상환자에서 기관내 튜브를 통해 분당 6L의 산소를 공급하고 1시간 367동안 이탈시킨 상태에서 의사가 환자 옆에서 이학적 소견 및 활력징후를 관찰하고, 30분과 60분 후에 각각 동맥혈 가스분석을 시행했다. 이 첫 1시간동안 환자의 전신상태, 호흡횟수, 맥박수 및 동맥혈가스분석등을 모두 고려하여 청색증, 발한, 심한 빈맥이나 고혈압, 혈압저하, 늑간의 내함, 기이호흡등이 나타나지 않고, 산소분압이 55~70mmHg 정도로 유지될 경우 일단 이탈성공이 기능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다시 인공호흡기를 연결하여 1~2시간 동안 환자를 안정시킨 후, 최종 이탈과 발관은 환자에게 물어보아서 자가호흡을 할수 있다고 의사를 표현한 경우 동시에 이탈과 발관을 시행하도록 하였다. 결과: 1) 기계적 호흡치료를 받았던 55명 중 위의 이탈기준을 만족시키는 18명의 환자에게 총19회의 이탈을 시도하여 16회가 성공해 84.2% 성공율을 보였으며, 1명은 이탈 실패 후 2번째 이탈시도시 성공하였다. 2) 호흡부전의 원인별로는 만성폐쇄성 호흡기질환 환자 14명 중 8명에서 이탈시도의 기준을 만족시켰고, 폐혈증은 21명 중 4명, 폐부종은 6명 중 3명, 농약중독은 6명 중 1명, 속립성결핵은 3명 중 1명, 흡인성 폐렴은 5명 중 1명에서 이탈시도가 가능하였다. 3) 이탈성공군과 이탈실패군의 이탈 전후 분당 호흡 횟수의 변화를 보면, 성공군에서는 1예에서 이탈 후 30분에 분당 호흡횟수가 30회에 이른 후 감소한 것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전례에서 분당 호흡횟수가 30회 미만이데 반해, 실패군에서는 모두 30회 이상의 분당 호흡 횟수를 보이고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고, 이탈전후 산소분압의 변화를 보면 실패군의 1예를 제외하고는 나머지 전례에서 산소분압이 55mmHg 이상으로 유지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기관내 튜브를 통한 산소공급으로 1시간 자가호흡관찰 후 이탈 및 발관을 동시에 시행하는 방법은 상당히 높은 이탈 성공율을 보이는, 쉽고 효율적인 방법이며 동시에 이탈과 발관을 시행하여도 문제가 있는 경우는 없었다.

  • PDF

비소세포 폐암세포에서 Uteroglobin의 면역 조절 기능에 대한 연구 (The Role of Uteroglobin in the Immunomodulation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s)

  • 윤정민;임재준;유철규;이춘택;한성구;심영수;김영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7권4호
    • /
    • pp.336-344
    • /
    • 2004
  • 연구배경 : 폐암에 대한 거의 대부분의 면역 치료는 실패하였는데, 이는 폐암 자체에 존재하는 면역 억제 기전을 극복하지 못한데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Uteroglobin (UG, CCSP)은 항염증 등의 활성을 보인다. 방 법 : A549에 Ad-UG을 처리하고, 상층액의 $PGE_2$ 농도를 측정하였다. RPMI 1640, A549 배양액과 UG 혹은 COX-2 억제제인 NS-398을 처리 후 얻은 폐암세포주 상층액으로 PBMC를 배양 후 Th 1 type cytokines과 Th 2 type cytokines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 과 : $PGE_2$는 UG이 발현되는 세포주에서 감소하였다. 폐암 세포 배양 배지로 키운 면역 세포의 cytokines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UG등을 처리한 비소세포 폐암주의 배양액은 PBMC의 면역 반응을 정상적으로 유도하였다. 결 론 : 비소세포폐암주 배양액은 PBMC의 면역 반응을 비정상적으로 유도하지만, UG은 $PGE_2$의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PBMC의 면역 반응을 강화시킨다.

경피적 확장 기관절개술 (Percutaneous Dilatational Tracheostomy)의 시술 용이성 및 합병증 (Comparison of Clinical Efficacy Between Percutaneous Dilatational Tracheostomy and Surgical Tracheostomy)

  • 안종준;고윤석;진재용;이기만;박완;홍상범;심태선;이상도;김우성;김동순;김원동;임채만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6호
    • /
    • pp.1277-1283
    • /
    • 1998
  • 연구배경 : 외과적 기관절개술(surgical tracheostomy, ST)은 수술장에서 외과의에 의해 시행되며 중환자의 경우 수술장으로 이동은 위험을 수반하고, 또한 수술장과 외과의가 확보되지 않아 적기에 시행되지 못하는 경우도 흔하다. ST에 대한 대안으로 최근 경피적 확장 기관절개술(percutaneous dilational tracheostomy, PDT)이 구미에서 많이 시행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보편화되지 않아 PDT의 시술 용이성 및 합병증을 ST와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7일 이상 기계 환기 중이거나 인공 기도 확보가 요구되는 중환자 38명을 대상으로 ST(n=18) 또는 PDT(n=20)를 시행하였다. PDT군에 비해 ST군의 여성 비가 높은 것 외에 양 군 간에 임상적 특성은 차이가 없었다. ST군은 이비인후과 전공의에 의해, PDT군은 내과 전공의 또는 호흡기내과의에 의해 각각 기관절개술이 시행되었다. PDT는 기관지경 보조하에 Ciaglia Percutaneous Tracheostomy Set(Cook Critical Care, Bloomington, USA)를 사용하였다. 양 군에서 시술 의사 미확보 등으로 당일 기관절개술이 이루어지지 못한 건수, 기관절개술 시술 소요 시간 및 기관절개술과 관련된 합병증 발생율 등을 비교하였다. 결 과 : 기관절개술이 결정된 후 당일 시행되지 못한 예는 ST군에서 11예(61%), PDT군에서는 3예(15%)였다(P<0.05). 시술 소요 시간은 ST군 $29.1{\pm}11.6$ 분, PDT군 $15.6{\pm}7.1$ 분이었다(P<0.0001). 기관절개술의 합병증은 ST군에서 T-cannula의 우발적 발관 l예, 피하기종 2예, 소량 출혈 2예, PDT군에서 기관내 관의 조기 발관 1예, 소량 출혈 2예 및 피하기종 1예가 발생하였다(P>0.05). 결 론 : PDT는 중환자에서 수술장 이동이나 외과의 확보의 필요 없이 즉시 시행할 수 있고, 술기 습득이 용이하며 합병증은 ST와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다.

  • PDF

국내회사와 다국적기업 제조 ELISA 키트의 전염성 기관지염 백신에 따른 항체 검출능 비교 (Development of Infectious Bronchitis Virus (IBV) ELISA Kit for Detection of Antibodies against Nephropathogenic IBV Vaccine)

  • 김규직;김준영;윤하나;주효선;이다예;송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7-28
    • /
    • 2018
  • 전염성기관지염은 전세계적으로 양계산업에 문제시되고 있는 질병으로서 이를 예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Dhama et al., 2014). 본 연구는 전염성기관지염 백신을 진행한 여러 계군의 혈청을 수집해 국내회사와 다국적기업에서 제조한 ELISA 키트의 검출능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육용원종계부터 산란계까지 총 35개의 계군으로부터 주기적인 채혈을 통해 얻어진 혈청을 사용해 두 가지 키트의 검출능 비교시험을 진행한 결과, 국내회사에서 제조된 ELISA 키트가 더 높은 항체가를 나타냈으며, 이는 미량의 항체도 국내회사 제조 키트를 사용하게 되면 더욱 민감하게 검출될 수 있으며, 농장의 상황 판단에 더욱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비추어 보았을 때,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전염성기관지염에 맞춰 제작된 국내회사 제조 키트가 더 검출능이 뛰어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주기적인 혈청을 이용한 항체가 검사 결과 전염성기관지염 백신 후 항체가 변화 추이를 관찰할 수 있었다.

충남지역 도축돈의 폐병변으로 부터 분리한 Actinob acillus pleuropneumoniae의 생물학적 및 면역학적 특성 (Studies on biochemical and immunological properties of Aetinobacillus pleuropneumoniae Isolated from the slaughter pigs with respiratory lesions in chungnam province)

  • 이종훈;안신욱;정영재;장경수;전무형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03-125
    • /
    • 1997
  • An epidemiologic study on pleuropneumonia in the slaughter pigs(Chonan and Asan area, Chungnam province, Korea) during the period of January 1994 through December 1995 was conducted. Isolation of A pleuropneumoniae was attempted in 425 pigs with pneumonic lesions. Biochemical properties,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serotypes and pathogenicity of isolated A pleuropneumoniae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outer membrane protein(OMP) of the Isolates were extracted to determine its properties and immunogenicity in both mice and piglets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ed ; 1. Of 3, 395 slaughter pigs, pleuropneumonia was observed in 425 pigs(10.6%). A pleuropneumoniae was isolated from 22 pigs(5.2%) out of 425 pigs with pneumonic lesions. The biochemical properties of all isolates were same as those of reference A pleuropneumoniae strain. Among 22 isolates, 9, 1 and 12 isolates were serovar 2, 3 and 5, respectively. 2. The results of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 revealed that the isolates showed high susceptibility to ciprofloxacin and cephalothin, moderate susceptibility to amikacin, gentamicin, kanamycin and streptomycin, and low susceptibility to erythromycin, tylosin and sulfadimethoxin. 3. The isolates were varied in pathogenicity to mice. Median lethal dose of LE9402(serovar 2) and LE9511(serovar 5) were $9.2{\times}10^7$ CFU and $2.8{\times}10^7$%CFU, respectively. Specific pneumonic lesions were observed from the infected mice with clinical signs. Bacteria recovery rate was high in the lung, but low In heart blood and tracheas. 4. Serovar 2 was found to be more pathogenic than serovar 5 in guinea pig. Mortality on guinea pigs inoculated with serovar 2($5.4{\times}10^8-5.4{\times}10^6$CFU) and serovar 5($2.8{\times}10^8-2.8{\times}10^6$ CFU) was 20~40% and 40~80%, respectively. A severe hemorrhagic lesions and focal pneumonic lesions were observed from dead guinea pigs. Bacteria recovery rate was relatively higher in the lung than that of other organs. 5. In the SDS-PAGE analysis, OMP-enriched fractions of both isolates and reference strains contain common peptide bands equivalent to molecular weight of 17, 27, 42, 52 and 95Kd. In addition to common peptide bands, the bands which are specific to each isolate were also observed. The profiles of Sephadex G25 fractions showed 3 major peaks. The common peptide bands which were observed by SDS-PAGE of the crude OMPs were found in the peaks 1 and 2. 6. The OMPs extracted from serovar 2(LE9402) and serovar 5(LE9511) provided high level of protection in mice(70~80%) and pigs(100%). All animals inoculated with OMPs were seroconverted, showing micro-agglutination titer of 640 to 1280.

  • PDF

광주광역시 광산구 소재 신축 아파트 라돈가스 농도 계측 (Measurement of Rn-222 Gas Concentration of Newly Constructed Apartment House in Gwangju Gwangsan-Gu)

  • 장희준;이상복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257-261
    • /
    • 2015
  • 라돈은 우라늄-238과 토륨-232가 방사성붕괴 과정을 거친 후 생성되며, 무색, 무취의 불활성 기체로서 지하 또는 밀폐된 공간에 축적된다. 우라늄-238과 토륨-232는 지각의 암석이나 토양 등에 포함 돼 있다. 건축자재는 암석이나 토양을 재료로하여 만들어 진다. 가스 형태의 라돈은 호흡기를 통해 폐로 유입되고 라돈의 딸핵종이 폐나 기관지에 침적 되어 폐암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위치한 신축 아파트를 대상으로 창문을 닫고 열은 상태에서 라돈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로 보아 신축 아파트 실내 평균 라돈농도는 미국 일반인 공기 중 라돈가스 최대허용농도 기준치 4 pCi보다 이하의 값이 나타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측정 결과로 볼 때 신축 아파트의 라돈농도로 인한 피폭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 그러나 라돈가스가 신체 내에 축적이 되면 폐와 같은 경우는 폐암과 같은 피폭에 의한 피해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방사선 방어적 측면에서 측정 결과와 같이 라돈 농도를 낮추기 위해 창문을 자주 열어 환기를 시켜 피폭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 된다.

교통기반 공공보건 정책 수립을 위한 고속도로 차량배출가스 시공간 패턴분석 (Spatio-temporal Analysis of Freeway Emissions for Establishing Public Health Policies Based on Transportation)

  • 이설영;주신혜;윤석민;오철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77-393
    • /
    • 2016
  • 차량배출가스는 대기오염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배출가스 감소를 위한 다양한 정책수립 및 기술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이에 본 연구는 차량의 배출가스 중 호흡기 질환에 특히 유해한 것으로 알려진 질소산화물($NO_x$)과 초미세먼지($PM_{2.5}$)를 대상으로 시공간적 배출량의 패턴을 분석하고 교통기반 공공보건 증진 방안을 제시하였다.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를 공간적 분석범위로 설정하고 2015년 1월부터 6월 사이에 수집된 속도와 교통량 자료를 기반으로 배출계수를 이용하여 거시적 모형을 통한 차량배출가스 발생 총량을 추정하였다. 추정된 배출가스 자료에 군집분석을 적용하여 차량배출가스 수준(Level of Vehicle Emission)을 정의하였으며, 평일 차량배출가스 발생량의 물질별 시간대별 공간별 패턴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통기반 공공보건 정책방안을 교통계획 및 교통시설물, 공공보건 정보, 교통운영 및 관리 측면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차량배출가스 분석방향 및 전략은 공공보건 정책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뉴캣슬병백신 접종계군에 있어서 면역상태와 ND 발생시 닭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A Survey on the Immune Status and Productivity of Vaccinated Poultry Flocks against Newcastle Disease in the Epizootic Area)

  • 박근식;김선중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9-64
    • /
    • 1984
  • 1978년부터 1919년까지의 ND 대류행기간중계 군관리 기록이 확실하고 ND발생전후 ND 항체주사가 가능했던 5개 농장을 대상으로 ND에 대한 역학사항, 면역정도 및 피해상황을 조사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생독 또는 사독 ND백신을 4회이상 접종한 20주령 이상된 계군에서는 비록 ND HI 역가가 3 log$_2$이하일지라도 ND로 인한 폐사율은 대체로 주간 1%미만으로 피해가 크지 않았다. 2. 이러한 계군에서의 산란율의 감소는 최종백신접종일로 부터 DN발생시까지 경과한 기간에 따라서 4주이내에 발병되었을 때는 뚜렷한 변동이 없었으나 6주이상 경과한 경우에는 산란율의 감소를 보였으며 그 정도는 경과한 기간에 비례하는 양상을 보여 주었다. 3. 사독백신만을 접종한 계군에서는 ND가 발생되었을 때 비록 산란감소가 없을지라도 호흡기증상은 심하게 나타났다. 4. 6i주령 이하의 어린 계군에서 ND로 인한 폐사를 방지할 수 있는 HI 역가는 3.0 log$_2$이상인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비록 생독백신을 3회나 접종하였을지라도 이러한 정도의 면역이 형성되지 못한 계군에서는 약40%의 폐사율을 보일 정도로 피해가 컸다. 5. ND에 걸린후 내과회복한 계군의 HI 역가는 발병당시 임상증상 및 산란율의 멸소 또는 폐사율이 높은 계군일수록 높았으며 대부분 8 log$_2$ 이상이었다. 6. ND가 발생된 농장일지라도 계사조건(무창계사)과 관리상황(교통통제)에 따라서는 ND 무감염으로 경과하는 계군도 있었으며 유창계사조건일지라도 계군간의 전파기간이 1주 이상인 경우도 허다하였다.

  • PDF